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대미환율 롤러코스터 장세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1-08-11 14:42

매일 이슈에 따라 급변

대미환율이 롤러코스터를 탔다.

캐나다 중앙은행 장 마감 공시를 보면 11일 대미환율은 98.83센트로 전날 99.48센트보다 하락세를 보였다. 앞서 9일 환율은 97.89센트, 8일은 99.09센트였다. 이번 주 들어 오름세와 내림세가 매일 교대로 일어났다.


주말을 향해 가면서 대미환율은 1대1에 근접하는 모습이지만, 매일 상황에 따라 오름세와 내림세 반전이 이뤄지고 있다. 루니(캐나다화 1달러) 기준으로 11일 환율은 미화 101.18센트다.


11일 대미환율 하락(캐나다화 가치상승)은 원자재 가격상승과 주가상승이 원인으로 지목됐다.

한국 외환은행 11일 매매기준율을 보면 캐나다화는 1094원35전, 미화는 1081원이다. 이틀전 환율에 비해 캐나다화는 3원 올랐고, 미화는 6원 올랐다.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소비자 환율은 1대1 넘어
캐나다 중앙은행 공시 12일 장 마감 대미환율은 99.07센트로 전날보다 0.24센트 올랐다.이번 주 들어 대미환율은 오르면 다음날 소폭 내리는 식으로 1대1 환율을 향해 움직였다.루니(캐나다화 1달러) 기준 12일 환율은 미화 1달러1.22센트다. 외환전문가들은 원유가격...
매일 이슈에 따라 급변
대미환율이 롤러코스터를 탔다. 캐나다 중앙은행 장 마감 공시를 보면 11일 대미환율은 98.83센트로 전날 99.48센트보다 하락세를 보였다. 앞서 9일 환율은 97.89센트, 8일은 99.09센트였다. 이번 주 들어 오름세와 내림세가 매일 교대로 일어났다.주말을 향해...
미화 1달러=97.90센트
캐나다 중앙은행 장 마감 공시를 보면 8일 99.09센트로 캐나다화와 거의 1대1까지 올랐던 대미환율이 9일 97.89센트로 내렸다. 지난 주말 미국 신용등급 하락으로 8일 원자재 가격이 하락하면서 대미환율은 하루 만에 1.28센트가 올랐다. 대미환율은 9일 다시 하락세로...
5일 미화 1달러=97.81센트
5일 정오 장에서 98.43센트까지 올라갔던 대미환율이 97.81센트로 마감했다. 전날 장 마감 환율(97.95센트)에 비교하면 5일 환율은 보합세를 보였다. 루니(캐나다화 1달러) 기준 환율은 미화 1달러2.24센트다. 단기간 환율상승 원인은 미국의 고용통계가 긍정적으로...
미화 1달러=캐나다화 97.95센트
대미환율이 3일 사이에 거의 2센트 가까이 올랐다.캐나다 중앙은행은 4일 미화 1달러당 97.95센트에 외환시장을 마감했다고 공시했다. 화요일 마감 환율은 96.02센트였다. 4일 환율은 루니(캐나다화 1달러) 기준으로 미화 1달러2.39센트를 기록했다. 외환 전문가들은...
2일 미화 1달러=캐나다화 96.02센트
미국 정부의 디폴트 위기가 해소되면서 대미환율이 다시 올랐다.캐나다 중앙은행은 2일 미화 1달러 당 96.02센트로 장 마감했다고 공시했다. 지난 주말 95.55센트보다 0.47센트 오른 환율이다. 루니(캐나다화 1달러) 기준으로 보면 2일 환율은 미화 1달러4.14센트다. 지난...
미화 1달러= 캐나다화 95.55센트
미국 디폴트 위기로 내림세를 보였던 대미환율이 주말에 다시 상승세로 반전했다. 결론은 나지 않았지만, 미국 정부가 어떻게든 디폴트를 막을 것이란 예상이 우세하기 때문이다. 캐나다 외환시장이 다음 주 월요일까지 쉬는 연휴를 맞이한 것도 대미환율...
미화 1달러=캐나다화 94.28센트
대미환율 하락세가 지속돼 26일 캐나다화 대미환율이 올해 들어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캐나다 중앙은행은 26일 장 마감 대미환율이 94.28센트로 전날보다 0.30센트 내렸다고 공시했다. 루니(캐나다화 1달러) 기준 환율은 미화 1달러5.83센트다. 당일 대미환율은 개장...
美경제∙환율 등 외부 요인이 성장 변수
캐나다 중앙은행과 민간 경제연구소는 외부 요인에 따른 하반기 캐나다 경제 성장 둔화를 예상했다.  중앙은행은 현 상황에 대해 4월 통화정책 보고서 예상대로 성장하고 있으나, 높은 캐나다 달러 가치(대미환율 하락)로 인해 수출이 둔화하고 국제시장...
