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초등학생이 되는 칠순 아들

늘산 박병준 pcpak@shaw.ca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1-03-25 16:18

기고자: 늘산 박병준
아직 밖이 어두워 잠자리에 있는데 전화가 ‘때르릉’ 울린다.

이 시간에 전화하는 사람은 어머님이시다. 늘 자식 사랑하는 마음이 담긴 음성이 전선을 타고 건너온다.

"눈이 많이 오고 있다. 꼼짝하지 말고 집에 있거라." 하신다.

“예”하고 대답했는데, 이때 70넘은 아들은 초등학생이 된다.

어머니는 지금 양로원에 가 계신다.

집에 계실 때, 어머님 방은 2층에 있었다. 물 한 잔을 들고 오를 힘이 없어 컵을 계단 한 단 한 단에 올려놓으시며 기어 올라가기도 하셨다. 그 모습을 뵙는 게 가슴 아프고, 아래층에 방을 만들 형편도 안 되어 죄송하고 퍽 난감했다.

또 우리 내외가 외출할 일이 있으면 문을 잠가야 할지 그냥 열어둔 채 가야 할지 망설여지기도 했다. 열어두고 가면 귀가 어두워 누가 들어와도 알지 못할 뿐 아니라 혹 도둑이 힘없는 노인네를 밀친다면 꼼짝없이 당해야 할 판이다. 만약 대문을 잠그고 나간다면 불의의 사고가 났을 때 구조대가 문을 부수어야 될 일이었다.

그러던 중 어머님이 양로원으로 가시겠다고 우기기 시작했다. 한국 음식을 제공하는 아메니다 양로원에 친구분들이 같이 지내자고 하는 것이 계기가 되기도 했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이유는 따로 있는 듯했다. 혼자 계시다가 계단에서 굴러 떨어지거나 어지럼증 때문에 쓰러져 목숨을 잃게 되면 맏아들을 불효자로 만들고 만다는 염려 때문인 거다.



<▲ 박병준씨(오른쪽)과 그의 어머니.>

일본에서 공부한 신여성이 두매 산골 삼대독자와 혼인하여 맏아들을 낳으셨다. 일제의 압박에서 신음하는 백성을 구하라는 의미로 아명을 ‘모세’라고 부르며 나에게 온갖 기대를 걸고 한세상을 살아오신 어머님이시다. 파란만장하게 살아온 한 세기의 삶이 그 막바지에 이르러 자신의 죽음보다 아들의 안위를 더 걱정하신다. 그 마지막 소원이 이렇게 단순하고 간절해지는 시점에 이르렀다.


양로원 얘기가 나왔을 때 가장 반대를 한 것은 아내였다. 아흔이 넘은 어머님의 여생이 얼마나 남았다고 낯선 곳에 보내느냐, 어머님 떠나시는 날까지 모시겠다는 아내의 고집을 꺾는 일이 쉽지 않았다. 우리가 집을 비우는 동안 라면이나 아니면 찬밥을 물에 말아 대충 끼니를 때우기 일쑤이신데 그곳에 가시면 일단 하루 세 끼니 식사를 제대로 드실 수 있으니 그게 효도가 아니겠느냐, 동생들과 조카들도 충분히 이해하고 동의를 하였으니 그만 마음을 내려놓으라고 설득을 했다. 


어머님과 같이 양로원 답사를 하고 돌아온 후 아내가 고집을 꺾었다. 옛날 같으면 차려주는 밥상을 받고 아랫목에 않아 상노인 대접을 받을 70넘은 아내가 90넘은 시어머님을 모시고 늘 웃는 얼굴로 살아온 지난 세월이 새삼스러워 진다.


어머님을 양로원에 보낸다고 생각하니 우리 세 식구가 오손도손 마주 앉아 마시던 커피 시간을 더 이상 가질 수 없는 것이 제일 아쉬웠다. 그리고 뒤뜰 농사는 어찌하나. 씨 뿌리는 시기와 씨앗관리는 늘 어머님이 해 오시던 일이었는데... 


텅 빈 어머님 방은 그 다정하던 음성과 낮잠 주무시던 모습이 남아 .있는 듯 나도 모르게 들여다보게 된다.


오늘도 어머님 안 계신 빈자리에 칠순 아들이 서성인다.


