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너의 할아버지들이 보여주셨다”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2-04-18 15:30

캐나다판 ‘태극기 휘날리며’, 허시씨의 딸 데비 허시씨
61년 전 한국에서 캐나다인 형제는 전쟁터에서 삶과 죽음으로 헤어졌다. 그리고 이제 다음 주면 형을 따라간 동생이 형의 무덤에 함께 묻히게 된다.


6·25
참전용사 아치볼드 허시(Hearsey)씨의 화장한 유골은 19511013일 북한군과 교전 후 참호에서 전사한 형 조지프 허시씨와 합장을 위해 딸 데비씨와 함께 오는 21일 한국으로 간다.


동생 아치씨는 스물한 살 때인 19509월 캐나다 육군에 자원입대하며 한국에 파병됐고, 한 살 많은 형 조지씨는 동생 걱정에 511월 자원입대해 동생과 같은 프린세스 패트리샤 경보병연대 제2대대에 배치됐다.


형제의 운명을 갈라놓은 것은 511013일 임진강 인근에서 공산군의 공세 후다. 이날 참호 정리 임무를 수행하던 동생 아치씨는 총상을 입고 참호에서 사경을 헤매는 형을 만났다. 형이 자기를 지키기 위해 참전한 줄도 모르고 있었던 아치씨가 부둥켜안은 형의 숨은 돌아오지 않았다.

조지프씨는 부산 UN기념공원에 묻혔다. 캐나다로 귀국해 고속도로 관리소장으로 수십 년을 근무해온 아치씨는 지난해 폐렴으로 세상을 떴다.


앞서 아치씨의 딸 데비씨는 200911월 한국을 방문해 부산 UN기념공원에 있는 삼촌의 묘를 보고 사진을 찍어왔다.

젊어서 가난했기 때문에 한국에 갈 수 없었던 아치씨는 당시에는 폐렴 투병으로 비행기를 탈 수 없었던 형편이었다.


<▲ 아치씨와 딸 데비씨. 사진 제공=연아 마틴 상원의원 >


형의 묘지 사진을 본 아치씨는 형과 함께 묻일 수 있게 해달라고 데비씨에게 부탁했다. 데비씨는 한국 방문 당시 알게 된 사람들에게 이메일을 써서 아버지의 뜻을 이룰 방법을 수소문했고, 결국 캐나다 정부에도 알려졌다.

연아 마틴(김연아) 상원의원이 나서서 아치씨가 형과 합장될 수 있도록 캐나다 정부를 통해 UN기념공원에 요청했고, 참전용사들로부터 아치씨의 유가족이 한국에 갈 수 있도록 경비를 모았다. 이후 한국 정부는 보훈처를 통해 유가족이 한국에서 체류하는 비용을 지원하기로 했다고.


18
일 마틴 상원의원과 데비씨와 전화 인터뷰를 통해서 아치씨가 지니고 살아왔던 한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데비씨 가족에게 6·25는 잊혀진 전쟁이 아니라 가족 안에서 이어지는 아픔이었다. 데비씨 자신도 교과서에서 6.25를 접할 기회는 많지 않았지만, 가족의 일이어서 한국의 전쟁을 기억했다고 말했다.


아치씨가 외상후 스트레스(PTSD)로 밤마다 테이블을 때리며 형의 목숨을 빼앗은 꿈속의 공산군과 싸웠기 때문이다. ‘팔에 멍이 그치지 않았던’ 아치씨에 대해 데비씨는 “마음을 한국에 두고 왔다”고 표현했다. 매년 리멤브런스데이(캐나다 현충일)가 오면 아치씨는 슬픔 속에서 삼촌의 전사에 대해 매번 얘기했다고.


아치씨는 전사한 형에 대한 슬픔과 함께 한국의 아픔도 함께 품었다. 데비씨는 “아버지는 남북한 사이에 좋지 않은 소식이 들려오면 아직 (전쟁이) 계속되고 있다고 하며 슬퍼했다”고 전했다. 아치씨는 북한이 남침했을 때, 남한을 지키기 위해 참전하는 것이 옳은 일이라며 입대했던 사람이다. 그 의기는 늙어서도 식지 않았던 것이다.


데비씨는 “아버지는 형을 잃었지만 같은 참전용사를 통해 힘을 얻고는 했다”며 “그분들은 아버지와 가족이었고, 그 사이에는 누구도 깰 수 없는 유대감이 있었다”고 말했다.


아쉽게도 참전 후 한국에 가보지 못한 아치씨의 한국에 대한 기억은 폐허로만 남았다. 데비씨는 “산산이 조각난 폐허에 아이들만 남겨져 있던 한국을 얘기하셨다”고 전했다.


25
일 부산UN기념공원에서 열리는 합장식에 데비씨는 아들과 함께 가게 된다. 그 소감을 데비씨는 이렇게 말했다. “사실은 아버지를 삼촌과 합장하는 일이 이렇게 역사적인 일이 될 줄은 몰랐습니다. 이번에 아들과 함께 한국에 가서 한국을 보여주며 이렇게 얘기해 줄 겁니다. 곤경에 처한 다른 이를 돕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가. 너의 할아버지들이 보여주셨다”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70일 대기 도로주행 300달러 받고 이틀만에 치르게 해
리치몬드 운전강사 해킹혐의 조사
BC주 운전면허 도로주행 시험 적체 현상이 심해지고 있는 가운데 리치몬드 운전 연수 강사가 고객들에게 돈을 받고 시험 대기자 명단을 해킹, 조작한 혐의로 조사를 받고 있다. 국영...
유엔 참전용사 추모식 참석 박근혜 대통령은 정전(停戰) 60주년을 닷새 앞둔 22일 "이 땅에 또다시 전쟁의 비극이 일어나서는 안 될 것"이라며 "더 이상 전쟁으로 많은 젊은이가 희생되지 않아야 한다"고 말했다.박 대통령은 이날 부산시...
국가보훈처는 26일 서울의 한 호텔에서 영국과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에서 온 6·25 참전용사와 가족 195명을 위해 감사 만찬을 열었다. 이 자리에는 캐나다 참전용사 고(故) 아치볼드 허시의 딸 데비씨도 참석했다. 아치볼드는 작년 6월 캐나다에서 생을 마감하며...
캐나다판 ‘태극기 휘날리며’, 허시씨의 딸 데비 허시씨
61년 전 한국에서 캐나다인 형제는 전쟁터에서 삶과 죽음으로 헤어졌다. 그리고 이제 다음 주면 형을 따라간 동생이 형의 무덤에 함께 묻히게 된다. 6·25참전용사 아치볼드...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