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가슴 먹먹할 정도로 아린 한국 현대사를 만나다”

문용준 기자 myj@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1-10-17 13:25

극단 하누리 연극 ‘짬뽕’을 보고

짬뽕은 세간의 시선이 야속하기만 하다. 짜장면과 함께 중국집을 대표하는 양대산맥으로 군림해 왔건만, 그에 걸맞는 대접은 좀처럼 받지 못했다. 사람들은 어처구니 없는 경험을 하거나 목격할 때마다 “이런 짬뽕 같은 경우는 처음이네”하며 이 맛깔스런 음식을 홀대하곤 했다. 짜장면이나 탕수육에 시비 거는 경우는 없었다. 오직 짬뽕만이 속어로 쓰였다. 짬뽕 소리를 들을 때 느끼는 강도는 ‘말미잘’과 거의 동급이다.

5·18 민주화 항쟁 이후 지금까지의 한국현대사를 묘사할 때도 ‘짬뽕’은 매우 적절한 수식어가 된다. 사태가 항쟁으로, 폭도가 열사로 이름을 달리하긴 했지만, 내란죄를 선고받은 이들은 여전히 건재하다. 대한민국에선 내란죄도 중죄가 아닌 모양이다. 한마디로 짬뽕 같은 상황이다.

 

연극 짬뽕은 이성적으로는 판단하기 힘든 한국 현대사, 광주에 대해 얘기했으며, 많은 이들의 호응을 끌어냈다. 서울에서 2004년 초연된 이후 10만여 명이 짬뽕을 통해 5·18을 경험했다.

이 연극이 매년 리메이크될 정도로 성공을 거두고 있다는 소식이 솔직히 놀랍다. 왜냐하면 연극은 은밀한 얘기를 할 때 사람들의 가슴을 보다 쉽게 먹먹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광주 얘기를 꺼내는 것을 사회적으로 금지시킨 시기에는, 허술한 배우의 연기에도 사람들은 울분을 토해내곤 했다. 알다시피 5·18은 더 이상 풍자의 소재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관객들이 짬뽕에 박수를 보내고 있다. 달리 해석하면 그만큼 극이 탄탄하다는 의미다.
 

그 탄탄함을 극단 ‘하누리’(단장 성효수)를 통해서도 충분히 엿볼 수 있었다. 밴쿠버에서 모국어로 표현되는 연극을 만날 수 있다는 것은 분명 가슴 쿵쾅거리는 경험이었다. 결론부터 얘기하면, 하누리의 짬뽕은 모국어가 귓가에 울린다는 것 이상의 감동이었다.

연극을 보면서 3개월 전 서울 대학로를 찾았던 기억이 났다. 대학로를 걷는 동안 술에 반쯤 취한 채 양곱창을 구워 팔던 아저씨가 생각났으며(애석하게도 그 허름한 양곱창집은 사라졌다), LP음반이 유난히 돋보였던 학림다방이 건재하다는 것을 확인했으며, 연극이 여전히 이 거리의 중심이라는 사실을 새삼 깨달았다.

대학로의 연극과 그 문화를 밴쿠버에서 고스란히 체감할 수 있다는 것이 큰 설레임으로 다가왔다. 배우들의 숨소리를 느끼기에 약간 큰 듯한 극장이 다소 부담스럽긴 했지만, 잘 짜여진 극을 쫓아가는 것만으로도 넉넉히 행복했다.

울 수도, 그렇다고 웃을 수도 없는 5·18 당시의 상황을 짬뽕은 블랙코미디 형식으로 풀어냈다. 사랑하는 여인과 동생, 그리고 피붙이의 죽음을 끝으로 연극은 막을 내리는 듯 했다. 하지만 예상과는 달리 연극은 죽음 이후부터 진짜 하고 싶은 얘기를 하기 시작했다. 배우들의 연기도 이때부터 더욱 빛을 발했다.

‘그 날’ 이후 유일하게 살아남은 중국집 주인은 독백을 통해 자신은 살았어도 살아 있는 것이 아니라고 고백한다. 그 고백은 5·18을 잊어서는 안 된다는 연출자의 의도를 제대로 표현했다. 그리고 그 배우의 표정을 읽고 목소리를 들으면서 가슴이 뻐개지는 듯 했다. 내년 하누리의 공연이 벌써부터 기다려지는 이유다.

 


<▲  극단 하누리의 연극 '짬뽕'이 13일부터 15일까지 버나비 쉐볼트 센터에서 공연됐다. / 사진=최성호 기자 sh@vanchosun.com >
 
 

 

