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UBC 한국어 전임강사 이인선씨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2-00-00 00:00

UBC 한국어 전임강사 이인선씨

"한국어 교육은 한국학 연구의 핵심"

한국어 프로그램 운영 기금 모금 중, 한인 사회 많은 관심 필요







UBC는 북미에서 가장 우수한 한국학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대학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한국학 연구의 기본이 되는 한국어 프로그램 보강을 위해 UBC는 지난 97년부터 한국어학과에 한국어 전임 강사직을 신설해 운영하고 있다. 97년부터 한국어 전임 강사로 일해온 이인선 씨는 그동안의 풍부한 한국어 강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어 고급 과정 강의과 교재 개발 연구로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 이인선씨를 만나 UBC의 한국어 학부 프로그램과 앞으로의 발전 방향, 한국어 교육 확대를 위한 모금 운동 등에 대해 들어봤다.



-UBC는 그동안 한국학 관련 프로그램에 많은 지원을 해온 것으로 알고 있다. 한국학 연구의 핵심인 한국어 프로그램은 어떤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나?

"초보자를 위한 102, 104과정에서부터 한국 단편 소설을 배우는 410, 한국어 고급 회화와 작문 과정인 415까지 단계별로 5개의 한국어 학부 과목이 개설되어 있다. 410과 415과정은 해마다 번갈아 가며 격년제로 개설되고 있다. 그동안 한국어 프로그램이 많이 강화되어 한국어와 한국문학을 연계시키는 4년제 프로그램을 제공하게 됐다. "




-북미 다른 대학의 한국어 프로그램과 비교해 UBC 한국어 프로그램의 강점은 무엇인가?

"첫째는 한국계 학생들과 비한국계 학생들을 위해 초급 과정을 102과 104로 분리해 운영하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어에 관심있는 비한국계 학생들이 처음 한국어 수강 신청을 했다가 중도에 포기하는 사례가 그동안 많았다. 102는 비한국계 학생들을 위해 ㄱ,ㄴ,ㄷ부터 시작하는 프로그램이다. 학생들의 반응이 좋다. 한국계 학생와 비한국계 학생을 위해 초급반을 두가지로 나눠 운영하는 대학은 북미에서 그리 많지 않다. 현재 102과정은 비한국계 학생 13명이 수강하고 있다. 둘째는 초급반에서 고급반까지 계속해서 들을 수 있는 4년제 프로그램이 제공된다는 점이다. 이것 역시 북미 지역 대학에서는 아주 보기 드문 경우다. "




-그동안 UBC외에도 여러 곳에서 한국어를 강의한 것으로 알고 있다. 한국어를 가르치게 된 배경은?

"최근까지 SFU에서 한국어를 10여년간 가르쳤고 미국 하바드 대학에서 여름 학기 동안 한국어를 가르치기도 했다. 76년 에드먼튼으로 이민온 후 평소 관심이 있었던 언어학 공부를 계속했다. 그 당시만 해도 한국에 대한 인지도가 낮았다. 처음엔 사람들이 한국을 너무 모르는 것이 화가 나서 한국말을 가르치기 시작했다. 한국에 대해 알고 싶어하는 사람이 있으면 적극적으로 도와줬다. 에드몬튼 교육청에 직접 찾아가 한국어 개설을 요청하고 한국어 강사로 사람들을 가르치기 시작했다. 88년 밴쿠버로 온후 UBC에서 언어학 석사과정을 밟으며 조교일을 했다. 97년에 한국어 전임 강사직이 신설되면서 UBC에서 전임강사로 일하게 됐다."



-한국어를 가르치면서 느낀 소감은?

"처음엔 겁없이 달려들었다. 언어라는 것이 가르치면 가르칠수록 어렵다는 생각이 든다. 아직도 계속 배우고 있다. 언어는 한 문화를 이해하는데 가장 기본이 된다. 한국어 교육 역시 한국 문화와 역사를 이해하는데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비한국계 학생들은 주로 어떤 목적으로 한국어를 배우는가?

"상법 관련이나 상대에 다니고 있는 학생들, ESL강사, 태권도를 배우는 학생, 배우자가 한국인인 사람들이 주로 수강한다. SFU 한국어 과정에는 한국 또는 이곳 한인들을 상대로 비지니스를 하거나 변호사일을 하는 분들이 많이 등록하고 있다."



-한국어 프로그램 강화를 위해 신설된 한국어 전임 강사직 운영을 위한 기금을 모집하고 있는데 현재 어느 성과는 어느 정도인가?

