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동네방네] 밴쿠버-헤이스팅스, 이스트 밴쿠버 지역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0-02-12 00:00

한국인에게 높은 점수 못 받는 곳

밴쿠버-헤이스팅스 지역은 이름이 주는 선입견 때문에 높은 점수를 받지 못하는 것은 사실이다.
헤이스팅스(Hastings) 동쪽은 종종 밴쿠버에서 가장 가난한 문제지역의 대명사처럼 사용되기 때문이다. 특히 이민자 사이에서는 오래 산 사람일 수록 이 지역명에 대한 사건사고를 들은 반복학습 효과로 부정적인 경우가 많다.

그러나 지도를 놓고 보면 동서로 바운더리 로드(Boundary Rd)와 커머셜드라이브(Commercial Dr.) 사이, 남북으로 그랜뷰 하이웨이(Grandview Hwy)와 버라드만(Burrard Inlet)을 경계로 하는 이 지역은 흔히 생각하는 문제지역과 거리를 두고 있다. 차이나타운 인근은 이 지역에 포함되지 않는다.


특히 밴쿠버 유일의 놀이공원인 플레이랜드가 있는 헤이스팅스 파크 남쪽에는 단독주택 주거지가 조성돼 있으며 밴쿠버 다운타운과 1번 고속도로로 연결도 인접해 있어서, 타 지역 평균가격과 유사한 60~70만 달러대 단독주택들이 다수 있다. 방 숫자가 많은 비교적 새로 지은 집은 80만달러대를 호가한다. 또 동서로 나나이모가(Nanaimo St.)와 커머셜드라이브 사이 지역은 최근 재개발 된 건물도 있다.

 

단독주택이 극히 적은 지역
지역내 단독주택 비율은 약 25% 가량으로 Bc주 평균(50%) 보다 훨씬 비율이 낮다. 대신 5층 이하 저층 아파트나 듀플렉스가 각각 35%와 30% 비율을 차지해 타지역보다 많다. 즉 고가보다는 저가 거주지가 많다는 의미다. 주택 소유자 거주 비율은 54%로 Bc주 평균 70%에 비해 상당히 적은 편이다.


오래된 주택도 비율이 매우 높다. 1946년 이전에 지어진 주택 비율이 무려 25%. 1980년대 이전 주택이 전체 주택의 65%를 넘을 정도로 오래된 건물이 많다. 일부는 ‘전통가옥(Heritage house)’으로 보존되지만, 대부분은 재개발의 가치가 낮아 임대용으로 남아있기 때문이다. 지역내 아파트 저층(5층 이하) 가격은 25~30만 달러선. 고층 아파트 가격은 35만~40만달러선이다. 실거주자 거래보다는 렌트-투자용으로 나온 경우가 많다.

단독주택 가격은 1960년대 이전 형이 65만달러를 기준으로 한다. 이보다 비교적 새로 지은 단독주택이 70~80만달러선을 형성하고 있다. 가격도 중요하지만 인접도로 치안 상황도 파악할 필요가 있다. 강력범죄가 많은 편은 아니나 좀도둑 문제가 있다. 전체적인 가격을 지도에 반영하면 동고서저가 된다. 서쪽으로 인접한 리틀 이탈리아나, 차이나타운은 재산피해 범죄율이 메트로 밴쿠버에서 가장 높은 지역 중 하나다.


한국인에게 인기없는 지역
밴쿠버-헤이스팅스는 한국인 거주지로는 인기가 없다. 메트로밴쿠버 도심 지역 중 드물게 10대 언어 안에 한국어가 포함되지 않고, 20대 거주민 출신국 분류에서 한국이 포함되지 않는 지역이기도 하다. 지역 주민 중 소수민족 비율은 54%에 달하지만, 소수민족 중 근 70%는 중국계이고, 인도계와 필리핀계가 각각 10% 가량된다. 이민자 중에 이 곳으로 이주하는 한인은 극히 드물고, 대부분 중국 본토에서 온 사람들이다.


1960~70년대에는 한인 초기 이민자가 다수 이 지역에 거주하기도 했으나 대부분이 동쪽으로 이주한지 오래돼 이제는 그런 흔적을 찾아볼 수 없다. 거의 마지막으로 거주했던 한인 1세 노인 층도 다수가 90년대 들어 버나비 지역으로 이주했다.

또한 주민 특성상 지역내 장기거주하는 사람이 많지 않다. 5년내 이사하는 사람이 근 40%다. Bc주 평균에 비하면 크게 높은 것은 아니지만, 메트로밴쿠버 거주지 평균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높다.


