Login

리스닝 하면 랍슨칼리지-ROBSON COLLEGE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9-12-01 00:00

“노력 없이 영어향상 기대마세요”

 

랍슨칼리지(Robson College)는 1996년  밴쿠버 다운타운에 한인 손병설 원장에의해 설립된 초창기 학교중의 하나다. 랍슨칼리지라는 학교 이름은 BC주에서 가장 높은 산인 랍슨 마운틴(Robson Mountain)처럼 밴쿠버 최고의 학교가 되자는 의미에서 붙인 이름이다. 손 원장은 “많은 사람들이 다운타운의 랍슨 스트리트에서 학교가 처음 시작되어서 랍슨 칼리지 아니냐고 묻곤 하지만, 랍슨 칼리지는 설립 때부터 지금까지 현재 시무어가(Seymour St.) 한 건물에서만 13년째 학교를 경영하고 있다”며 웃었다.

손 원장의 이력 또한 특이하다. 한국에서 18년간 약국을 운영해온 약사였다. 한국에서 약사이면 그래도 안정적인 직업이었고, 또한 캐나다에 와서 적응하기도 쉽지 않았을 텐데 왜 이민을 결정했을까? 손 원장은 “한국의 약사시절 아침부터 저녁까지 약국에만 매달려 가정에 대한 관심을 갖기가 너무 어려웠다. 자녀들의 교육현실을 보면서 많이 가슴 아팠다. 또한 당시는 의약분업이 이루어 지기 전이어서 처방을 약국에서 하는 시기였고, 처방은 환자들의 생명을 담보로 하는 것 이었기에 그 자체가 엄청난 스트레스였다”고 말했다.

처음 캐나다에 이민 왔던 그 시절만 해도 해외에 나온 한인들의 애국심이란 말로 표현하기 어려웠다고 한다. 손 원장은 한국을 위해서 뭔가 할 수 있는 일을 찾기 시작했다. 손원장 자신이 직접 영어공부를 위해 학원을 다닐 때 느꼈던 한국 학생들에게 가장 고민스러웠던 학습법을 해결해 주겠다는 결심이 학교를 설립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한국 학생들만을 위한 리스닝 프로그램을 만들겠다는 신념으로 설립 당시부터 시작된 “수퍼 인텐시스브 프로그램”과 “리스닝 프로그램”은 현재의 랍슨칼리지가 있게 된 대표 프로그램이 되었고, 기타 프로그램으로는 ESL Programs, Special Pronunciation Program, Power Speaking,  Power Listening,  Essay Writing, Every Writing 등이 있다.

 

“수퍼 인텐시브, 리스닝 프로그램”이 대표 프로그램.

리스닝 프로그램, 수퍼 인텐시브 프로그램은 가장 잘 알려진 랍슨 칼리지의 대표 프로그램이다. 손원장은 “리스닝 하면 랍슨”이라는 인식이 학생들 사이에는 확고하다고 자랑한다.  수퍼인텐시브 프로그램 과정은 전일제(full-time) 3 개월 과정이다. 이 기간에 학생들은 문법, 발음, 단어, 쓰기, 듣기 그리고 말하기 능력을 습득하게 된다. 이 과정은 단기간 내에 영어능력 향상을 목표로 하는 수업이기 때문에 수업시간 외의 학생들의 노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학생들은 교과과정에 따른 매일매일의 과제물을 완수해 제출해야 한다.

이 과제물은 평균적인 학생들이 적어도 7-8 시간 정도의 노력을 쏟아야 할 수 있다. 학교에서 6시간 공부하고 집에서 7시간을 해야 따라갈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타 학교 보다 3배 이상의 학습량을 요구하기 때문에 중도 포기자가 많지 않느냐는 질문에 손 원장은 “랍슨 칼리지에 오는 학생은 모두가 각오가 되어있다. 이곳에서 영어와 사생결단 내자는 독기를 품고 시작한다. 그래서 오히려 중간 포기하는 학생은 극히 드물다”고 강조한다.

