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감기와 헷갈리는 알레르기 비염, 증상과 치료법은?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0-04-20 00:00

잠자던 대지가 깨어나는 화사한 봄이 다가오고 있다. 그러나 봄이 되면 아름다워지는 자연만큼 환절기, 꽃가루, 황사 등으로 인해 당신의 호흡기는 위협받게 된다. 더구나 호흡기 질환은 감기를 제외하고는 한번 생기면 급성보다는 만성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특히 더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알레르기 비염, 환절기 감기, 기관지 천식, 축농증 등 대표적인 봄철 호흡기 질환부터 호흡기 검사법까지 꼼꼼히 알아본다.

알레르기 환자들과 천식환자들은 꽃가루가 날리는 봄이 오면 걱정부터 앞선다. 황사, 꽃가루에 매서운 봄바람까지, 호흡기를 위협하는 각종 위험 요소들이 도사리기 때문이다. 특히 봄철 꽃가루는 알레르기 비염 환자에게 경계 대상 1호다. 봄이 시작되기도 전부터 콧물과 재채기로 고생하고 있는 이들에게는 주변에 벚꽃이 만발했다고 해도 그저 그림의 떡일 뿐이다.

#1. 알레르기 비염의 증상을 알아보자!

사례 1. 알레르기 비염, 죽을 만큼 고통스럽다?

김모(28·서울 신림동)씨는 중학교 때 알레르기 비염을 진단받은 뒤 10년 이상 시달리고 있다. 콧물이나 코막힘도 문제지만 가장 고통스러운 것은 재채기다. 봄이 되면 증상이 더 심해져 몇 초 간격으로 끊임없이 재채기가 나와 말도 제대로 할 수 없다. 예의를 갖춰야 하는 자리나 공식 석상에서 재채기를 반복해 곱지 않은 시선을 받은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 새 학기는 김씨를 더 괴롭게 만든다. 김씨는 대인관계 기피증까지 생겼고, 급기야 자살 충동까지 느낀 뒤 정신과 치료를 받고 있다.

=> 알레르기 비염 환자들이 코막힘 증상이 있을 때 느끼는 좌절감은 에이즈 환자가 느끼는 고통과 비슷하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알레르기 비염 증상은 콧물, 재채기 등 별 것 아닌 것 같아 보이지만, 이것이 오래 지속되면 사회생활까지 어렵게 만들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코막힘이 아주 심하면 두통이나 입호흡을 유발해 다른 신체기관에도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청소년 때 알레르기 비염이 심해 입으로 숨을 쉬면 주걱턱이 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치아 부정교합으로 인해 얼굴 형태가 변하기도 한다. 장기적으로는 성장부진, 정서불안, 학습능력 저하 등의 문제를 초래할 수도 있다.

사례 2. 감기와 헷갈리는 알레르기 비염

강모(57·경기 부천시)씨는 환절기마다 코감기를 앓는다. 그럴 때마다 약을 사먹으면 언제 그랬냐는 듯 코가 뻥 뚫리곤 했다. 20년째 코감기를 달고 살면서 필요할 때마다 약을 사먹는 것으로 해결해왔다. 그런데 어느 순간부터 약을 먹어도 코가 시원해지지 않았고 약을 먹으면 오히려 숨을 쉬기가 더 힘들어진다는 것을 알고 큰 병원을 찾았다. 병원에서 강씨는 알레르기 비염 진단을 받았다. 의사는 “어쩌다 이 지경이 될 때까지 참고 살았느냐”고 했다. 코 안쪽 살(하비갑개)이 너무 심하게 부어 비강을 모두 막아 숨을 제대로 쉴 수 없는 상태라 수술할 수밖에 없었다.

=> 알레르기 비염을 코감기로 오인할 때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항울혈제(혈관 수축제)의 장기 복용이다. 이 약을 반복적으로 먹거나 계속 뿌리면 내성이 생겨 점점 더 높은 용량을 필요로 하게 된다. 심한 경우 코 안쪽의 하비갑개가 부어 약을 뿌려도 약이 제대로 들어갈 수도 없는 상태, 즉 약물 중독성 비염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항울혈제를 반복해서 복용하면 약이 온몸으로 흡수돼 몸 안의 혈관을 수축시키므로 어린이나 노인들은 심장에 무리가 갈 수도 있다. 알레르기 비염이 의심되면 병원을 방문해 정확한 검사를 받은 후 알레르기 비염인지 단순한 코감기인지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2. 알레르기비염, 치료는 어떻게 하나?