살만한 곳을 찾는다면
살만한 곳을 찾는다면 동서로 바운더리 로드와 나나이모 사이, 남쪽으로 브로드웨이나 이스트 1애비뉴(E, 1st Ave.)를 선으로 긋고 그 안에서 단독주택 형태를 고려해 볼 수 있다.

PNE와 아주 가까운 지역은 거주나 투자용으로 인기를 높일 만한 요인이 많지 않다. 좋은 학교, 도보로 접근할 수 있는 쇼핑몰 등. 최근 메트로 밴쿠버 개발 형태로 도입되고 있는 주상복합 타워형에 대중교통이 접한 형태와는 거리가 멀다.

지역 재개발설은 여러차례 재기됐지만, 실제로 착수된 건수는 많지 않으니 주의. 또한 재개발의 혜택이 반드시 기존 거주자에게 돌아간다는 보장도 없다. 캐나다에서는 대규모 개발 전에 시청의 공고와 공청회가 표준화 돼 있어, 해당 과정조차 거치지 않은 재개발설이라면 거의 신빙성이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또 해당 과정을 거쳤더라도 착공와 완공까지 기한이 있으므로 ‘설’에 대해서는 신중할 필요가 있다.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밴쿠버-헤이스팅스 지역은
인구: 5만5110명 (2006년 기준)
평균렌트비: 875달러 (2008년 평균)
주택보유비: 1160달러 (2008년 평균)
주택 소유율: 54% (2006년 기준)
가시적 소수자 비율: 54%
평균소득: 납세 후 4만6725달러 (2005년 가구당)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단독주택 오르고 타운홈∙아파트는 주춤
프레이저벨리부동산협회(FVREB)는 5월 동안 멀티플리스팅서비스(MLS)를 이용한 주거용 부동산 거래량이 1608건으로 1년 전보다 9%, 4월보다 6% 늘었다고 밝혔다. 수크 시두(Sidhu) FVREB회장은 “종합적으로 보면 프레이저 벨리 시장은 균형을 맞춘 상태이나, 개별...
프레이저 강 경계로 나뉜 동네 애보츠포드-미션 접경지역의 특징은 프레이저 강을 놓고 11번 고속도로(애보츠포드-미션 하이웨이)로 연결된다는 점이다. 밴쿠버 시내까지 거리는 70km. 차로 다니기에는 부담이 느껴지는 거리다. 미국 국경까지 거리는 18km. 동네...
한국인에게 높은 점수 못 받는 곳
밴쿠버-헤이스팅스 지역은 이름이 주는 선입견 때문에 높은 점수를 받지 못하는 것은 사실이다. 헤이스팅스(Hastings) 동쪽은 종종 밴쿠버에서 가장 가난한 문제지역의 대명사처럼 사용되기 때문이다. 특히 이민자 사이에서는 오래 산 사람일 수록 이 지역명에 대한...
밴쿠버 도심지역 고급 사무실 공실률 0.5%서브리스 공간 증가 예상되나 여전히 찾기 쉽지 않는 편   메트로 밴쿠버 상업용 부동산은 주거용 부동산과 다른 흐름을 보이고 있다. 주거용 부동산은 공급이 수요를 앞지르는 국면을 보였지만 상업용 부동산은 수요가...
집을 줄여 옮길 계획인데?팔리지 않아 내외만 이렇게 큰집에 그냥 살고 있습니다.” 주택을 처분하고 콘도로 이사할 마음을 굳힌 코퀴틀람의 김모씨는 답답해했다. 매물을 내 놓은 지 꽤 시간이 지났는데도 아직 원매자가 나서질 않아서다. 메트로 밴쿠버지역에는...
다양한 형태의 주거지 위용 드러내
2010년 동계 올림픽을 2년 조금 넘게 남기고, 리치몬드 중심부 넘버3 로드 일대가 본격적인 공사를 통해 위용을 드러내고 있다. 지난
4만4272명(2006년 기준)이 거주하고 있는 웨스트 밴쿠버에서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주거형태는 단독주택이라고 할 수 있다. 고급 주택가로 잘 알려진 브리티시 프로퍼티즈(British Properties)나 알타몬드(Altamont) 지역인 경우 1에이커당 1만~2만 평방피트의 부지를 가진...
버려진 슬럼에서 마지막 남은 개척지로
밴쿠버 다운타운을 돌아다녀 보면 놀고 있는 땅을 찾기 정말 어렵다. 건물을 지을만한 곳에는 이미 콘도가 개발될 것이라는 광고간판이 서있고
