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한국어를 따로 배워야 할까

김해영 시인 haeyoung55@hotmail.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2-07-27 16:20

현재 밴쿠버에는 몇 개의 한국어 학교가 주말(토요일)에 운영된다. 일주일 동안 열심히 학교/직장에 다니다가 토요일 새벽같이 일어나 학교에 와서 한국어 공부를 하고 정오쯤 귀가를 한다. 학생과 부모 똑같이 힘들다.

왜 그럴까? http://careers-in-business.com/hr.htmhttp://careers-in-business.com/hr.htm우물우물 한국말 잘 하는 애들인데 느긋한 주말을 즐기지도 못하게 이리 성화를 부릴까? 한국어를 학교까지 가서 굳이 배워야 할 필요가 있을까? 있다. 한국인인 이상 반드시 체계적인 한국어 교육을 받아야 한다.

사람에게 인격이 있듯이 언어에도 품격이 있다. 동물의 세계에서는 울부짖음이 의사소통의 수단이 된다. 곤충의 세계에서는 날갯짓과 몸짓으로 소통을 한다. 그러나 만물의 영장인 인간은 언어로써 소통뿐만이 아니라 정보와 정서 교환, 사회활동 및 문화활동을 유지해 왔다.인간이 오늘날처럼 문명생활을 누리게 된 데에는 바로 이 언어의 덕택이 크다 하겠다. 언어로 시공간을 초월하여 지식과 경험을 축적, 공유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한글이 가장 창의적이고 과학적인 글자라고 한다. 발음기관의 모양을 본딴 자음과 천지인(天地人, 우주를 이루는 세 요소)의 모양을 흉내낸 모음의 제자원리가 아주 독창적이다. 자음과 모음의 결합으로 인간의 목에서 나는 모든 소리를 다 적을 수 있는 운용원리 또한 아주 과학적이다. 바로 이 점을 높이 사서 한글을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하였다. 인도지나, 아프리카의 몇몇 글자 없는 부족들이 한글을 표기문자로 삼는 경우가 잦아졌다 그런데 정작 한국인은 전 세계가 칭송하는 한글을 버려두고 남의 글자, 남의 말 배우기에 혈안이 되어있다.

학교에서는 한국어의 체계를 배운다. 기본 음운을 바르게 발음하는 방법, 자음과 모음이 어울려 글자를 이루는 원칙, 글자들이 모여 낱말을, 낱말의 순서에 따라 문장으로 배열하는 방법 등을 배워 말과 글로써 정확하게 표현하고 이해하게 된다. 입에서 나오는 대로 펜끝에서 흐르는 대로 터져나오는 말과 글은 마치 동물의 울음처럼 단순하고 간단한 생각과 감정만 전달할 뿐이다.

언어에 복잡하고 섬세한 인간의 사고를 담기 위해서는 보다 정교한 솜씨가 필요하지 않을까? 바로 그 기술을 배우는 곳이 학교이다.  

어느 가정에 전화를 했다. “헬로우, 000 씨 계십니까?”우물거리는 아이 목소리로 퉁명스럽게  “없어.”  “그럼 엄마는?””없어, 두 개 다 없어.” 하고 달칵 끊는다.이렇게 황당한 경험을 한 뒤, 한국어 학교에서 우리 반 학생들에게 맨먼저 전화예절을 가르친다.

전화 통화는 얼굴을 마주하지 않은 상태에서 말로써 정보를 다 전달해야 하므로 정확하게 말하고 들어야 하며 또 말씨만으로 나를 나타내고 상대를 짐작해야 해서 어느 말하기보다 더 신중해야 한다.만약 메모까지 남긴다면 언어의 모든 영역, 말하기와 듣기, 쓰기와 읽기가 다 동원되는 총체적 언어활동이다.

전화 한 통화로 그 가정의 가풍, 인품, 교양 수준까지 다 파악할 수 있으니 아주 중요한 말하기 교육이라 하겠다.

만약 그 가정의 자녀가 한국어 학교를 다녔다면 “여보세요? 000 씨 계십니까?””네, 제 아빠신데, 지금 안 계셔요.””그럼, 엄마는 계세요?””아니오, 두 분 다 안 계시는데요.  멧시지를 남겨 주시면 전해 드리겠습니다.”하고 상대방의 말을 받아 적고 나서 다시 한 번 확인을  한 후 “안녕히 계세요.”깎듯이 인사를 하고, 상대방이 전화 끊기를 기다려 전화기를 내려놓았을 것이다.

