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유유자적 밴쿠버를 걷다, 보석 같은 산책 코스-6

문용준 기자 myj@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2-04-11 17:26

“번슨 레이크, 함께 늙어가는 그대를 닮은...”

 

아름다움에 순위를 정하는 건 참 애매하면서도 때로는 무의미해 보인다. 왜냐하면 ‘미’(美)라는 것은 초시계나 저울 등으로 계량화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3류영화’가 누군가에게는 평생 동안 기억되는 명작으로 남는 경우도 흔하다.

물론 누구나 공감하고 찬사를 보내는 ‘고전’은 존재한다. 풍광의 범주에서 볼 때, 로키산맥이 품은 ‘레이크 루이스’도 그런 걸작 중 하나일 것이다. 좀 과장해서 얘기하자면, 빙하를 배경으로 찬란하게 빛나는 그 물빛에 반하지 않는 사람과 친구가 된다는 건 불가능해 보인다.

저절로 고개가 숙여지는 아름다움과 직면했을 때, 사람들은 ‘예의’를 지키려고 그러는지 손쉽게 순위놀이에 빠지게 된다. 그리고 이런 식의 얘기를 풀어 놓는다. “레이크 루이스, 지금부터 당신의 또 다른 이름은 ‘세계 10대 절경’입니다.”

그런데, 나는 레이크 루이스에 비해 급이 한참 떨어지는 ‘번슨(Buntzen) 레이크’에 더 마음이 간다. 레이크 루이스가 미인대회에 나가서 쭉 빠진 몸매를 자랑하는 존재라면, 번슨 레이크는 함께 밥을 해 먹고, 함께 코메디 프로그램을 보면서 깔깔거리고, 서로의 고민에 귀를 기울여줄 수 있는 집사람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번슨 레이크 앞의 사람들은 자유롭다. 텐트를 치고 하루종일 뒹굴뒹굴거리거나, 호수 건너편에서 불어오는 산바람을 만끽한다. 고기를 구워먹고 친구들과 베드민턴을 치는 모습도 자연스럽다. 어린 녀석들은 물가에서 모래성 쌓기 놀이에 열중이다.

레이크 루이스가 정치인이나 특급 여배우 같은 ‘유명인사’라면(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이 호수 앞에서 기념사진을 찍는 것인지도 모르지만), 번슨 레이크는 가까운 곳에 살면서도 늘 안부가 궁금한 친구 같다.

번슨 레이크에서 친구들이 꼭 찾는 곳이 바로 호수를 옆에 두고 산책을 즐길 수 있는 산길이다. ‘번슨 레이크 트레일’이라는 이름의 이 산길은 약 10km로, 걷는 사람에 따라 부담을 느낄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만약 산을 오르기가 다소 버겁다면 적어도 뷰 포인트까지는 발걸음을 옮겨볼 것. 길이 평이해 누구라도 웃으며 걸을 수 있다.
문용준 기자 myj@vanchosun.com


<찾아가는 길>
코퀴틀람 방면에서 올 경우: 데이비드 애비뉴를 타고 포레스트 파크웨이에서 우회전. 약 200m 운전하면 애스팬우드 드라이브를 만나는데, 그곳에서 좌회전. 계속 진행하면 E Rd를 거치게 되고, 선사이드 로드에 들어서게 된다. 우회전해서 약 2km 달리면 번슨 레이크다.