캐나다 경기 호조와 루니화 강세로 인해 밴쿠버, 캘거리 등 캐나다 주요 대도시의 사무실 임대료가 상승세를 타고 있다. 특히 밴쿠버는 2010년 동계 올림픽 특수로 인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낮은 공실률을 기록하고 있어 사무실 자리를 찾으러 외곽 지역으로 떠나는...
하이게이트 옆 새로운 고층콘도 큰 인기
예전에는 인기가 없었는데, 최근 수년 만에 새로운 인기 주거지로 떠오른 곳을 골라 보라면 단연 버나비와 뉴웨스트민스터 경계에 위치한 하이게이트 단지를 꼽을 수 있다. 현재 이곳에는 대형 소매점과 각종 상점이 들어서 있으며, 2.5에이커의 녹지를 가진...
회의 및 이벤트 수용능력 3배 이상 늘어나 방문객 증가로 경제 부양효과 1억700만달러
지난 1987년 7월 처음으로 문을 연 밴쿠버 컨벤션 센터는 서부 캐나다의 가장 크고 중요한 이벤트 전시관으로 수많은 행사를 유치해 왔다. 특히 90년대에 밴쿠버가 북미 서부의 중심도시로 부상하면서 컨벤션 센터를 이용하려는 업체와 기관은 점점 더 늘어났으며,...
1913년에 BC주의 지방 자치제가 시작되면서 생긴 포트 코퀴틀람은 2006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2001년 이후로 인구가 2.8% 증가, 현재 5만2000명이 넘는 시민들이 상주하고 있다. 코퀴틀람 타운 센터에서 출발해 코퀴틀람 강을 지나면 시작되는 글렌우드(Glenwood) 지역은...
월넛그로브 단독주택(9466 217TH ST.) 판매희망가격 : 66만9000달러 거래체결가격 : 64만0000달러 공시가격(2007) : 48만7000달러 대지 21만7000달러 건물 27만0000달러 2004년 거래가격 : 18만0000달러 거래 소요기간 : 27일 면적 : 3276평방피트 구조 : 방 5, 욕실 4, 가스 파이어 1 특징 :...
플릿우드 단독주택(7838 168th ST.) 판매희망가격 : 63만4900달러 거래체결가격 : 62만0000달러 공시가격(2007) : 58만2000달러 대지 29만3000달러 건물 28만9000달러 2005년 거래가격 : 52만1449달러 거래 소요기간 : 10일 면적 : 3903평방피트 구조 : 방 5, 욕실 4, 가스 파이어 2 특징 :...
쿼트로 프로젝트 10에이커 부지 재개발
써리의 가장 오래된 주거지 중 하나인 월리(Whalley) 지역에 총 6억달러가 투입되어 1100여세대의 신규 주거지가 건설된다.
최고급 내장재와 인테리어 갖춘 럭셔리 콘도
밴쿠버 웨스트 케리스데일 지역에 최고급형 콘크리트 콘도 발삼(Balsam)이 일반에 분양을 하고 있다.
브랜트 우드 몰과 연계되어 개발
버나비 북부지역의 상업중심은 누가 뭐래도 윌링던과 로히드 하이웨이가 만나는 브랜트우드 몰 주변 지역 이라고
메트로 타운 단독주택(7249 GRAY AVE.) 판매희망가격 : 86만0000달러 거래체결가격 : 83만3000달러 공시가격(2006) : 70만0000달러   대지 45만7000달러   건물 24만3000달러 2002년 거래가격 : 53만0000달러 거래 소요기간 : 116일 면적 : 3708평방피트(지하포함) 구조 : 방 5, 욕실 5...
사우스 그랜빌 단독주택(1092 W 42nd Ave.) 판매희망가격 : 188만0000달러 거래체결가격 : 178만0000달러 2005년 거래가격 : 152만0000달러 공시가격(2006) : 135만1000달러 거래 소요기간 : 405일 총면적 : 4431 평방피트(지하포함) 주택구조 : 방 5, 욕실 6, 2층구조(1997년 재건축) (자료...
론스데일 (268 E 27TH ST.) 매물등록 74일만에 거래된 이 주택은 총 마감면적 2891평방피트에 침실 4, 욕실 4, 가스파이어 1개를 갖췄다. 거래가 기준 평방피트당 가격은 약 554달러(지하면적제외). 2005년 6월 53만800달러에 매매된 이 주택은 재건축 이후 2배 가까이 가격이...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