 

한국 학생 실력향상 통해 기여.

손 원장은 한국 학생들의 영어실력 향상이라는 신념으로 랍슨 칼리지를 시작한 만큼, 교육의 결과에 대한 관심이 가장 크다. 무려 13년 이라는 시간 동안 수 만 명의 학생들이 단기간 놀라운 영어 향상이라는 결과물을 가지고 랍슨 칼리지를 거쳐갔고, 그 학생들이 한국 사회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자부한다. 앞으로는 랍슨 칼리지를 거쳐 가는 학생들이 단순 영어 향상이라는 수준에 그치지 않고, 한국 사회를 책임지겠다는 보다 큰 포부를 갖고 한국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지도하고 싶다고 했다.

 

Yes, No만 가지고도 50% 이상 의사소통.

손 원장은 흔히 Yes, No만 가지고도 50% 이상의 의사소통이 가능하다고 강조한다. 어린 아이는 엄마라는 말을 하기 위해 수 만번 이상 반복한다. 그때 나오는 첫 한마디가 엄마다. 듣지 못하고서는 말할 수 없음을 다시 한번 강조한다.

 

마케팅 수단은 “학생을 걱정하는 마음”.

랍슨칼리지는 마케팅 비용이 작기로 유명하다. 어떻게 마케팅비용 없이 이렇듯 꾸준히 학교를 성장시켜왔는지 궁금했다. 손원장은 오로지 학생들을 걱정하는 마음 하나만으로 학교를 경영했다고 한다. 단기간에 학생들의 실력을 빠르게 성장시키기 위해 개개인의 부족한 점에 대한 학사관리를 철저하게 했고, 학생들의 영어실력 향상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13년간 끊임없이 하나하나의 프로그램을 개선 발전시켜왔다.  영어실력 향상이라는 결과물 보다 더 좋은 마케팅 수단은 절대 나올 수 도 없고, 장기간 지속될 수 도 없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이러한 신념은 결국 일본, 중국, 남미 등의 학생에게 그대로 전달이 된 듯하다. 최근 이들 국가들의 학생 증가율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영어에 대한 비전 심겠다”

손원장은 많은 학생들에게 인생에서 아주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학교를 운영 하는 게 목표다. 한때는 학교를 대폭 확장하고 분교설립도 고민했지만, 결론은 학생들에게 영어가 어떤 것이고, 어떻게 영어를 배워야 하는가라는 마음을 심어주는 게 가장 중요하다는 결론에 이르렀다고 한다.  더 큰 것 보다는 더 좋은 것을 후배들에게 남겨주는 것이 좋겠다라는 것이다.

 

교육의 질로 위기극복 노력

2009년 경제위기와 신종플루의 영향으로 캐나다 전역의 유학생수가 크게 감소했다. 특히 한국학생들의 비중이 높은 학교 일수록 학생수가 많이 감소했다. 한국인 유학생수 감소 여파는 랍슨 칼리지에도 예외일 수 없다. 손원장은 이 위기를 돌파하는 방법으로 학생이 느낄 수 있는 교육의 질을 고수하고 있다. 상업적으로 생각하면 이익이 우선이고, 이익만 쫓다 보면 교육의 질이 떨어지는 악순환 대신 교육의 질로 정면돌파를 강조하고 있다. 어려운 시기에 질에 더욱 매진하겠다는 다짐이 있다.

손원장의 걱정은 오히려 다른데 있는 듯 하다. 최근에 교육철학 없이 학교를 비즈니스로만 생각하고 무작정 뛰어드는 경우가 많아 걱정이라고 한다. 또한 “랍슨칼리지의 리스닝 프로그램은 현재 다운타운의 모든 학교들의 벤치마킹 대상이다. 타 학교에서 정상적으로 가져가 학생들에게 도움이 된다면 얼마든지 용인할 것이다. 하지만 남의 것을 의미 없이 무작정 베끼기에 급급하다면 결국 학생들에게 아무런 도움도 주지 못하게 될 것이다”라면서 보다 교육적 기본 이념에 충실해 지기를 당부한다.

