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UBC 한국어. 한국문학 담당 로스 킹(Ross King) 교수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2-00-00 00:00

UBC 한국어. 한국문학 담당 로스 킹(Ross King) 교수

UBC, 한국어과 대폭 강화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확대 위해 민간부문서 25만 달러 모금 계획

한국어 강사 채용 및 한국어 교재 제작 등에 사용






"한국어를 배우게 된 동기요? 운명의 장난이죠" 일반 언어학으로 하버드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그 중에서도 한국어와 일본어를 전공, 런던대에서 4년간, 그리고 현재 UBC에서 4년째 한국어와 한국문학을 가르쳐오고 있는 로스 킹(Ross King)교수, 웬만한 한국사람은 저리가라할만큼 유창한 한국어 때문인지 목소리만 듣고서는 금발머리의 백인이라고는 감히(?) 상상할 수 조차 없다.

기자의 한국이름을 정확히 발음하면서 한자로는 어떻게 쓰느냐고까지 물어본다. "한국교민 여러분은 한국어에 긍지를 가지셔야 합니다" UBC는 최근 한국어학과에 새 전임강사를 임명, 한국어 학과를 적극 지원할 뜻을 표명하면서 한국어 교육의 확대와 장려를 위해 교민들의 지지와 성원을 당부하고 있다. 한국어 교육을 위한 새로운 청사진은 무엇인지 킹교수로부터 자세한 내용을 들어봤다.



- 한국어 교육 확대를 위한 새로운 프로젝트의 핵심은 무엇인지.

영구적인 한국어 교사 자리를 마련하는 것입니다. 그간 한국어 학과의 교수진이 미약하고 한국어는 기껏해야 2년 정도, 기초수준밖에 교육할 수 없는 처지였으나 이번 프로젝트로 전임강사를 초빙하고 4년 내내 기초에서 고급까지 한국어 교육을 실시하려는 것이죠.



- 보통 한국어를 수강하는 학생은 몇 명정도 되나요?

한국어만 한1백여명 등록합니다. 이중 70-80%는 한국인 2세나 1.5세죠.



- 새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게 된 동기는?

물론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한국을 이해하는데 한국어는 필수적입니다. 그러나 현재로선 교재나 강사진이 부족해 교육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습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내년부터 풀타임으로 한국어를 가르치는 전임강사가 선임됩니다.






- UBC측에서 상당한 관심을 갖고 지원한다는데?

아시아 학생들이 많은터라 학교측이 아시아 학과에 관심을 갖는 것은 어쩌면 당연하죠. UBC는 지난 1982년부터 한국학에 대한 관심을 보여왔고 올해부터는 더욱 이를 강화할 방침입니다. 따라서 현재 학교측은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확대를 위해 이미 50난 달러를 적립했고 대칭자금으로 25만 달러, 민간부문에서 25만 달러를 모야 적극 지원할 방침입니다.



- 이 자금은 주로 어떤 용도로 쓰여지게 됩니까?

이번 자금은 직접적으로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에 바로 쓰여집니다. 즉 한국어 및 그 밖의 한국학연구를 위해 막연히 쓰여지는 것이 아니라 직접 한국어 강사를 채용하고 한국어 교재를 제작하는데 쓰여진다는 의밉니다.



- 한국어 교육이 다른 타 아시아 언어 교육과 어떤 차이가 있나요?

밴쿠버에 중국인이 20만 명 정도죠. 매년 중국어를 신청하는 학생수는 1천 여명이고 일본어도 1천 여명이 넘습니다. 반면 한국어는 한 100여명 정도죠. 그러나 한인교민이 2만 여명 정도라고 할 때 그 비율은 거의 같습니다.



- UBC가 서부 캐나다에서는 유일하게 한국어 학과를 개설하고 있죠?

그렇죠. 현재 한국어를 가르치는 학교는 북미에 대략 80여개입니다. 그러나 대부분이 2년정도로 그치고 있죠. 만일 UBC의 이번 프로젝트가 성공적이 된다면 4년 내내 깊이 있는 한국어를 가르치는 학교는 북미의 하버드나 하와이, UCLA등과 같은 명문대와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됩니다.



- 민간부문의 기금마련은 어떠한 방법으로 가능합니까?

거의 대부분의 일시납부 형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수년간에 걸친 기부서약이나 토지헌납, 유언, 공개 거래 주식기부, 평가자산등 다양한 방법으로 기부금을 받고 이에 대해선 UBC내 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대학당국이 마련한 소정의 프로그램으로 답례합니다.



- 한인 교민들이 한국어 교육확대를 위해 할 수 있는 일이라면?

우선 한국인 여러분은 한국어에 대한 자긍심을 가지셔야 합니다. 교민사회도 자꾸만 커지고 있고 한국과의 교류도 왕성한 만큼 이제 한국을 무시할 수는 없습니다. 학교측도 이를 인식하고 나름대로 열심히 지원하고 뛰고 있습니다. 장기적인 안목으로 수준높고 깊이 있는 한국어와 한국학 교육을 위해 한인 여러분의 지지와 성원을 부탁드립니다. 【전시현 기자】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