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이건희 회장이 사면 사모님들도 따라 산다

김미리 기자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1-02-17 10:10

디자인 가구는 예술 작품…
故 노 전 대통령도 유럽 정상들 만나고 귀국해 독일 명품 의자 구입

지난 11일 본지에 가구 디자이너 배세화씨의 기사가 나간 뒤 문의 전화가 쇄도했다. 구매 경로를 묻는 이부터 작가의 공방을 보고 싶다는 사람까지 다양한 연령대로부터 여러 질문이 쏟아졌다. 작가의 홈페이지는 방문자 폭주로 한때 다운됐다. 디자인 가구에 대한 우리 사회의 관심이 소수의 상류층에 국한된 게 아니라 일반인들에게까지 퍼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한국에서 생활용품의 일부로 생각되던 가구가 컬렉션용 예술 작품으로 인식되게 된 최초 발원지(發源地)는 '이건희 삼성 회장가(家)'라는 게 디자인계에서 암묵적으로 통용되는 이야기이다. 이 회장가에서 상류층 '사모님'들 쪽으로 가구 컬렉션 유행이 퍼져 갔다는 말이다.

‘이건희 소파’로 알려진 바르셀로나 소파.

이 회장측은 1991~92년 서미갤러리(관장 홍송원)의 디자인 가구 전시회에서 처음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한다. 이 갤러리는 당시 조지 나카시마, 장 프루베 같은 유명 해외 작가의 빈티지 가구를 국내에 처음으로 선보였다. 이 회장가는 이 전시회에 나온 작품 가운데 일부를 사들인 것으로 전해졌다. 서미갤러리는 2007년 삼성 비자금 사태 때 이 회장의 부인 홍라희씨에게 로이 리히텐슈타인의 작품 '행복한 눈물'을 팔았는지가 논란이 됐을 정도로 삼성가와 인연이 깊다.

이 회장이 조지 나카시마의 가구를 구매한 사실이 가구업계와 재벌가를 중심으로 퍼지면서 조지 나카시마를 찾는 상류층 사모님들의 발길이 급증했다고 한다. 그전만 해도 상류층의 컬렉션 품목은 회화나 조각 같은 순수 예술 작품들에 한정됐었다. 조지 나카시마(1905~1990)는 일본미국 가구 디자이너로 애플스티브 잡스 회장이 거실에 두는 유일한 가구가 그의 작품인 것으로도 유명하다. 조지 나카시마는 며느리가 한국인이다. 그 한국인 며느리와 친분이 있다는 한 디자이너는 "2000년대 중반 갑자기 한국에서 집중적으로 그의 작품이 알려지고 구매 문의가 이어지자 나카시마측에서도 '신기한 현상'이라는 반응이었다"고 했다.

‘노무현 의자’로 알려진 세두스의 오픈업 체어.