손원장도 캐나다에 와서 지금까지의 삶을 되돌아보면 캐나다에 온 것이 잘한 일인지 의문이 들기도 한단다. 새벽5시에 일어나 저녁8시에 집에 돌아가는 삶이 되었기 때문이다. 오로지 자녀들의 좋은 교육환경과 성장하는 모습에서나 보람을 찾는 것 같다는 한숨도 섞여 나온다. 이처럼 이민1세대들은 만족이 있을 수 없는 것 같다고 한다. 항상 새로움에 도전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2002년 성공한 이민사업자 격려 및 모델 연구차원으로 캐나다 연방 이민부 장관이 랍슨 칼리지를 방문할 만큼 이민1세대의 성공 모델로 자리를 잡고 있는 손원장과 랍슨 칼리지의 향후 모습이 기대된다.

 

정완균 교육탐방 담당기자

 

담당자: Nikki Lee,
연락처:604-687-3259,
이메일:
nikki@robsoncollege.com,
홈페이지:
www.robsoncollege.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밴쿠버 내 잘 알려지지 않은 카페탐방
 광역 밴쿠버 어딜 가도 큰 프랜차이즈 카페인 스타벅스와 팀홀튼은 항상 눈에 띈다. 하지만 주위를 둘러보면 널리 알려진 카페는 아니지만, 사람들의 마음을 끄는 매력적인 작은 카페들이 많다. 추운 겨울철 날씨에 커피 한잔의 여유로움을 만끽하는 것도...
미성년자 술 마시면 벌금 230달러
미성년자가 술을 마시다가 적발시 부과되는 벌금이 내년에 두 배로 올라간다. 1월 1일부터 음주와 관련된 벌금 제도가 일부 변경되기 때문이다. 현재 BC주에서 합법적으로 술을 마실 수 있는 나이는 만 19세다. 미성년자가 술을 마시거나 구매했을 때 부과되는...
2010년 문화올림피아드에서 선보여
한국에서는 한국국립무용단의 ‘춘향’이 초대됐다. 한국 고전대표문학을 ‘춘향전’을 무대에 올린 ‘춘향’은 현재모습으로 완성까지 50년이 걸렸을 만큼 심혈을...
지난 5일, 밴쿠버 한인회관에서 한인 노인회 송년잔치가 열렸다. 정오 12시부터 시작된 이번 행사에는 서덕모 밴쿠버 총영사를 포함해 각 기관장, 단체장 및 밴쿠버 한인 노인 300여명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 행사는 밴쿠버 난타팀 ‘천둥’의 축하공연을...
2010년 문화 올림피아드 공연 안내 1
2010년 문화 올림피아드(2010 Cultural Olympiad)에 초대된 공연단 중 하나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있는 대만 공연단 ‘U Theatre’가 밴쿠버에 온다. 2700년전 그리스에서 첫 올림픽 게임이 시작된 이후, 올림픽은 최고의 기량을 가진 선수들이 노력을 보상받는 시간일...
정신수양과 건강을 도모 할 수 있는 ‘백석서예교실’
서예의 불모지인 밴쿠버에 한국 서예의 뿌리를 내리고 있는 곳이 있다. 백석 김진화(白石 金振和) 선생이 지난해부터 운영하는 ‘백석서예교실’이 그 곳이다. 서예가로서의 명성과 화려한 경력을 뒤로하고, 자신의 글을 쓰며 여생을 보내려 이민을 온 백석 선생은...
얼마 전, 2개월여 앞으로 다가온 2010 밴쿠버 동계 올림픽의 기분을 느껴보고자 올림픽 성화의 종착점이 될 BC 플레이스 스타디움(BC Place Stadium)에 방문했다...
많은 장학금 혜택과 고액 연봉 받을 수 있어
