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우리 춤의 매혹,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문용준 기자 myj@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2-04-20 10:59

밴쿠버한국무용단 16주년 정기공연 이끄는 정혜승씨

정혜승 단장이 이끄는 ‘밴쿠버 한국 무용단’이 올해에도 어김 없이 무대에 오른다. 벌써 16년째다.

이번 정기공연의 제목은 ‘춤 매혹’. 언뜻 감이 오지 않는 이름이다. “무용은 이해하기 참 어려운 것 같아요”라는 기자의 푸념에, 오랜 시간 춤과 공연에만 매달려 온 정혜승 단장이 답했다.

“보다 많은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는 표현법을 찾는 게 바로 저의 고민이기도 합니다. 이번 공연에서는 대중적인 음악을 전보다 많이 사용해서 관객들의 이해를 도울 생각이에요.”

귀에 익숙한 음악이 다소 도움이 되긴 하겠지만, 춤은 여전히 낯선 장르다. 난감해 하는 기자에게 정 단장이 힌트 하나를 건넸다.

“우선 작품 제목을 눈여겨 봐야겠죠. 제목이 사랑이라면, 무용수가 ‘사랑’을 어떤 방식으로 풀어내는지 이해해 보려고 노력해 보세요. 말(대사)이 없는 공연도 충분히 흥미진진해질 수 있다는 걸 느낄 수 있을 겁니다.”

이번 공연의 제목은 위에서도 잠깐 언급했지만 ‘춤 매혹’이다. 그리고 공연은 파트 1과 파트 2로 다시 나뉜다. 파트 1에서는 ‘개벽’ ‘춘앵무’ ‘매혹’ ‘고구려의 혼’ ‘장고춤’으로 이루어졌다.

“하늘의 열림을 기원하는 바라춤을 ‘개벽’을 통해 선보일 계획입니다. ‘춘앵무’는 조선시대 효명세자가 만든 춤으로 조용하면서도 우아한 동작이 가장 큰 특징이지요. 세번째가 창작품인 ‘매혹’인데, 총 5장으로 구성했습니다.”

1장은 아름다움의 매혹, 2장은 사랑의 매혹, 3장은 서정적인 매혹, 4장은 정열의 매혹, 5장은 온유의 매혹이다. 관객들을 매혹시킨 후에는 ‘고구려의 혼’과 ‘장고 춤’으로 활력을 보탠다.

“전장에 나가는 여전사의 비장함 같은 것을 ‘고구려의 혼’에 담았고, ‘장고춤’에서는 우리의 흥과 신명을 보여주는 데 초점을 맞췄습니다.”

파트 2에서는 우리에게 친근한 ‘진도 아리랑’ ‘소고춤’ ‘북의 대합주’ 뿐만 아니라, 다소 생소한 브라질 무용단과 인도네시아 무용단의 공연도 함께 챙겨볼 수 있다.

“저는 정기공연 때마다 타커뮤니티 무용단을 초청해 왔습니다. 춤을 통해 서로의 문화를 공유할 수 있다는 것, 이것 역시 또 하나의 즐거움이겠지요.”

정혜승 단장은 1년 내내 춤만 생각한다. 5월부터 8월까지는 공연 활동에 그 외 시간에는 창작에 매달린다. 공연 음악과 의상 구입차 1년에 한번씩 한국을 찾는 것도 그녀에겐 이제 일상이 되었다.

“여러분들의 도움이 있었기 때문에, 그 동안 춤만 바라보며 살 수 있었던 것 같아요. 캐나다 정부(문화 유산부)와 BC주정부, 코퀴틀람 시청, 그리고 TD은행이 저희 공연을 매년 후원해 주고 계십니다.”

밴쿠버 한국무용단 제 16주년 정기공연 ‘춤매혹’은 5월 5일(토) 오후 7시 레드 로빈슨 극장(Red Robinson Show Theatre)에서 첫 선을 보인다. 두번째 공연은 5월 20일(일) 오후 7시 코퀴틀람 에버그린 문화 극장에서 열린다.

레드 로빈슨 극장 2080 United Blvd., Coquitlam.
에버그린 극장 1205 Pinetree Way., Coquitlam.
공연 문의 (604) 936-8099 정혜승 무용원.
문용준 기자 myj@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