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내년 상반기 고용보험 수혜 기준 강화된다

문용준 기자 myj@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2-05-25 15:47

“정부 고용 알선 거부하면 수혜 대상에서 제외될 듯”

2013년 상반기부터 고용보험(EI) 수혜 규정에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캐나다 정부가 EI 관련 기준을 한층 강화할 방침이기 때문이다.

24일 공식 발표된 개정안을 보면, 고용보험 신청자는 수급 횟수나 기간에 따라 다른 기준을 적용받는다. 현재까지는 구직 의지만 확인되면 고용보험 수령에 큰 어려움이 없었지만, 내년부터는 정부의 고용 알선을 구체적 사유 없이 거절하면 혜택 대상에서 제외될 수도 있다.


<▲ 다이앤 핀리(Finley) 캐나다 인력자원 및 기술 개발부(HRSDC) 장관이 24일 고용보험(EI) 개정안을 소개하고 있다. / 사진제공=캐나다 인력자원 및 기술 개발부>


정부는 ▲건강상태 등을 포함한 개개인의 여건 ▲근로 조건 ▲근로 시간 ▲출퇴근 시간(1시간 이내) ▲근로 유형 ▲임금 등을 고려해 고용 알선 관련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고용보험 수혜 대상을 3등급으로 분류해 관리할 계획이다.
 
우선 지난 10년 중 7년간 고용보험료를 납부했으며, 동시에 최근 5년 중 수혜 기간이 35주 이하인 신청자의 경우 최대 18주까지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EI 수령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 조건에 해당되는 사람들에게 정부는 18주까지는 실직 당시와 동일한 직업을 알선한다.

반면 지난 5년간 세 차례 이상 고용보험을 신청했거나 수혜 기간이 60주 이상인 경우, 수급 가능성이 낮아진다. 이 분류에 속한 신청자들은 고용보험 수령 6주 후부터는 정부가 알선하는 직업을 직종에 상관없이 거절할 수 없다. 급여도 전에 받던 수준의 70% 정도면 수긍해야 한다. 만약 거절하면 고용보험 혜택을 받지 못할 수 있다.

위의 두 가지 분류에 포함되지 못한 신청자는 최초 6주까지는 별 무리 없이 고용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그 후 18주까지는 유사 직종에 대한 취업 알선에 응해야 EI 혜택이 지속된다.
      
정부가 고용보험 수혜 기준을 손보려는 주된 이유는 재정부담을 줄이고 인력수급을 보다 원할하게 하기 위해서다. 캐나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 3월 고용보험 수혜자는 54만9400명이다. 지난 해 9월 이후 고용보험 수혜자는 좀처럼 줄어들고 있지 않는 모습이다. 최대 수혜액은 평균 주급의 55% 수준으로 주당 485달러다.


문용준 기자 myj@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포토

  • [가족과 함께 즐기는 밴쿠버 ①]
  • 캐나다, 性관련 사업주 외국인 근로자 고용 규제
  • 신협, 한인 청소년 대상 연세대어학당 특별과정 전액 후원
  • “박세리 키즈, 밴쿠버에서 새 역사 쓸까?”
  • 밴쿠버국제공항 최대 규모 면세점 개점
  • “무역스쿨 우수자에게 인턴기회”
  • 70년 만의 졸업
  • ‘최고의 이민자 25인’ 선정된 한인 정환석
  • “밀란 거리 질주하는 그 모습 봤어?”
  • 내년 상반기 고용보험 수혜 기준 강화된다
  • “한국과 무역관계 지역경제에 직접적 영향“
  • 한국산 LED 가로등, 메트로 밴쿠버 도심 밝힌다
  • “제주감귤 덕에 한국 방문 기회 얻었어요”
  • 경기도, 크리스티 클락 BC주수상 명예도민으로 위촉
  • UBC-KIST, 생명과학·클린 에너지 상호협력 체결
  • “채우느니 못한 자물쇠는 피하라”
  • 한인이 운영하던 어학원 돌연 폐업, 韓 학생 피해 속출
  • 노스로드 도로 확장공사 이달 개시
  • 연방경찰 '날치기 사건' 용의자 공개 수배
  • “5월 아시아 문화 우수성 알리는 행사 풍성”
  • “유람선 1척 오면 밴쿠버에 풀리는 돈이...”
  • 加 조폐공사, 새 1달러·2달러 동전 유통
  • BC주정부, 한국 수출 확대 위해 팔 걷어붙여
  • BC신민당 “교육은 뒷전, 유학생은 돈벌이 수단”
  • “2015년 정권교체가 우리 목표” 멀케어 NDP대표
  • ‘이영표 선발’ 화이트캡스, DC유나이티드와 무승부
  • 방한 앞둔 하퍼 총리 한국만 쏙 빼고 ‘유대관계 강화’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영상

  • 코로나19 피해 대학생 지원금 확대한다
  • 400만 목전 영화 ‘안시성’ 북미 절찬 상영 중
  • 에어캐나다, 승객 화물 ‘투하’ 동영상으로 곤욕
  • '택시 오인' 성폭행 사건 수사 오리무중
  • 같은 사건에 밴쿠버·토론토경찰 다른 대응
  • 토론토 경찰, 18세 소년 사살... 과잉진압 항의 확산
  • 포트무디 경찰 과잉진압 논란
  • “시원하게 시작하는 201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