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임병석 회장 車트렁크에 '발렌타인 30년' 꽉 채워

밴쿠버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0-10-27 13:41

경영 책임 회피하려 '포스트잇'에 결재한 뒤 나중에 떼어버리기도

C&그룹 비리에 대한 검찰 수사가 진행되면서, 임병석(49) 회장 등 C&그룹 경영진의 로비행태에 대한 고발과 증언들이 잇따르고 있다.

검찰은 임 회장이 정·관계 인사들에게 법인카드를 나눠줘 로비한 정황 외에도 각종 비리 관련 정보를 입수, 입증자료를 확보하는 작업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모피코트 살포" 정보 추적

검찰은 임 회장이 계열사 C&진도가 생산한 다량의 모피코트를 명절 선물용 등으로 유력 인사들에게 선물했다는 정보를 입수해 진위 여부를 확인 중이다. 이 정보에는 모피코트를 '배달'하는 데 상당수 그룹 직원이 동원됐다는 내용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임 회장은 또 정·관계나 금융권 인사들을 접대할 때를 대비해 승용차 트렁크에 고급 양주인 '발렌타인 30년'을 꽉 채우고 다녔다는 증언도 나오고 있다. 접대장소는 일정하지 않았지만, 임 회장이 친척의 이름을 빌려 2007년 서울 강남에 열었던 D일식집도 활용됐다는 말이 있다. 이 일식집은 월매출이 1억원 정도였는데, 임 회장은 그룹 직원을 관리담당으로 파견해서 수시로 매출을 직접 보고받았다.

임 회장이 일식집을 연 것은 조선소 신설 등과 관련한 자금을 끌어오기 위해 임원들을 총동원해서 전방위(全方位) 로비를 벌이던 시점이다. 〈본지 26일자 A1면 참조〉 하지만 별 소득을 올리지 못한 경우도 적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C&그룹 관계자는 "군인공제회로부터 투자유치를 계획했다"고 했으나, 군인공제회측은 "C&에서 로비를 받거나 투자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로비에 활약한 임원, 비리 드러나도 감싸"

임 회장은 자신의 가신(家臣)그룹들을 정·관계 로비에 활용했으며, 이런 사람들은 비리가 드러나도 적극 감싸준 것으로 알려졌다.

C& 관계자들은 대표적으로 2004 ~2005년 우방을 인수할 때 뛴 임원 K씨를 사례로 든다. C&노조는 우방인수 이후 C&우방의 고위 임원을 맡은 K씨가 건설 하도급업체와의 계약을 사실상 수의계약으로 하는 등 전횡을 했다면서 문제를 제기했다고 한다. 하지만 당시 임 회장은 "○○이는 우방 인수 때 '올인'을 했다. 그래서 임원을 시켰으니 문제 삼지 말라"고 간부들을 모아놓고 말했다고 한다. 인수 때 중요한 역할을 했으니 '사소한' 비리는 문제 삼지 말라는 뜻으로 들렸다고 C&우방 관계자는 전했다.

임 회장은 반대로 바른말을 하거나 로비실적이 떨어지는 임원들은 쫓아냈다고 한다. 자신의 뜻에 반대하는 임원들은 비록 전문경영인 영입 케이스로 그룹에 들였다고 해도 권한을 뺏고 따돌리거나 사표를 쓰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특히 우방인수 때 사모펀드로 420억원을 투자한 우리은행의 본부장 출신인 또 다른 K임원의 경우엔 고분고분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회사를 나간 케이스라고 C& 관계자들은 말했다. 임 회장은 사실상 투자자인 우리은행을 의식해서 K씨에게 임원을 시켰기 때문에 대출을 끌어올 것으로 여겼지만 특별한 '실적'을 올리지 못하자 내쳤다는 것이다. C&그룹 관계자들은 "3개월마다 조직개편이 있었고, 결국 임 회장과 공동운명체인 가신들만 남았다"고 했다.

◆결재 흔적 지워 책임회피

임 회장은 거의 매일 41개 계열사 대표나 간부들을 소집해 회의를 주재하면서 지시를 내렸다고 C&그룹 관계자들은 말했다. 계열사 책임자들이 결정한 일이 임 회장 한마디에 완전히 뒤집히는 등 독단을 일삼았다는 것이다.

C&우방 직원들이 만든 'C&우방 살리기 비상대책위'측은 2008년 말 직원들의 급여가 체납됐을 때 회사에 현금이 들어오자 노사(勞使)가 직원 급여로 지급하기로 합의했으나, 임 회장이 마음대로 돈을 C&중공업에 지원해버렸다고 말했다.

C& 관계자들에 따르면 이런 독단 경영의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임 회장이 자신의 결재는 '포스트잇'(탈부착식 메모지)에 한 뒤에 나중에 떼어내는 방법을 썼다고 한다. 나중에 문제 될 소지를 없애려 했다는 것이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