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거리소년에서 상원의원이 되기까지”

최성호 기자 sh@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2-02-21 13:22

신호범 워싱턴주 상원부의장 꿈을 이야기하다

“세상은 여러분께 열려 있습니다. 자신의 꿈을 이룰 수 있다는 긍정적인 생각과 확신을 가지고 앞으로 나아가십시오.”

지난 18일 한카 나눔의 재단(회장 채승기)이 개최한 초청 강연이 열린 써리 그레이스 한인교회.
단상에 선 신호범(77·사진) 미국 워싱턴주 상원부의장은 그가 걸어온 인생의 길을 이야기했다. 생계 유지만을 위해 살아왔던 유년시절에서 미국에 와서 꿈이라는 땅을 일구기까지. 그의 77년 삶 속에 꿈을 쫓는 한 남자의 이야기가 고스란히 녹아 있었다.





“저는 여덟 살 때부터 거리에서 하루하루를 보냈습니다. 낮에는 구걸을 하고 저녁에는 구걸한 음식을 친구들과 함께 나눠먹었습니다. 그런 던 중 6·25 전쟁이 일어났습니다. 그때부터는 미군 트럭 주변을 돌며 음식을 구걸하고, 구두를 닦았죠. 하우스 보이라는 말 아세요? 미군의 빨래 해주고, 설거지해주는 잔심부름을 하는 아이를 말합니다. 그런 하우스 보이가 당시 제 모습이었습니다.”

하우스 보이로 지내던 그에게 처음 손을 내민 것은 한 백인 남성이었다. 당시 군의관이었던 레이 폴 박사는 그의 모습을 옆에서 지켜보고 관심을 두기 시작했다. 이어 폴 박사는 그를 입양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아버지가 된 폴 박사를 따라 처음 미국 땅을 밟게 된다. 1953년. 그의 나이 18살 때였다.

“미국 땅을 처음 밟았을 때 하고싶은 일이 있었습니다. 공부였습니다. 초등학교도 다녀보지 못했던 저 였습니다. 그리고 다음 날 초등학교에 갔죠. 그랬더니 나이가 너무 많다며 거절을 했습니다. 이번엔 중학교에 갔습니다. 역시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입학을 받지 못하겠다는 이야기였습니다. 다음엔 고등학교에 갔죠. 그러니 ‘초등학교도 나오지 않았는데 어떻게 입학시킬 수 있겠냐’며 입학을 거절 당했습니다. 저는 여기서 좌절하지 않았습니다. 미국엔 GED라는 것이 있습니다. 한국으로 치면 검정고시 같은 것이죠. 그것을 준비하기로 마음 먹고 독학을 시작했습니다.”

이때부터 매일 새벽 잠까지 줄여가며 공부에 매달렸다. 모자란 부분은 가족들이 나서서 그를 도왔다. 그런 그의 노력 끝에 첫 꿈의 결실이 1년 반 만에 나타났다. 그가 검정고시에 합격한 것이다. 그는 이어 작은 일 들을 하나 둘 이뤄가기 시작했다. 대학에 진학했고 대학에서 대학원으로 공부를 이어갔다. 그리고 대학 교수가 되기까지 그는 쉴새 없이 달렸다.

“제가 검정고시에 합격하고 알게 된 것이 있습니다. ‘캔 두(Can Do)’ 우리말로 ‘할 수 있다’라고 하는 것이지요. 여기에는 목적이 있어야 합니다. 그것이 꿈이 되겠지요. 한국을 떠나온 것이 벌써 58년이 지났습니다. 저는 그 시간 동안 ‘캔 두’ 이두 단어를 마음에 담아두고 작은 일들을 하나하나 이루며 살아왔습니다.”

한인 최초로 미국 정계에 출사표를 던진 그는 1992년 하원의원으로 당선됐다. 또한 1998년 상원의원으로 당선되면서 워싱턴 주의 동양인 최초 상원의원이라는 호칭도 얻었다. 이후 그는 2010년까지 4번에 걸쳐 재선에 성공했다. 그렇게 꿈을 계속 실현해 온 그는 아직 이루고 싶은 꿈이 남아 있다고 말한다.

“3년 전 이맘때로 기억합니다. 연아 마틴이 제 사무실에 찾아왔습니다. 정계 입문 전에 제게 조언을 얻기 위해 들렸다고 했죠. 이날 우리는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오랜 시간 이야기를 했습니다. 그리고 지금. 그녀는 자랑스러운 정치인으로 캐나다 주류사회에서 큰 역할을 해내고 있습니다. 제 꿈은요. 여기 있는 젊은 친구들. 그리고 1.5세~2세들이 자신의 꿈을 추구하고 나아가는 모습을 보는 것입니다. 여러 분야뿐 아니라 정치계에서도 말이죠.”

글·사진=최성호 기자 sh@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포토

  • 노스로드 도로 확장공사 이달 개시
  • “5월 아시아 문화 우수성 알리는 행사 풍성”
  • 加 조폐공사, 새 1달러·2달러 동전 유통
  • BC주정부, 한국 수출 확대 위해 팔 걷어붙여
  • BC신민당 “교육은 뒷전, 유학생은 돈벌이 수단”
  • ‘이영표 선발’ 화이트캡스, DC유나이티드와 무승부
  • BC주, 연방경찰과 20년 계약 연장 체결
  • 이영표 풀타임 소화, 화이트캡스 시즌 첫 승
  • 이영표, MLS 데뷔전 출격 준비 ‘끝’
  • BC신민당, 지역 소규모 사업자 의견에 귀 기울여
  • 한인 차세대 리더, 미래 비전 설계 머리 맞대
  • BC주정부 “첫째는 가족, 둘째는 경제”
  • BC주정부 “지출 잡고 세수 늘린다”
  • “거리소년에서 상원의원이 되기까지”
  • 에버그린 라인 건설 사업 첫발을 떼다
  • 현대 엘란트라, 북미 올해의 차로 선정
  • 잘나가는 모터사이클 한자리에 모인다
  • 이영표 경기 언제부터 볼 수 있나
  • 밴쿠버는 지금 ‘영표앓이’
  • 한국산 친환경 가로등 밴쿠버 진출 ‘파란불’
  • “올해가 마지막 입니다”
  • 은반 위 펼쳐지는 꿈의 향연 ‘디즈니 온 아이스’
  • 스탠리 컵 폭동 용의자 첫 기소 신청
  • 마틴 상원의원, 韓·加의원친선협 공동회장으로 선출
  • ‘밴쿠버를 점령하라’ 시위 치안에 50만달러 지출
  • 反 월가 시위, 밴쿠버에도 상륙
  • 재미한인 장학기금 수여식 개최
 1  2  3  4  5  6  7  8  

영상

  • 에어캐나다, 승객 화물 ‘투하’ 동영상으로 곤욕
  • '택시 오인' 성폭행 사건 수사 오리무중
  • 연방경찰, 용의자 폭행 비디오 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