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나는 2진법 아니면 10진법?

배한길 info.elc09@gmail.com 글쓴이의 다른 글 보기

   

최종수정 : 2012-09-16 22:07

      수학 용어 중에 “진법”이라는 단어가 있습니다. 진법이란 수를 표현하는 방법정도라고 말씀 드릴수 있겠습니다. 오늘은 이 진법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수를 표현할때 0부터 9까지의 숫자를 이용하여 숫자를 표현하게 되는데 이것을 10진법으라고 합니다. 10진법이라함은 0부터 9까지의 숫자를 이용하고 이보다 큰 숫자를 표현할때 자리수를 하나 올려서 표현하는 방법 입니다. 일반적으로 9 더 하기 1을 계산하면 0부터 9사이의 한개의 숫자로 표현 할수 없습니다. 그래서 자리수를 하나 올려 10이라고 표현합니다. 이 10진법들의 예는 우리 주위에 너무나 많습니다. 돈을 셀때, 주소지의 집 주소를 정할때, 차량 번호판을 지정할때등등 너무나 많아서 10진법 아닌것 찾는 것이 더 쉬울 듯 합니다.


     그럼 시계의 시간을 나타낼때는 어떨까요? 10진법을 사용할까요? 시간을 이야기 할때는 12진법을 이용합니다. 즉 1시부터 12시까지 표현해야 하므로 사용가능한 숫자가 12개가 되는 것이며 이런경우를 12진법이라고 합니다. 즉 1시부터 12까지 두번 반복되는 것을 하루 라고 표현하는 것입니다.


      또 다른 진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10진법 다음으로 많이 쓰이는 것이 바로 2진법 입니다. 우리 주위에서 2진법 또한 많이 찾아 볼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전구를 켠다는 1이라고 표현 하면 전구를 끈다는 0이라고 표현할수 있습니다. 또 숫자는 홀수와 짝수 2가지로 표현할수 있는 데 이것도한 2진법의 예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정말 2진법이 많이 사용되는 것이 바로 우리가 사용하는 각종 전자제품들입니다. 오늘날의 전자 제품들은 모두 프로세서라(사람으로 말하면 두뇌)는 것이 장착되어 있는데 이 프로세서의 모든 동작은 0과 1로 표현되고 동작되어집니다. 예를들어 우리가 계산기에 9+2라고 입력하면 11이라는 답을 주게 됩니다. 하지만 이 계산기는 우리가 9+2를 입력하면 이 9와 이를 2를 2진수로 바꾸어 인식하게 되고 이후에 덧셈을 하게 됩니다. 이 덧셈의 결과는 2진법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우리에게 보여줄때는 다시 이 2진법을 10진법으로 바꾸어 보여 주게 됩니다.


      10진법을 2진법으로 그리고 2진법을 10진법으로 바꾸는 방법이 궁금하시다구요? 사실 그리 어렵지는 않습니다만 지면 관계로 오늘은 다루기가 좀 힘들것 같습니다.

   
      우리 주위에는 알게 모르게 수많은 다른 진법들이 존재합니다. 오늘은 10진법, 12진법 그리고 2진법에 대해서 말씀 드렸는데요 오늘 여러분 주위에서 다르게 사용되는 진법들을 한 번 찾아 보시면 어떨까요?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