"2001년 12월까지 1백만 달러를 목표로 기금을 모으고 있다. 한국어 전임 강사직 운영을 위해 필요한 이 기금 모금은 4년 전 한국 국제 교류 재단과 한국 학술 진흥 재단의 후원으로 시작됐다. UBC는 두 재단이 내놓은 기부금 액수와 같은 금액만큼을 대칭 기금으로 이미 적립해둔 상태다. 한국 교민들이 그동안 많은 성원을 보내주셨다. 앞으로 10만 달러만 추가로 모금되면 UBC측에서 같은 금액만큼을 대칭 기금으로 적립하게 됨으로써 기금 모집이 완료된다. 지금까지 한국어 전임 강사직 신설을 위해 한국 교민 여러분들이 보내주신 성원에 대해 이 자리를 빌어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앞으로 모금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될 수 있도록 다시 한번 한국 교민들의 후원을 부탁드리고 싶다."



-앞으로 UBC는 한국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어떤 일들을 추진할 계획인가?

"하이테크 시대에 맞춰 웹싸이트를 통해 한국어를 배울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 1차적으로 UBC 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운영한 후 개발이 완전히 끝나면 일반인들도 누구나 인터넷을 통해 한국어를 배울 수 있는 웹 싸이트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물론 많은 시간과 돈, 인력이 소요되는 일이다. 또 한국계 학생들을 위한 한국어 초급 과정인 104과목에 필요한 교재도 개발할 계획이다. 앞으로 할 일이 무궁무진하다. UBC는 한국학의 기본이 되는 한국어 교육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많은 노력하고 있다. 앞으로도 교민 사회의 많은 관심을 부탁드리고 싶다. " <조은상 기자>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친절의 꽃 2001.11.30 (금)
 - 오영옥 / 코리아 비즈니스 써비씨스㈜ 실장 친절의 꽃 한국어로 친절이란 단어의 사전적 의미는 사람을 대하거나, 보살피거나, 가르쳐 주거나 하는 태도가 정답거나, 따뜻하거나, 자세하거나 하여 고마움을 느끼게 하는 상태에 있는 것 또는, 그러한...
호흡의 종류와 방법(2) 성서에 하나님이 흙으로 인간을 빚으시고 숨을 불어넣어 생명을 주셨다고 되어있다. 동양 철학으로 설명한다면 흙은 지기요 숨은 우주의 기운 천기이다. 그러나 이런 논리 이전에 성서의 이 한마디는 인간의 존재를 너무나도 쉽게 설명한...
캐나다양곡은행 방북대표단 클라렌스 투인씨 "식량난은 여전, 북한 변하면 지원 늘어날듯" 식수·전력·의료진 부족도 심각 기아에 허덕이고 있는 세계 각국에 식량을 지원하고 있는 캐나다양곡은행(Canadian FoodGrains Bank)의 대표단이 최근 북한을 방문했다....
절세- RRSP를 살것 2001.11.30 (금)
  -허 억 前 공인회계사 前 한국 CPA·前 캐나다 CGA·경영학석사· 현 VCC회계학 강사 전화 438-3162 Email: ahaw@iiworld.com 절세- RRSP를 살것 RRSP는 Registered Retirement Savings Plan의 약자로서 거의 모르는 사람이 없다. 왜냐하면 이는 캐나다에서 가장 널리...
 - 오영옥 / 코리아 비즈니스 써비씨스㈜ 실장 사람을 귀하게 여기라 친절은 사람을 대하거나, 보살피거나, 가르쳐 주거나 하는 태도가 정답거나, 따뜻하거나, 자세하거나 하여 고마움을 느끼게 하는 상태에 있는 것 또는, 그러한 태도이다. 겸손은 남을...
한국의 기수련 단체들 많은분들이 막상 단전호흡을 수련하고자 할 때 수 많은 기 수련 단체중 어느 단체를 선택 해야 할지를 상담해 오는 경우가 많다. 한국에서도 최근 약 십여년 전 부터 기 수련 단체가 우후죽순처럼 생겨나 이 분야에 정확한 지식이 없는...
BC주 대학생 총연합회 발족인 젊음과 패기로 함께 뜁니다. BC주 한인 대학생들이 하나로 뭉쳤다. UBC, SFU, 에밀리카 등 BC주 소재 5개 대학 한인 학생 대표들은 지난 8월 19일 신문지상을 통해'BC주 대학생 총연합회'출범을 알렸다. 발족인들은 한인 사회 1.5세와...