캐나다 중앙은행 1%로 금리동결
캐나다 중앙은행은 19일 기준금리를 기존 1%대로 동결한다고 발표했다.중앙은행은 금리 동결 배경에 대해 국내 소비가 빠르게 늘지 않고 있는 가운데, 대미환율하락(캐나다달러 강세)때문에 대미수출이 감소한 점을 지적했다.중앙은행은 “캐나다 국내 수요의...
미화 1달러= 캐나다화 95.43센트
대미환율이 내림세를 보였다. 캐나다 중앙은행은 15일 캐나다화-미화 환율이 95.43센트로 하루 전 96.10센트보다 떨어졌다고 공시했다. 루니(캐나다화 1달러) 기준 환율은 미화 1달러4.87센트다.대미환율은 지난 6월 평균 96.45센트를 기록했다. 지난 12개월 사이 최저치는...
11월부터 새 100달러권 유통50·20·10·5달러권은 2013년까지  캐나다 중앙은행이 새롭게 도입되는 폴리머(Polymer) 화폐의 도안을 20일 처음 공개했다.  트레버 프레어스(Frers) 캐나다...
6월 들어 대미환율 상승 원인
대미환율이 6월 들어 소폭 상승세를 보였다. 캐나다 중앙은행은 17일 미화 1달러 당 캐나다화 98.02센트, 루니(캐나다화 1달러) 당 미화 1달러2.02센트에 장 마감했다고 밝혔다. 5월 평균 대미환율은 96.86센트 였다. 현재 대미환율은 12개월내 환율 최고치 기록인 지난해...
“물가상승 보다 대미환율이 더 큰 문제”
캐나다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현행 1%로 동결한다고 31일 발표했다.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 캐나다 경제의 지속 성장과 대미환율 하락세에 대응하기 위해 저금리 유지가 필요하다는 주장을 펼쳤다. 중앙은행은 민간의 물가상승 우려에 대해...
경제연구소 전망…시중은행은 금리 소폭 인하
캐나다 중앙은행이 다음 주 금리를 인상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CD하우 연구소는 통화정책위원회(MPC)를 통해 26일 중앙은행에 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을 건의했다고 발표했다. 건의안이 중앙은행에 수용되면 오는 31일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1.25%로 올려...
통계청 “산정방식 바꿔 물가감시 정확도 높이겠다”
캐나다 소비자물가가 4월 3.3% 올라 예년보다 높은 상승세를 유지했다. BC주 물가는 캐나다 평균보다 약간 낮은 2.7% 상승을 기록했다. 캐나다통계청은 4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 원인으로 1년 전보다 17.1% 오른 에너지 가격을 지목했다. 특히 휘발유 가격이 26.4% 올랐다....
미화 1달러=캐나다화 96.61센트
대미환율이 지난 주말에 비해 다소 올랐다. 캐나다 중앙은행은 24일 대미환율이 캐나다화 97.61센트에 장 마감했다고 공시했다. 지난 18일 97.06센트보다 다소 오른 환율이다. 캐나다화 1달러(루니)를 기준으로 보면 18일 미화 1달러3센트에서 24일 미화 1달러2센트로...
加중은, 中∙印의 급속 부상, 美의 느린 회복 인정
마크 카니(Carney) 캐나다중앙은행총재(사진)가 다극화된 세계(Multi-Polar World)에서 캐나다의 역할에 관해 16일 연설 하면서 새로운 대규모 패러다임의 전환이 대부분 인식하고 있는 것보다...
미화 1달러=96.70센트
일부 외환시장 분석가의 대미환율 하락세 전망이 빗나갔다. 대미환율은 이번 주초 보합세에 이어 상승했다. 캐나다 중앙은행은 6일 미화 1달러 당 96.70센트에 장 마감했다고 공시했다. 전날 장 마감대미환율 96.82센트보다는 소폭 하락한 수치지만, 이번 주초...
미화 1달러=캐나다화 95.26센트
하락세를 보이던 대미환율이 오랜만에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오사마 빈 라덴 사살 등이 미화 가치상승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자리 잡고 있는 가운데, 유가와 금값이 소폭 하락했기 때문이다. 유가와 금값 등락은 자원화폐인 캐나다화 가치에 큰 영향을 미친다....
 1  2  3  4  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