문용준 기자 myj@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캐나디언 위민스 오픈 개최하는 밴쿠버 골프클럽
LPGA에서 활약하는 여자 골프 스타들이 올여름 밴쿠버에 온다. 코퀴틀람 시내 밴쿠버골프클럽(The Vancouver Golf Club)에서 8월 20일부터 26일까지 열리는 CN 캐나디안 위민스 오픈(Canadian Women’s Open)에 참가하기 위해서다.대회 참가가 예상되는 LPGA선수 중에는 유난히...
[현장스케치] 부채춤, 공기놀이, 딱지치기, 한식 등 다양한 문화 선보여
노스쇼어 지역 한인 청소년들이 캐나다 사회에 한국의 문화를 알리는데 앞장서고 있다. 28일 웨스트 밴쿠버 커뮤니티 센터에서 열린 ‘제2회 아시안 새해 축제(Asian New Year-Year of the...
노스 쇼어 코리안 유스 커뮤니티, 아시안 새해 축제에서 한국 문화 행사 기획
설을 맞아 다양한 행사가 밴쿠버 곳곳에서 진행되는 가운데 한인 고교생들로 구성된 단체가 한국 문화 알림이를 자청해 눈길을 끌고 있다.  ‘노스 쇼어 코리안 유스 커뮤니티(North Shore Korean Youth Community)’라고 명명된 이 단체는 한국 문화를 사랑하고 이를...
입국금지 대상 늘리며, 30명 추가 지명수배 발표
캐나다국경서비스청(CBSA)의 추가 지명수배자 명단에 한국인이 포함됐다. 11일 캐나다 정부는 입국금지 대상 확대 및 불법입국 지명수배자 30명의 명단을 공개하면서, 한국국적 고준규(Koh,...
총영사관, 한국어능력시험 응시자 모집
주밴쿠버총영사관(총영사 최연호)이 국립국제교육원에서 시행하는 제 26회 한국어능력시험(TOPIK) 응시자를 모집한다.   한국어능력시험은 한국 내 대학 유학 희망자와 기업체 취업 희망자들로부터 많은 호응을 얻고 있다. 한국어능력시험은 초급(1∙2급),...
주밴쿠버총영사관, 한국 문화예술의 밤 행사 개최
한류가 세계로 뻗고 있는 가운데 주밴쿠버총영사관(총영사 최연호)이 밴쿠버 사회에 한국 문화를 알리기 위해 발벗고 나섰다.   주밴쿠버총영사관은 30일 저녁 밴쿠버 유니테리언...
극단 하누리 연극 ‘짬뽕’을 보고
짬뽕은 세간의 시선이 야속하기만 하다. 짜장면과 함께 중국집을 대표하는 양대산맥으로 군림해 왔건만, 그에 걸맞는 대접은 좀처럼 받지 못했다. 사람들은 어처구니 없는 경험을 하거나...
재외선거관리위원회 출범
밴쿠버 총영사관에 재외선거관리위원회가 설치돼 2013년 1월 18일까지 운영된다. 내년 4월 11일 실시되는 총선과 12월 19일 대통령 선거를 공정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다. 재외선거관리위원회는 중앙선관위가 지명하는 2명 이내의 위원과 교섭단체 정당과...
민주평통, 24일 평화통일기원 등반대회 개최
민주평화통일 자문위원회 캐나다 서부 협의회(회장 최강일·이하 평통)가 주최하는‘평화통일기원등반대회’가 24일 오전 9시부터 오후 4시까지 번슨 레이크에서 열린다. 이 행사는 고국의...
C3소사이어티 캠프코리아 18일 성료
한인 1.5세와 2세 단체 C3소사이어티(회장 스티브 김)가 개최한 캠프 코리아가 18일 성황리에 종료됐다.   어린이에게 다양한 한국 문화를 소개하고자 마련된 이번 행사는 ‘한국의...
한국 문화를 알리고 한인 단결을 촉진하기 위해 마련된 '한인 문화의 날' 축제가 6일 코퀴틀람 블루 마운틴 파크에서 열렸다. 한인문화협회(회장 최병윤)의 주최로 마련된 이번 한인 문화의...
한국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정병국)는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의 전시 및 연구에 활용할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지난해 6월부터 ‘범국민 자료기증 캠페인’을 진행 중이다....
“한국 문화예술에 빠져보세요”…16일과 17일 양일간 열린 대규모 다문화행사 ‘써리 퓨전 페스티벌(Surrey fusion festival)’에서 정혜승 단장이 이끄는 한국무용단원이 한국 전통 가락에...
건립위 이사진, BC주정부와 후원 문제 논의
한국전 참전 기념관 건립위원회(위원장 채승기·이하 건립위원회) 이사진이 8일 해리 블로이(Bloy) BC다문화장관을 만났다.   윌리엄 로이 뉴튼씨, 조건호씨, 이원배씨, 에밀리 오씨 등...
C3소사이어티, 8월 16일~18일 제6회 체험 캠프 개최
한인 1.5세와 2세 단체 C3소사이어티(회장 스티브 김)가 메트로 밴쿠버 어린이들에게 한국의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한다.   C3소사이어티는 오는 8월 16일부터 18일까지...
한국어 능력시험 9월 시행
9월 17일 코퀴틀람 코모 레이크 중학교(Como Lake Middle School: 1121 King Albert Ave., Coquitlam)에서 국립국제교육원이 주관하는 ‘제24회 한국어능력시험(TOPIK)’이 시행된다. TOPIK은 초급(1∙2급), 중급(3∙4급), 고급(5∙6급)까지 총 6등급의 합격 기준이 있다. 주로 재외동포 및...
지난 27일 밴쿠버 중앙 도서관에서는 ‘다문화 전시회(Multicultural Fair)’가 열렸다. 캐나다를 이루고 있는 이민자들의 고국 문화와 예술을 엿볼 수 있었던 기회였다. 한인 봉사자들은 밴쿠버...
한국전 참전 기념관 건립위원회(위원장 채승기·이하 건립위원회)가 한국전 참전기념관 건립 청원서를 한국 정부와 캐나다 정부에 전달한다. 건립위원회는 28일 버나비 한 식당에서...
국립국제교육원(이하 교육원)이 2011년 해외동포 G-20 세대 여름 캠퍼스 프로그램 ‘HoME(Hope of Motherland Experience)’ 을 운영한다. 교육원은  이번 사업 목적에 대해 ▲ 한민족 정체성 확립 및 모국애 함양 ▲ 세대간 동질감 회복 및 글로벌 마인드 함양 ▲ 모국과...
세계직지문화협회 제2회 한인 댄스스포츠 경연대회 개최
세계직지문화협회 캐나다지부(홍보대사 김재혁·사진)가 제2회 한인 댄스스포츠 경연대회를 20일 밴쿠버 크로아티안 센터에서 개최한다. 이 대회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본이자...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