가장 일반적인 약물치료_현재 알레르기 비염 치료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는 방법은 항히스타민제나 스테로이드제와 같은 약물치료다. 비용이 비싼 것도 아니고 약을 쓰면 곧 증상이 가라앉기 때문에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이지만, 증상을 완화시켜주는 것일 뿐 근본적인 치료가 아니다. 때문에 이 치료법을 쓰는 환자들의 가장 큰 불만 중 하나가 ‘치료를 해도 잘 낫지 않는다’는 것이다.

60%의 완치율 자랑, 면역치료_면역치료란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항원에 대한 항체를 만들어줘 알레르기 비염이 없는 사람과 같은 면역상태로 만들어주는 것이다. 총 치료 기간은 3~5년 정도이며, 치료가 끝나면 60% 정도의 환자가 알레르기 비염 증상이 없어지는 것으로 보고돼 있다.누구에게나 100%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완치된다’라는 가능성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3~5년간 한 달에 한 번씩 주사를 맞으러 병원에 가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런 면역치료의 단점을 보완한 ‘설하면역제’가 나와 주목을 받고 있다. 설하면역제는 알약을 혀 밑에서 녹여 먹는 것으로 피하주사의 부작용의 위험성은 물론, 일주일 또는 한 달에 한 번씩 병원을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덜어 주고 있다.

구조적 이상일 때, 수술치료_알레르기비염 환자 중 코 안이 휘는 비중격만곡이나 코 안쪽의 살(비갑개) 이상 등 구조적인 문제가 있을 때는 수술을 할 수도 있다. 하지만 해당되는 사람이 그다지 많지 않다. 수술은 주로 비중격만곡교정술과 비갑개절제술 두 가지가 많이 쓰인다. 비중격만곡교정술은 한쪽으로 휘어 있는 코뼈를 바로 잡아서 양쪽 콧구멍으로 들어가는 바람을 일정하게 해주는 것이다. 비갑개절제술은 코 안에 부어 있는 살을 잘라 코에 많은 양의 공기가 들어가게 만들어 주는 것을 말한다. 근래에는 레이저를 이용한 치료법이 많이 쓰인다. 레이저 시술의 경우 기존 수술법에 비해 입원하지 않고 간단하게 외래에서 수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움말 정유산(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조유숙(서울아산병원 알레르기내과 교수), 정승규(삼성서울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권오정(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박중원(세브란스병원 알레르기내과 교수), 이정권(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조상헌(서울대병원 알레르기내과 교수), 이판제(코비한의원 원장)