  -허 억 前 공인회계사 前 한국 CPA·前 캐나다 CGA·경영학석사· 현 VCC회계학 강사 전화 438-3162 Email: ahaw@iiworld.com 절세-주택을 구입할 것 만약 우리가 살 집을 사지않고 월세를 내고 있다면 이는 캐나다에서 가장 좋은 투자기회를 포기하고 있는...
 - 오영옥 / 코리아 비즈니스 써비씨스㈜ 실장 주인에게 충성을 다하라 필자는 작은 회사를 운영하면서 자신에게 맡겨진 일에 충성을 다하는 사람을 만나고 싶었다. 자신의 일에 열심히 일하지만 충성을 다하는 직원은 가물에 콩 나듯 귀하다. 맡겨진...
행공에 임하는 마음의 자세 지난 몇회에 걸처 단전행공에 필요한 기초 지식에 대하여 알아 보았다. 이번회 부터는 본격적으로 호흡의 수련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원래의 단전 행공의 옛이름은 여러가지로 불리웠으나, 가장 많이 사용된 이름은...
통일염원 국토종단 마친 이경상씨 "그날이 오면 백두까지 다시한번 걷고 싶다" 한라에서 임진각까지 450km, 걷고 뛰며 오직 '통일'만 염원 '하나된 조국'을 기원하며 제주에서 임진각까지 국토 종단 대장정을 마친 이경상씨가 지난 1일 귀국했다. 아무런 후원자도...
감사가 나오면 2001.11.30 (금)
  -허 억 前 공인회계사 前 한국 CPA·前 캐나다 CGA·경영학석사· 현 VCC회계학 강사 전화 438-3162 Email: ahaw@iiworld.com 감사가 나오면 세무서에서 감사를 하기 위하여는 3, 4일전에 연락한다. 세무서에 있는 OO인데 XX부터 감사를 하고자 합니다."하고...
호흡의 실제(2) 2001.11.30 (금)
호흡의 실제(2) 지난호에 이어서 호흡의 방법에 대하여 계속 설명하겠다. 입문호흡이 끝나면 기초 단전 행공의 단계로 들어가게 된다. 이 단계에서는 편한 마음으로 아랫배 중심 깊은 곳을 바라보며 숨을 쉬데, 숨이 저절로 들어오고 나가는 것을 지켜보기만 한다....
도시빈민돕기운동하는 한경호, 최종영 목사 "말보다 손으로, 도시 그늘진 곳에 희망을" 토요일마다 무숙자에게 무료 식사 제공 3년 째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곳으로 손꼽히고 있는 아름다운 도시 밴쿠버의 번화한 길거리에는 오늘도 무숙자들과 걸인들이...
감사는 왜 나오나(2) -허 억 前 공인회계사 前 한국 CPA·前 캐나다 CGA·경영학석사· 현 VCC회계학 강사 전화 438-3162 Email: ahaw@iiworld.com 감사는 왜 나오나(2) 오늘은 지난번에 이어서 감사가 나오는 두 번째 이유부터 이야기 하고자 한다. 두 번째 이유는 Tax Lead...
호흡의 실제(1) 2001.11.30 (금)
호흡의 실제(1) 그러면 단전호흡은 어떻게 하는 것인가? 밤낮으로 쉴틈없이 하고 있는 숨쉬기인데도 기 수련에 입문한 사람들은 단전으로 숨쉬기가 그렇게 어려운줄 몰랐다고 말하곤 한다. 흉식 호흡도 복식호흡도 아닌 아랫배 깊숙히 들여 마시는 단전호흡을...
한국영화도 이제는 세계로 올해 밴쿠버국제영화제는 한국의 코메디 영화를 비롯, 화제작이 다수 출품됐다.'주유소 습격사건'의 김상진 감독(사진 위)과'죽거나 혹은 나쁘거나'의 류승완 감독(사진 아래)을 만나 그들의 영화와 요즘 한국 영화계에 대해 들어봤다....
감사는 왜 나오나(1) -허 억 前 공인회계사 前 한국 CPA·前 캐나다 CGA·경영학석사· 현 VCC회계학 강사 전화 438-3162 Email: ahaw@iiworld.com 나는 1967년에 한국에서 공인회계사가 되고 1974년, 캐나다에서 공인회계사(CGA)가 되어 회계를 직업으로 이제까지 살아왔다. 한...
호흡의 길이 2001.11.30 (금)
호흡의 길이 마음이 안정될수록 호흡은 깊어지고 길이는 늘어난다. 들이마시는 숨과 내쉬는 숨의 길이를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가는 이론적으로 기후 조건에 달려 있다고 본다. 추운 나라에서는 추위를 방지하고 몸의 열 방출을 막기 위해서 대체로 들숨을 길게...
밴쿠버교육청 국제교육프로그램 매니저 바브라 언스태드씨 "적극적 학교 생활이 유학 성공의 지름길" 밴쿠버 한국 유학생수 중국계 이어 2위, 초등학생 유학은 가장 많아 본국의 조기유학 열풍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BC주 각 교육청들도 유학생 유치에 적극...
 1791  1792  1793  1794  1795  1796  1797  1798  1799  1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