얼마나 반듯하고 듬직한 한국 꼬마신사의 태도인가?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    화이트호스에서 다이아 트레일 헤드까지 7월 22일, 5시부터 일어나 아침을 먹고 간식까지 챙긴 후 짐을 꾸린다. 떠나기 전 매직펜으로 계단 턱에 “유콘 강과 더불어 흐른다, 오늘도... ."라는 문구와 넷의 이니셜을 남기고 사진 한 컷. 먼저 다녀간 한국 투숙객들이 부엌 대들보에 남긴 “독도는 우리 땅.”이라는 메모도 찰칵. 그리고 아듀스! 걸어서 십 분...
김해영 시인
  비씨 주에서 고개를 들면 올려다 보일 것 같은 유콘 테리토리 수도, 화이트호스에 도착한 시각이 오후 9시 30분. 전에는 오로라를 보러 겨울에 왔는데, 오늘은 백야의 여름밤을 만난다. 예나 지금이나 화이트호스는 환하고 밝다. 사람보다 야생동물이 더 많다는 유콘답게 몇 안 되는 사람끼리 서로 눈 맞추며 발걸음 나란히 공항을 빠져 나간다. 초를 다투는 미래의...
김해영 시인
 칠쿳 트레일(Chilkoot Trail),그 군둥내 나는 이름을 들은 지 7년만에 ‘노스 익스플로러(The North Explorer)’팀을 꾸려 백야의 나라로 향한다. 2005년 웨스트 코스트 트레일 노상에서‘칠쿳’이라는 이름을 들었다. 그 이름이 고리타분해서 마치 선사시대 유적지같았다. 파보면 보물이 나올 듯한 느낌이 들어 마음이 쏠렸으나 선뜻 나설 수 없었던 건 유콘과 미국 알라스카에 걸쳐있어 ‘너무나 먼 당신’이었기 때문이다. 그후 그리 오래 묵혔으니...
김해영 시인
현재 밴쿠버에는 몇 개의 한국어 학교가 주말(토요일)에 운영된다. 일주일 동안 열심히 학교/직장에 다니다가 토요일 새벽같이 일어나 학교에 와서 한국어 공부를 하고 정오쯤 귀가를 한다. 학생과 부모 똑같이 힘들다. 왜 그럴까? http://careers-in-business.com/hr.htmhttp://careers-in-business.com/hr.htm우물우물 한국말 잘 하는 애들인데 느긋한 주말을 즐기지도 못하게 이리 성화를 부릴까? 한국어를 학교까지 가서 굳이 배워야 할 필요가 있을까? 있다. 한국인인 이상...
김해영 시인
출퇴근길에 늘 눈길을 끄는 곳이 있다. 삭막한 네모 건물 사이에 팔각정 같은 학교 건물, 훌쩍 넓은 운동장 가 정글짐에 풍선처럼 매달린 어린아이들, 그리고 그들이 뿜어내는 초록 웃음… .성 프란시스 재이비어 학교(St. Francis Xavier, 밴쿠버 이스트 1번가에 자리한 Mandarin Immersion School)를 지나칠 때마다 부럽다 못해 심통이 났다. 왜 중국어 이머전 스쿨은 있는데 한국어 이머전 스쿨은 없지? 중국 아이들은 잘 닦인 신작로를 달리고 있는데 우리 아이들만...
김해영 시인
남의 나라에서 사는 어려움 중 가장 큰 게 말 못하는 서러움일 것이다. 들어도 못 듣고 알아듣고도 선뜻 맞춤한 대답을 못해 속상하기 짝이 없다. 남의 나라이지만 내 나라처럼 활개치고 사는 방법이 있을까? 있다. 내가 영어를 배워 완벽하게 구사하는 것이다. 이 나이에? 아무리 잘 해도 폼나게 영어로 말하다가 꼭 어느 대목에선 “What?” 소리 듣는데? 저나 나나 똑같이 발음하는 것 같은데 악센트 하나 틀려 못 알아들으면 분통 터진다.그러니 영어...
김해영 시인
트레킹 마지막 날 아침, 산새소리에 일어나니 캠프 패드가 촉촉하다. 간밤에 비가 밀사처럼 다녀갔나 보다. 우리를 문명세계로 실어내갈 보트 닿는 선착장(Wharf)이 아침 안개에 싸여있다. 입 떡 벌린, 게다가 젖기까지 한 등산화를 다시 발에 꿰고 싶지 않아 샌들 신고 내려갈 만한지 하산길을 들여다본다.  시작부터 가파르다. 45도 경사진 기슭에 도끼질 몇 군데 해놓은...
글: 김해영 ∙사진:백성현
 스키나 크릭에서 수셔티 베이까지 8.6km를 남겨둔 마지막 날 아침. 늦잠 늘어지게 자고 11시 출발!을 선언했는데도 야성이 밴 팀원은 새벽 5 시부터 일어나 부산을 떤다. 허니문 중인 신랑과 새색시 깨지 않게 살짝 몸을 일으켜 발개진 모닥불 앞에서 오늘의 일정을 점검한다. 5 시간 걸리는 구간이라 말하지만 분명 쉽지 않은 길이리라. 우리와 반대쪽을 걸어온 젊은...
글: 김해영 ∙사진:백성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