 BC주의 채광 산업은 연간 평균 80억 달러의 수익을 올리며 오랜 시간 효자 산업으로서 제 역할을 톡톡히 해왔다. 채광•광물 산업의 세계적인 중심지로도 잘 알려진 BC 주에는 현재 약 50여 곳의 지역에서 광산업이 진행 중이며 이곳에 종사하는 인력은 약 10만...
[OSEN=우충원 기자] 허정무와 마라도나가 이번에는 모국의 대표팀 사령탑으로 만나게 됐다.국제축구연맹(FIFA)과 남아공월드컵 조직위원회는 5일(이하 한국시간) 새벽 남아공 케이프타운 국제컨벤션센터(CTICC)에서 본선 조추첨을 가졌다.포트 2에 속한 한국은...
지난해 8월, 중형 트럭을 몰고 손님이 붐비던 메이플 릿지의 한 일식당을 그대로 들이받아 2명의 사망자와 7명의 중상자를 낸 51세 남성이 형사법상 무죄판결을 받고...
12월 5일은 BC주 봉사자(Volunteer)의 날이다. BC주 RCMP(연방경찰)는 지역사회의 치안유지에 봉사자들로부터 큰 도움을 받고 있다며 그간의 노고에 고마움을 전했다..
2010 남아공월드컵 본선 조 추첨 결과
한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5일(한국시각)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열린 2010 남아공월드컵 본선 조 추첨에서 아르헨티나, 나이지리아, 그리스와 같은 조(B조)에 편성됐다...
'너무 호들갑을 떠는 것 아닌가' 하퍼 총리 방한 동행취재 연속 사고(社告)를 내며 이런 생각을 했습니다.
AP시험 결과, 북미 최상위
“BC주 학생 5000명이 8000개의 시험을 봤다”며 “5년째 BC주 학생들의 성적은 캐나다 다른 주와 미국 평균을 훨씬 넘어섰다”고...
캐나다라인 란스도운(Lansdowne)역 앞
올림픽 경기 안내소가 리치몬드에서 2일 첫 선을 보였다. 안내소는 캐나다라인 란스도운(Lansdowne)역 앞에 설치됐다...
밴쿠버 아쿠아리움에서 지난 6월 7일 출생한 암컷 아기 흰돌고래(Beluga) 이름이 ‘나라(Nala)’로 정해졌다. ‘나라’는...
라저스 주최 제6회 산타크로스 퍼레이드가 6일(일) 오후 1시부터 다운타운에서 열린다. 퍼레이드는 브롱턴가(Broughton St)에서 출발하여 조지아가(Georgia St.)와 호위 가(Howe St.)돌아 데비 가 (Davie St.)에서 끝난다. 사진은 산타크로스가 직접 퍼레이드 경로를 표시하는...
대부분 독자분들이 이 글을 읽을 무렵에, 연말에 한국에서 좋은 소식 전해드리게 되면 좋겠습니다. 12월 소식을 모아봤습니다...
홀프 렌프류(Holt Renfrew) 50% 세일 고급 속옷 50-80% 세일
‘즐겨찾기’는 한주간 쇼핑•미용과 관련된 저렴한 할인행사나 특별 이벤트 등을 소개합니다. 일정과 장소, 행사의 성격은 주최 측 결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고급 속옷 50-80% 세일웨스트 밴쿠버에 있는 고급 부띠끄 속옷매장, ‘크리스틴...
'냉대하증', '자궁근종'
많은 여성들이 여성질환을 가볍게 여기거나 드러내놓고 말하기를 주저하여 가벼운 병을 큰 병으로 발전시키곤 한다. 증상을 보이면 바로 적절한 치료를 하는 것이 나는 물론...
 1281  1282  1283  1284  1285  1286  1287  1288  1289  1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