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서울에서 본 한국 경제(中)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2-00-00 00:00








서울에서 본 한국 경제(中)



-백 광 열

폴 마틴 재무부장관 경제고문

캐나다 CBC TV 경제 해설위원

매일경제신문(한국) 컬럼니스트




원체 출장이 잦아 공항을 자주 드나든다. 어느 나라나 마찬가지로 공항에서 근무하는 출입국 관리자나 세관은 말단 공무원들로
일부 못된 직원들은 쓸 데 없이 사람을 괴롭히려 든다. 말이 딸리는 것도 아니고 법을 모르는 것도 아니고 담당 장관과
개인적으로 모르는 사이도 아니니 질이 나쁜 직원들을 만나면 버릇을 고쳐 놓으려고 아까운 시간 낭비 해 가며 일부러 시비를
걸어 싸움도 하지만 피곤하거나 시간이 급할 때는 불어용 입국 및 세관 신고서를 사용 한다.

이 용지는 앞과 뒤가 영어와 불어로 되어 있는데 연방정부 공무원은 이 나라 법으로 영어와 불어를 구사할 줄 알아야 하는 의무가
있다. 그러나 밴쿠버에서 불어를 쓸 일이 없는 말단 공무원인 공항 파견 직원들이라 불어로 작성 해 신고서를 내밀면 해직까지
당할 수 있는 불어를 못한다는 결정적인 약점을 감추려는지 그대로 무사 통과 시켜버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교민들도 이 신고서를 입국 할 때 마다 작성을 해 봐 잘 알겠지만 이름 주소 구입 한 물건 등을 적는데 불어를 전혀 모르더라도 영어와 양식이 똑같으니 영어 쪽을 보며 그대로 쓰면 되고 어쩌다 불어가 능숙한 직원이 불어로 물어보면 불어는 못하지만 불어가 캐나다의 공용어라 기회가 닿는 대로 불어를 이용하고 배우려고 노력을 하는 중이라고 말하면 된다. 지난 10 여년 동안 밴쿠버 공항에서 내게 불어로 질문한 직원은 단 한 명 이였으며 내 자신도 불어가 신통치 않지만 불어로 대답을 하니 다 들어가는 조그만 목소리로 영어로 해도 되겠느냐고 묻는 질문이었다.

갖고 오는 물건이 없더라도 절대로 입국 신고서에서 신고 할 게 하나도 없다는 얘기는 안하는 게 좋다. 한국에서 선물을 받았더라도 받았을 테니 $500 면세금액에 조금 모자라게 써 내는 게 현명하다.


필자의 이 컬럼이나 한국의 매일경제신문 컬럼에서 지난 97년 경제위기는 임창열 당시 부총리 및 재경원 장관과 김우중 대우 그룹 회장이 가장 큰 책임을 져야 한다 했는데 결국 둘 다 패가망신을 당하고 한국경제를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한국 경제에서 대우와 현대 두 재벌은 역할이나 재무구조가 비슷하나 한국 경제가 두 재벌의 해체를 한꺼번에 겪기에는 힘이 모자라니 결국 대우 하나만 부도를 내게 하고 말았으나 현대도 위험하며 외국자본과 기관투자가가 현대를 눈 여겨 보고 있으며 내게도 현대에 관한 많은 질문과 조사를 요구 하고 있다.
v
현대도 대우처럼 재무구조도 취약하고 창업자가 경영을 계속 하는 등 비슷하지만 현대의 본질적인 문제는 중공업, 선박, 자동차 등 20세기 산업 즉 사양 산업에 그룹이 치중하고 있으며 개인 몇 명이 경영을 하니 고용 사장이 주가 조작으로 현대전자 가격을 올려놓는 등 법을 우습게 본다는 점이다. 국제 사회나 기관투자가들 사이에서 도저히 용납 될 수 없는 이 현대의 범법 행위는 머지 않은 장래에 현대에 큰 어려움을 주게 된다.

우리의 옷 신발 직물 등 노동집약산업이 중국으로 넘어가듯 조선이나 중공업은 경쟁력을 상실해가며 전세계적으로 자동차 제조업체는 최고 10개 정도 남아 현대가 단독적으로 살아 남기는 어려우며 어딘가와는 전략적 제휴나 합작을 해야 할 텐데 개인 몇 명이 움직이는 군대식의 회사인 현대가 과연 국제적 경영이 가능할지 의문이다.

동경대학 출신으로만 구성되어 일본 최고의 기업이라던 닛산은 결국 망해 불란서에 회사가 넘어 간 후 브라질 사람이 일본으로 파견 나가 닛산을 경영을 하고 있다.

지난 주에 얘기 한대로 21세기 경제에 잘 어울리는 한국 경제의 장래는 밝다. 허나 이런 식의 집안 사람 몇 명이 하는 주먹구구식 경영은 대우 꼴을 내고 말며 한국 경제에 엄청난 희생을 야기시킨다.

소위 산업시대에서 신산업시대로 바뀌는데 20년 정도가 걸린 구미와는 달리 한국은 불과 2~3년 만에 같은 과정을 겪고 있다. 따라서 투자 등의 기회도 많으나 옛날처럼 주먹구구식의 투자는 절대로 안된다.

서울 부동산도 지금 정확하게 8% 수익율을 나타내고 있다. 즉 1년 임대료가 자산 가치의 8%라는 얘기이다. 예를 들어 1년 임대료가 8억이면 그 빌딩은 100억에 거래가 된다. 현 주인이 그 빌딩을 얼마를 주고 샀는지는 문제가 안 되며 만약 이 8% 선을 넘는 제안이 있으면 다른 변수가 있어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사기일 가능성이 높다고 봐도 된다.

죤 랭 라살 등 국제적인 부동산 회사들이 한국을 기웃기웃하며 REIT(Real Estate Investment Trust 부동산 신탁 투자라는 상품으로 증시에 뮤츄얼 펀드식으로 등록을 하고 증권을 일반에게 팔며 투자는 부동산만 하는 펀드) 문제로 건교부, 재경부 등 여러 정부부처와 협상을 했으나 부동산 시장의 과열을 걱정하고 이 상품을 안 풀어주기로 했다. 이 상품이 나오면 부동산은 달아오른다.

한국 부동산에 외국 기업이 진출하는데 찬 물을 끼얹은 사람은 주먹구구식 경영의 대표자로 감으로 사업을 한다던 김우중 회장이다. 그는 대우전자는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영국 이코노미스트지에서 국제적 사기꾼으로 결론을 낸 모사와 협상 중이라 했고 대우 힐튼 호텔은 김회장 부인이 울고불고 못 팔게 하는걸 외국 회사에 팔았다고 했는데 그 팔린 가격이나 조건이 전문가들에게는 도저히 이해가 안 가 조사를 해 본 결과 그런 회사는 없으며 김회장 개인 비자금을 동원해 개인 이름으로 사려했다는 의심이 나기 시작했다. 그러자 바로 매각협상은 결렬되고 이 호텔을 사겠다는 회사는 사라져 버렸으니 소문의 사실 여부는 결코 안 밝혀 질 것 같다.(계속)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