/ 홍유미 헬스조선 기자 hym@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5월은 캐나다가 제정한 ‘아시아 전통문화의 달(Asian Heritage Month)’다. 아시아계 캐네디언들이 지켜온 역사를 축하하고, 각 나라의 문화를 적극 홍보하는 기간이다. 캐나다 정부는 2002년 5월에 공식적으로 아시아 전통문화의 달을 공식 제정했다. 미국보다는 23년...
BC주의 각 교육청은 수요에 따라 평생교육 프로그램(Continuing Education)을 마련해놓고 있다. 무료로 수강할 수 있는 ESL, ELSA, 고등학교 학과목 프로그램을 비롯해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사무보조, 전산회계 등의 자격증 프로그램이나 요리, 정신 수양 운동 등의 여가...
43개 학교에서 학생들 가르쳐… 경찰 “피해 더 있을 것”
지난 3월 10일 코퀴틀람 연방경찰(RCMP)은 한 학생의 부모로부터 교사가 학생을 성추행한다는 신고를 받았다. 부모의 신고로 수사를 시작한 경찰은 같은 날 2명의 피해자가 더 있는 것을 알아냈다
반대 주민청원 운동도 활발
통합소비세(HST)도입 내용을 담은 법안이 BC주의회에서 29일 쾌속 결의됐다.
"미술로 중∙장년 층 삶에 모티브를 제공합니다" 캐나다 자연 미술학교 박봉택 원장   인터뷰를 위해 ‘캐나다 자연미술학교’를 찾았다. 조금 이른 시간에 도착해서 기다리는데...
필리핀·베트남·인도·한국계 언론인들 초청
원탁회의에는 밴쿠버 내 필리핀·베트남·인도계 라디오 방송 대표들과 한국 교민신문 기자들이 초청됐다...
지난 4월 말, 한국기자협회가 주최한 제9회 재외동포기자대회에 1주일 간 참가했다. 이튿날 에는 한국관광공사가 준비한 점심식사가 일정에 포함되어 있었다. 식사 시간에 배정된 자리는 마침 지난해 7월 새로 부임한 한국관광공사 이참 사장 옆자리였다. 이사장은...
홀트 렌프류(Holt Renfrew)가 밴쿠버 다운타운점에서 로스 앤젤레스 남성의류 라인인 Smooth Co. 론칭행사를 지난 23일 가졌다. 이날 행사에는 로스 앤젤레스를 배경으로 한 MTV의 리얼리티...
밴쿠버 컨벤션 센터에서 ‘그로서리 쇼케이스 웨스트 2010(Grocery Showcase West 2010)’가 4월 25일과 26일 양일간 진행됐다. 해마다 열리는 행사로 올해 25회째를 맞았다. 350여개의 업체가 참여해 무료로 정품이나 샘플을 제공하며 자사 제품을 홍보했다. 올해는 소비자를...
매트로 밴쿠버에 매출 높은 인쇄소들
메트로 밴쿠버 인쇄소의 일감은 ▲업소용 전단과 카탈로그 ▲업무용 양식과 서류 ▲신문∙잡지 3가지로 나뉜다.
BC주에서 무료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영리 자선단체 Access Justice와 Pro bono Law B.C.가 지난 4월 1일에 정식 합병하여 Access Pro bono라는 이름으로 새로 출범했다. Access Justice는 변호사 선임료를 부담할 수 없는 저소득층에 무료 법률상담 서비스로 봉사했고, Pro bono Law B...
BC주정부가 BCIT에 44만7400달러의 재정 지원을 하겠다고 28일 보도자료를 통해 밝혔다. BCIT의 초음파 검사자 양성 디플로마 프로그램(Diagnostic Medical Sonography: 풀타임·2년 과정) 정원을 현재 24명에서 89명으로 2배 늘이기 위해서다. BCIT는 BC주에서 유일하게 현재 초음파...
캐나다에 난민 신청하며 버텨… 대법기각
주밴쿠버 총영사관(총영사 서덕모)은 한국에서 사기로 약 80억원 피해를 입히고 밴쿠버로 도피했던 조수남씨(여∙56세)가 한국-캐나다 범죄인 인도협약에 따라 28일 한국으로 송환됐다고 밝
“새 경제적 기회 있을 것”
BC주정부는 27일 주립공원(provincial park) 7곳을 새로 A급 공원(Class A)으로 승급하고 자연보호구역(conservancy) 1곳을 새로 정하는 법안(의안 15)을 주의회에 상정했다.
다른 교육청도 봄방학 연장 검토 중 주정부의 교부금 삭감에 대책 고심
BC주정부와 교육 교부금 씨름을 벌여온 메트로 밴쿠버내 각 교육청이 수업 일수를 줄이거나 줄일 것을 검토하고 있다.
7월부터 이용하는 서비스에 과세
통합소비세(HST) 정식 도입은 7월1일부터 이지만, BC주정부는 5월1일부터 7월 이후 이용하게 되는 상품∙서비스를 결제할 때 HST를 부과할 방침이다.
연간행사인 그로서리 쇼케이스 웨스트(GSW)가 지난 25일과 26일 밴쿠버 컨벤션 센터에서 열렸다. 행사에는 350여개의 업체가 참여해 무료로 정품이나 샘플을 제공하며 자사 제품을 홍보했다. 올해는 소비자를 고려해 안전하고 발상을 전환한 식품을 내놓는 경향이...
밴쿠버 웨스트 커리스데일 아레나에서 지난 18일과 19일에 골동품을 전시판매하는 앤티크 페어가 열렸다. 색은 살짝 바랬지만 고풍스러운 18세기 영국에서 건너온 주방 용품을 비롯해 영국의 정치가 윈스턴 처칠 조각상, 고서적, 찻기 세트 등 다양한 희소가치가...
밴듀슨 가든(VanDusen Garden)에서 원예 일일장터가 25일 성황리에 열렸다. 원예 일일장터는 밴쿠버에서 열리는 가장 큰 원예행사로 화사한 봄 분위기를 연출하는 씨앗, 생화, 모종을 판매했다.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진행한 행사는 궂은 날씨에도 많은 사람들로...
최근 해외 소비자들이 보는 한국 상품에 대한 이미지가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KOTRA가 최근 발간한 ‘2009 국가 및 산업 브랜드 맵 보고서’에 따르면 상품의 가격으로 평가한 한국 상품에 대한 이미지 수준이 전년대비 3.3% 개선된 71.5%로 나타났다. 이는...
 1261  1262  1263  1264  1265  1266  1267  1268  1269  1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