건축가 미스 반 덴 로에(1886~1969)가 디자인한 바르셀로나 소파(데이베드용)도 비슷한 경우다. 이건희 회장이 이탈리아에 직접 주문해 이 제품을 산 뒤에 국내에서 상류층을 중심으로 비슷한 물건을 찾는 사람들이 늘기 시작했다는 전언이다. 가죽 소재가 무엇이냐에 따라 가격이 다른 이 제품은 가장 싼 것이 우리 돈으로 1500만원 정도다. 이탈리아제 최고급 소파 브랜드 '몰테니(Molteni)'도 이 회장이 관심 있어 한다는 소문이 난 뒤 상류층에서 '필수 소장품' 중 하나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관련 업계 관계자들에게선 디자인 가구 애호가로 재작년 서거한 노무현 전 대통령의 이름도 들을 수 있다. 한 가구회사 직원에 따르면 노 전 대통령은 재임 중 유럽 순방 길에 디자인 가구로 감각 있게 꾸민 여러 나라 정상의 집무실을 보면서 디자인 가구에 관심을 갖게 됐다고 한다. 주로 사무실용 디자인 의자였다. 노 전 대통령측은 귀국한 뒤 한 인테리어 회사를 통해 몇몇 고급 사무용 의자의 샘플을 본 뒤 독일의 명품 사무용 가구인 세두스(SEDUS)의 '오픈업 체어'를 샀다. 한 개에 200만~300만원 정도다. 노 전 대통령은 처음에는 한 개만 구입해 썼지만 마음에 들었는지 나중에 하나를 더 사 썼다는 후문이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아무튼, 주말] [김미리 기자의 1미리] 50년 수학 난제 풀어 세계가 주목 美 프린스턴대 수학과 허준이 교수
허준이 프린스턴대 교수가 연구실에 있는 칠판 앞에 서서 환하게 웃고 있다. 허 교수는 “수학자는 점점 사라져 가는 분필과 칠판을 마지막으로 수호하는 사람”이라고 했다. 그에게...
유니클로 크리에이티브 총괄 편집장 출신 ‘꽃중년’ 기노시타
유니클로의 매장 디자인과 브랜딩 등을 총괄하는 기노시타 다카히로(53)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유니클로옷 잘 입는 남자들 사이에 ‘스타일 교본’으로 통하는 해외 ‘꽃중년’이 몇몇...
우리 사회의 최고 부유층인 재벌가 사람들은 어떻게 머리 손질을 할까. 아침에 눈 뜨면 전속 미용사가 집으로 출근해 머리를 매만져 주는 건 아닐까."하하, 재벌가 사람들도 특별할 것 없이 다 똑같아요. 이렇게 훤히 뚫린 데서 머리 자른답니다. 프라이버시를...
독일서 “가장 아름다운 도서관”이라고 찬사받는 건물 바깥벽
독일 슈투트가르트 시(市)엔 외벽에 한글 명조체로 또렷하게 '도서관' 석 자를 새겨넣은 도서관이 있다. 지난해 10월 슈투트가르트 마일랜더 광장에 들어선 슈투트가르트...
"한국 결혼식, 하객이 너무 많아요. 똑같은 예산으로 1000명을 초대해 1000원짜리 식사를 내놓을지, 100명에게 1만원짜리 식사를 대접할지 생각해 보세요." "아이디어가 필요해요. 창고도 훌륭한 예식장으로 바꿀 수 있다고요."구릿빛 얼굴에 왜소한 몸집으로 한국의...
#1. 하이힐은 자주 신어 편한데 전통 꽃신은 불편하다? 양말과 서양식 구두에 길든 세대를 위한, 한복과 어울리면서도 현대적인 신은 없을까. (한복 디자이너 김영진)#2. 평범한 조명은 싫다. 한국에만 있는 재료를 쓰고 싶다. 미래적인 느낌까지 나면 금상첨화....
"예전의 삶이 중중모리였다면 국악 강사인 지금은 휘모리"마흔여섯에 직장 그만두고 실크로드부터 희망봉까지배낭 하나 메고 전 세계를 누볐다여행 중 국악 소중함 깨닫고 지리산에서 판소리·북 배워다문화 가정에 소리 가르친다인도네시아 티모르에서 시집온...
"통역장교 시절 익힌 영어, 이젠 아이들에게 가르쳐요"6·25때 참전해 월남에도 다녀왔다전역 후 쉰셋에 대학원 들어가 교원 자격증을 땄다사람들은 나를 보고 '목사님 얼굴'이라고 한다아이들의 해맑은 웃음이 내 인상까지 바꿔놓았다"에이, 피, 피, 엘, 이....
주부 정지영씨는 얼마 전 화장실 악취를 없애려고 장미향 방향제를 넣었다. 하지만 악취가 없어지기는커녕 하수구 냄새와 방향제 향이 섞여 고약한 냄새만 더해졌다. 향기에도 궁합이 있다. 같은 집 안이라도 침실이냐 욕실이냐에 따라 어울리는 향이 따로 있다....
우울증 앓다가 남 웃기면서 내 웃음 되찾다아이 셋 키우느라 퇴직한 뒤 전업주부 15년웃음치료사 공고 보고 무작정 지원… 꿈을 실현하는 데 연령제한은 없다 "안녕하세요. 1978년 미스코리아 진(眞)에 당선되고 싶었지만, 신발 사이즈가 안 맞아 떨어진 2011년...
디자인 가구는 예술 작품… 故 노 전 대통령도 유럽 정상들 만나고 귀국해 독일 명품 의자 구입 지난 11일 본지에 가구 디자이너 배세화씨의 기사가 나간 뒤 문의 전화가 쇄도했다. 구매 경로를 묻는 이부터 작가의 공방을 보고 싶다는 사람까지 다양한...
"어머, 이 집은 어떻게 과자 하나를 내놓아도 이렇게 달라 보여." 센스쟁이 김 여사. 그녀의 집을 찾는 손님들이 하나같이 하는 말이다. 요리엔 그다지 취미가 없는 그녀. 하지만 그녀가 요리를 내놓을 때마다 사람들 눈이 반짝인다. 심지어 손님 몰래 마트에서...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