버나비 방면에서 올 경우 : 1번 고속도로 44번 출구로 빠져나온 뒤 BC-7 E 표지를 따라 계속 직진하면 파인트리 웨이와 만난다. 이곳에서 계속 직진하다 데이비드 애비뉴에서 좌회전. 그 다음부터의 길은 위와 같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BC주 대학소개…⑨ Langara College
대학 진학을 목표로 캐나다에 유학 온 학생이 모두 원하는 대학에 진학하는 것은 아니다. 원래 목표했던 대학이 아닌 다른 대학에 들어가게 되거나 예상했던 것보다 높은 영어 장벽때문에...
벚꽃 페스티발 열리는 다운타운에서 봄을 맞이하다
산책과 어울리는 길을 따로 정해 두는 것은 인생을 참 심심하게 만들 것 같다. 미리 그려놓은 지도에만 매달리다 보면, 낯익은 것들 사이에서 낯선 풍경을 찾아낼 가능성이 그만큼...
“번슨 레이크, 함께 늙어가는 그대를 닮은...”
 아름다움에 순위를 정하는 건 참 애매하면서도 때로는 무의미해 보인다. 왜냐하면 ‘미’(美)라는 것은 초시계나 저울 등으로 계량화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3류영화’가...
밴쿠버 국제 오토쇼(Vancouver International AutoShow)가 개막했다.   밴쿠버 국제 오토쇼는 토론토 오토쇼, 몬트리올 국제 오토쇼에 이어 캐나다에서 3대 국제 자동차 박람회로 꼽힌다....
“록키 포인트 공원, 바다를 따라 걸었다”
포트무디에 위치한 록키 포인트(Rocky Point) 공원은 메트로 밴쿠버에서 가장 붐비는 곳 중 하나다. 햇살이 지금보다 뜨거워지고 본격적인 바베큐 시즌이 돌아오면, 고기 굽는 냄새가 공원...
“어느 화창한 날, 워터프론트 파크 벤치에 앉아...”
우디 앨런이 30여년 전에 만든 흑백영화 ‘맨하탄’ 속으로 들어가면 자연스럽게 뉴욕과 만나게 된다. 감독이 흑백 필름 위에 한 땀 한 땀 정성스레 새겨 놓은 도시 뉴욕은 삭막함과는...
“린 캐년 공원, 뒷동산에 오르던 추억과 만나다”
유년 시절을 한국에서 보낸 이민자라면 동네 ‘뒷동산’에 대한 추억 하나쯤은 갖고 있을지 모른다. 뒷동산의 짧은 등산로는 대개 약수터와 이어졌다. 비록 아담한 동산이지만, 산은 그...
“먼디 공원, 숲과 하나 되어 걷는 즐거움”
한국에 있는 지인들에게 밴쿠버의 사진을 보여주면 반응이 한결 같다. 사람마다 표현은 달리 해도 내용은 단 하나, ‘부럽다’는 것이다. 어떤이는 한술 더 떠서 밴쿠버를 ‘천국’이라고...
“디어 레이크 파크, ‘캐네디언 구스’의 수다 소리가 들리지 않나요?”
산뜻한 경험은 ‘일상으로의 탈출’을 통해서만 얻어지는 것은 아니다. 매일같이 보는 풍경, 그 속살을 살짝 들춰 보면 일상에 가려진 반짝반짝 빛나는 보석과 만나게 된다.굳이 보석에...
갑자기 찾아온 감기나 두통 혹은 병원에서 발급 받은 처방전 때문에 찾는 약국. 병원을 가자니 아리송하고 그냥 넘어가려니 뭔가 찜찜할 때도 약국부터 찾는 것이 일반적인 모습이다. 일상에서 자주 접하지만 약 조제 외에 무슨 일을 하는지 아는 이는 많지 않은 곳...
2012/2013 회계연도 예산안 들여다보기
BC주정부가 21일 2012/2013 회계연도 예산안을 발표했다. 예산안은 BC주의 살림을 어떤 방향으로 꾸려나가겠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 일종의 계획표다. 정부는 예산 편성에 따라 앞으로 다양한...
“유학생 대상 범죄, 예방 노력 필요한 때”
한국이 아닌 타지에서 범죄 피해자가 되면 당황할 수 밖에 없다. 특히 학업이나 여행을 위해 단기간 방문한 유학생들의 경우 범죄 피해자가 되더라도 방법을 몰라서, 혹은 언어적인 문제로 신고 자체를 꺼려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 유학생의 범죄 피해를...
BC한인협동조합실업인협회 허형신 회장
  20여년간 식료품점을 운영해 온 김모씨는 요즘 들어 한숨 쉬는 일이 잦아졌다. 매출이 눈에 띄게 줄고 있기 때문이다. 신문에선 소매업 매출이 크게 떨어지지 않았다는 기사 뿐이지만...
“노인문제 ‘소통’으로 푼다”
노인회는 한인회와 더불어 한인사회를 대표하는 주요 단체 중 하나다. 그만큼 활동이 왕성하기 때문이다. 노인회가 주최하는 행사도 여럿 되지만, 한인사회의 각종 모임에서 노인회...
“코리안센터 건립, 꿈은 이루어집니다”
2009년 9월 한인회 살림을 떠안은 그 순간부터 일이 끊이지 않았다. 처음에는 한인회관의 낙후된 시설이 문제더니, 곧이어 그동안 누적된 ‘한인회 부채’가 발목을 잡았다. 솔직히 말하면...
“변화보다는 안정”…좁아지는 이민문호
① 이민부가 전문인력 이민 적체 해소 위한 선택직종별 쿼터 반으로 축소… 점수제 변화 예고전문인력(federal skilled worker) 이민 적체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쿼터는 제한되어 있는데, 신청자가 꾸준히 몰린 결과다. 대기자만 80만 명을 넘어선 상태. 캐나다 이민자가...
올해도 다사다난한 한해였다. 여전히 마무리되지 않은 스탠리컵 폭동사태부터 최근 한인사회에 적지 않은 상처를 안겨준 밴쿠버시경(VPD)의 부실수사건까지 조선일보가 되돌아보았다....
‘똑똑한 전화기’ 스마트폰, 올해도 지난해의 스마트폰 열기가 고스란히 이어졌다.  손 안에 컴퓨터라 불리는 스마트폰은 어떤 응용프로그램(App·앱)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그 가치가...
UBC에서 한국어 교육을 수료한 아이리스 씨앤 씨
한류열풍으로 전 세계가 한글과 한국어의 매력에 푹 빠져들고 있다. 밴쿠버 역시 이런 ’열풍’에서 비켜나 있지 않다. 대학을 중심으로 한국어 강좌를 개설하면서 수요도 빠른 속도로...
“긍정적 가치관 지닌 세계인으로 육성한다”
밴쿠버 성김대건 천주교회 부설 ‘대건 한국어학교’의 시작은 소박했다. 99년 뉴웨스트민스터에서 첫 학생을 받았을 때만 해도, 학교의 바람은 신자 자녀들에게 모국어를 알려주는 데...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