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두번째 보는 '北 권력급변 드라마'에 국민들 무덤덤해졌다

김성민 기자 dori2381@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1-12-20 10:18

"죽을 때가 됐으니 죽었겠죠. 나하고 직접 상관없는 일인 것 같아요. 별 관심 없어요."

20일 서울역에서 만난 대학생 김모(여·20)씨는 김정일 사망에 대해 "내 일상생활에 큰 변화가 없으니 신경 쓰고 싶지 않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대학생 민모(여·26)씨는 "놀라긴 했지만 별다른 위기감은 없다"고 했다.

김정일 사망이라는 큰 사건이 발생했지만 실향민, 탈북자, 북한의 테러 희생자들을 제외한 시민들의 반응은 의외로 무덤덤하다. 1994년 김일성 사망 당시에는 김정일 후계체제가 확고한 상태였고, 이번에는 김정은 후계체제가 불안정해 돌발 사태가 벌어질 가능성이 더 큰 데도 불구하고 시민들의 동요는 없었다.

민통선 인근, 연평도에서도 "무덤덤하다"

전방 민통선 바로 아래에 있는 동해안 최북단 마을인 강원도 고성군 현내면 명파리 주민 이범규(75)씨는 "여기 주민들은 하도 긴장 속에서 살아와서 그런지 대수롭지 않게 생각한다"고 했다. 화천군 화천읍 풍산리 주민 김현기(73)씨는 "전쟁 걱정하는 사람들도 있다는데 중국하고 미국이 있으니까 전쟁이 날 것 같지는 않다"고 말했다.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사망한 다음 날인 20일 오후 인천국제공항 경찰들은 평소보다 더 강화된 경계근무를 했다. /뉴시스

연평도 주민 김모(60)씨는 "다들 담담하다"면서도 "심적으로야 많이 불안해하고 있고, 여차하면 섬을 나가려고 보따리를 다들 싸놓았지만, 설마 북한이 또 포를 쏘겠느냐고 생각하는 주민이 많다"고 말했다.

백령도에서 횟집을 하는 엄모(여·56)씨는 "위급한 상황인 줄은 알지만 큰 걱정은 하지 않는다"고 했다. 인천에서 통닭집을 하는 김모(32)씨는 "엊저녁에는 잠깐 장사가 안 되는 듯했는데 바로 회복이 됐다"며 "김정일이 죽었대도 장사에는 별다른 영향이 없으니 나도 별 관심 없다"고 했다. 서울역 롯데마트 직원 유모(42)씨는 "분위기가 조금 어수선한 것 같긴 한데 뭐 특별히 다른 점은 없다"고 말했다.

예고된 죽음인 데다 북한발(發) 돌발 사태 없을 것으로 낙관

시민들의 반응은 "관심 없다" 또는 "전쟁이 나지 않을 것"이라는 것으로 요약된다. 전문가들은 1994년 김일성 사망 당시와는 여러 가지 상황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곽금주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는 "김일성이 미·북 회담 성사 직전에 갑작스럽게 사망한 것과 달리 김정일의 사망은 뇌졸중으로 쓰러졌던 2008년부터 예견됐기 때문에 놀라운 소식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유호열 고려대 북한학과 교수는 "1994년 김일성 사망 때 경험했던 북한의 권력 세습이라는 똑같은 드라마가 반복되고 있기 때문에 불안감이 크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김일성이 사망했던 1994년에 비해 1인당 GDP(국내총생산)가 두 배 이상인 2만달러를 넘는 등 경제 발전을 이룩한 자신감도 시민들의 동요를 막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연구교수는 "무역 1조달러를 달성한 남한 경제가 북한 경제를 압도하고 있고, 세계 경제에서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자신감이 국민들이 김정일 사망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는 이유 가운데 하나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세계적인 경제 불황이 북한문제에 대한 무관심을 가져 왔다는 지적도 있다. 김성한 고려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경제적으로 어려운 시기라 내 일이 아닌 것에는 관심이 떨어지는 상황이라 김정일의 죽음이 관심거리가 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 여의도의 한 증권회사 직원 최모(29)씨는 20일 "잠깐 주가가 어떻게 될까 걱정했을 뿐 크게 신경 쓰지 않았다"며 "남북관계가 크게 변화할 것이란 생각은 안 한다"고 말했다.

유석춘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는 "수많은 북한과의 갈등 속에서 전쟁 위험은 남북 대화 등으로 우리가 컨트롤할 수 있다는 정서가 생긴 듯하다"면서도 "실제로는 심각하고 위험한 상황인데도 사람들이 전혀 심각하게 대응을 하지 않는 비정상적인 안보 불감증에 빠진 상태"라고 말했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조회수 2900여만건 기록… 한달간 가장 많이 본 동영상
가수 싸이의 ‘강남스타일’ 뮤직비디오가 13일과 14일 각각 공개된 유튜브의 ‘최근 한 달간 세계에서 가장 많이 본 동영상’ 차트에서 연이틀 1위에 올랐다고 소속사 YG엔터테인먼트가 밝혔다. 유튜브는 매일 한 달 전부터 해당일까지의 동영상 클릭 순위를...
세계 최대 동영상 사이트인 유튜브(YouTube)의 공동 창업자 스티브 첸(Steve Chen·34)이 지난 2009년 한국인 여성과 비밀리에 결혼한 것으로 확인됐다.스티브 첸은 지난 2008년 3월 유튜브 코리아...
"죽을 때가 됐으니 죽었겠죠. 나하고 직접 상관없는 일인 것 같아요. 별 관심 없어요."20일 서울역에서 만난 대학생 김모(여·20)씨는 김정일 사망에 대해 "내 일상생활에 큰 변화가 없으니 신경 쓰고 싶지 않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대학생 민모(여·26)씨는 "놀라긴...
KAIST에 전재산 기부한 김병호·김삼열 부부 "이쑤시개도 8조각 나눠 써" 남편 기부 2년뒤 부인도 실천 "남편의 기부 바이러스가 저한테도 옮아왔나 봐요. 평생 아껴서 모으기만 했는데...
박용수씨 살해-자살 사건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5촌 조카 2명이 지난 6일 북한산 주변에서 숨진 채 발견된 사건을 수사 중인 경찰은 금전 관계로 다툼을 벌이다 박용수(51)씨가 사촌인 박용철(49)씨를 살해한 뒤 자살한 것으로 보고 정확한 범행 동기를 파악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서울...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