<▲ 박병준씨(오른쪽)과 그의 어머니.>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여름이 되면 하늘과 바다가 맞닿은 해변에서 파도소리를 들으며 잠들고 싶어 거친 야생으로 들어가곤 한다. 세포를 갉아먹는 좀을 몰아낸 지 얼마나 되었다고 험한 트레킹을 가느냐는 주변의 만류를 물리치고 노스 코스트 트레일(North Coast Trail) 행을 결심한다. 별이 무수히 쏟아지는 해변에 밤의 도포자락을 핥는 모닥불, 달빛을 받아 밤새 반짝거리는 플랑크톤의 유영,...
글 김해영, 사진 백성현
외로운 사람들이외로움을 밟으며 오르는 산길에서외롭지 않은 산을 만난다그 산에 피는 꽃들 외롭지 않고그 산에 사는 산새 울음 외롭지 않고흐르는 물소리 바람소리 언제나처럼그런 모습으로 다가선다 외로운 발걸음들이산을 만나 외로움을 푸는 곳제 마음이 되어간다<▲ 사진= 늘산 박병준 >
유병옥 시인
봄은 어디에서 오는 걸까놀미욤 들에게 물으니저 수채화 물감빛 하늘에서 오지 연둣빛 혀로 답한다아니야, 샛바람이 봄내를 싣고 와 겨울을 휘적여 놓던데회색빛 가신 하늘이 고개를 가로젓는다웬 걸, 나비처럼 팔랑거리는 여인네 옷자락에서 묻어나는 거야바람이 속삭인다 뽀초롬 연둣빛 혀를 물고 있는 들과한결 가벼워진 하늘빛,향내를 품고 있는 봄바람이정숙한 여인네를 꼬드겨 일으킨 반란인 걸 어드메서 오는지어느메쯤 떠나갈지아지 못하는...
김해영 시인
아직 밖이 어두워 잠자리에 있는데 전화가 ‘때르릉’ 울린다.이 시간에 전화하는 사람은 어머님이시다. 늘 자식 사랑하는 마음이 담긴 음성이 전선을 타고 건너온다."눈이 많이 오고 있다. 꼼짝하지 말고 집에 있거라." 하신다.“예”하고 대답했는데, 이때 70넘은 아들은 초등학생이 된다.어머니는 지금 양로원에 가 계신다.집에 계실 때, 어머님 방은 2층에 있었다. 물 한 잔을...
늘산 박병준
내 몸은 천칭자칫 어느 하나를 욕심내면그만 기울어져 넘어지는 세상일에 치우치면시가 막히고글쓰기에 몰두하면세상 것이 우스워진다 어느 날 헤어날 길 없는 절망의 수렁에 빠졌다끝간데 없던 호기는 다 사라지고 절망의 끝은 보이지 않았다우울증인가 자가진단을 했다마음이 허해지자 몸에 병이 왔다 병이 들고 바짝 정신이 든다마음과 몸을 나란히 들고 저울질을 한다어느 한쪽으로 기울지 않도록 균형을 잡는다팽팽하다 아, 미루어둔 파릇한...
김해영 시인
간밤엔바람이 불었소미친 듯이 불었소땅 위의 모든 것을 다 쓸어버릴 듯이바람은 그렇게 불었소 헛된 아집의 각질과 빛 바랜 이름을명찰처럼 달고 있는 나무 둥치채찍처럼 후려치는매바람을맨 몸으로 견디어야만 했소 속이 꽉 찬 참나무처럼반듯하고튼실하게 살아왔다고허세 부리던 삶의 쭉쟁이를 아프게 아프게 훑어내야 했소 광풍이 헤집고 간 숲은고요하오……가만,귀 기울여 보오바람의 발자국이 또 다가오는 듯하오 <시작메모>간밤 미친...
김해영 시인
11월의 첫 날에  -  항암치료를 시작하는 날에 또닥또닥 빗줄기가 대지를 두들긴다남루한 몸을굽은 지팡이에 의지하여살아온 길을돌아보는 망설임과또 어둠을 헤쳐야 하는두려움이 배어있다슬픔이 욕망의 또 다른 얼굴이며좌절이 새로운 희망의 싹이라는 걸까마득히 모른 채걸어온 미망의 길타닥타닥 빗줄기가 새벽을 깨운다긴 밤 어두운 골목을 누비고 다니던 야경꾼의 얕은 기침소리저 짙은 절망 끝에는 여명이혼란의 뒤에는...
김해영 시인
                          위로 말하지 말 걸 네 아픔을 안다고어찌 속 빈 대처럼 허황한 말로 위로하러 들었던가뼈마디 자근자근 방망이질하고육신이 허물어지는 이 고통을…차라리 아무 말 말고 손이나 따스이 잡아줄 걸 아는 척하지 말 걸 사람살이가 다 그렇지겨울 지나면 봄이 오지 않겠느냐고대숲 훑고 가는 바람처럼 어찌 그리 허술히 대했던가비접도 제...
김해영 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