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기자수첩] 캐나다판 '태극기 휘날리며' 형제가 60여년前 한국에 준 선물

전현석·정치부 winwi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2-04-30 11:11

국가보훈처는 26일 서울의 한 호텔에서 영국캐나다, 호주, 뉴질랜드에서 온 6·25 참전용사와 가족 195명을 위해 감사 만찬을 열었다. 이 자리에는 캐나다 참전용사 고(故) 아치볼드 허시의 딸 데비씨도 참석했다. 아치볼드는 작년 6월 캐나다에서 생을 마감하며 "6·25 때 전사해 한국에 안장된 형(조지프 허시) 곁에 묻어 달라"는 유언을 남겼다. 그의 유해는 딸 데비씨에 안겨 한국으로 와 지난 25일 형과 합장(合葬)됐다.

만찬 건배사 직후 박승춘 보훈처장이 일어나 데비씨에게 선물을 건넸다. 본지에 소개된 허시 형제 기사를 보고 익명의 한 주부 독자가 본지에 보내온 우리 전통 문양의 목걸이와 브로치 등 은 공예품 10여점이었다. 독자는 "기사를 읽고 참전용사들의 피와 땀을 잊고 지낸 게 미안해졌다"며 "이렇게라도 유족에게 감사의 인사를 하고 싶다"고 했다.

이날 데비씨는 642명의 이름으로 'THANK YOU' 글자를 새긴 감사패도 받았다. 642명은 보훈처 홈페이지에 허시 형제에 대한 감사 글을 남긴 사람들이었다. 이진경씨는 "6·25전쟁을 알지 못하는 조카랑 같이 보고 설명해줬더니 너무 슬프다고 하네요. 우리나라를 위해 싸워주셔서 감사합니다"라고 썼고, 김안나씨는 "참전용사 여러분들 덕에 이렇게 잘살고 있네요"라고 했다.

6·25전쟁에는 총 22개국 194만1604명의 젊은이들이 참전했다. 캐나다의 허시 형제처럼 누군가의 아버지, 아들, 형제였을 이들은 대부분 한국이 어디에 있는 어떤 나라인지도 모른 채 수백~수천㎞ 떨어진 이 땅에 와서 젊음을 바쳤다.

이날 만찬에서 선물을 받은 데비씨는 "낯선 이방인 형제의 기사를 보고 이렇게 아름답고 귀한 선물을 보내주셔서 감동했다"며 "아버님을 대신해 감사 말씀을 드린다"고 했다. 하지만 허시 형제와 유족에게 감사 인사를 해야 하는 건 우리 국민일 것이다. 함께 영면(永眠)에 든 허시 형제에 삼가 조의를 표한다.

 

조선일보 독자가 캐나다인 한국전 참전용사인 아치볼드 허시의 딸 데비씨에게 선물한 한국 전통 문양의 목걸이와 브로치 등의 은 공예품. /보훈처 제공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70일 대기 도로주행 300달러 받고 이틀만에 치르게 해
리치몬드 운전강사 해킹혐의 조사
BC주 운전면허 도로주행 시험 적체 현상이 심해지고 있는 가운데 리치몬드 운전 연수 강사가 고객들에게 돈을 받고 시험 대기자 명단을 해킹, 조작한 혐의로 조사를 받고 있다. 국영...
유엔 참전용사 추모식 참석 박근혜 대통령은 정전(停戰) 60주년을 닷새 앞둔 22일 "이 땅에 또다시 전쟁의 비극이 일어나서는 안 될 것"이라며 "더 이상 전쟁으로 많은 젊은이가 희생되지 않아야 한다"고 말했다.박 대통령은 이날 부산시...
국가보훈처는 26일 서울의 한 호텔에서 영국과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에서 온 6·25 참전용사와 가족 195명을 위해 감사 만찬을 열었다. 이 자리에는 캐나다 참전용사 고(故) 아치볼드 허시의 딸 데비씨도 참석했다. 아치볼드는 작년 6월 캐나다에서 생을 마감하며...
캐나다판 ‘태극기 휘날리며’, 허시씨의 딸 데비 허시씨
61년 전 한국에서 캐나다인 형제는 전쟁터에서 삶과 죽음으로 헤어졌다. 그리고 이제 다음 주면 형을 따라간 동생이 형의 무덤에 함께 묻히게 된다. 6·25참전용사 아치볼드...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