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캐나다 교육환경, 한국이 못 따라왔다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3-06-25 14:57

초중고교 학비 학부모 부담 韓 21.5%, 加 10.7%
한국과 캐나다의 교육 예산을 비교한 결과 캐나다가 교육에 더 많은 투자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가 25일 공개한 'OECD교육지표'를 보면 캐나다는 초중고교생 1인당 연 9774달러를 써, 한국의 7396달러를 앞섰다. 또한 교육예산 집행 내용을 보면 캐나다는 9774달러 중 거의 대부분인 9271달러가 교육에 투자되고 교통, 급식 등에 단 504달러가 쓰인 반면, 한국은 교통, 급식에 906달러를 썼다. 한국은 캐나다보다 학생 편의 비용 비중을 더 높게 잡고 있어 실제로 학생을 가르치는데 들어가는 예산은 더 적다.

대학에 가면 양국의 차이는 더 벌어진다. 캐나다 대학생 1인당 소요 비용은 국비와 사비포함 2만2475달러다. 한국은 9972달러로 절반에도 못미친다. 대학생 교육에 캐나다가 쓰는 돈은 학생 1인당 연 1만5120달러, 한국은 8159달러다. 캐나다의 경우 대학생에게는 편의 지원이 많다. 교통, 급식 지원에 1인당 연 1180달러가 쓰였다. 반면에 초중고생 편의를 봐줬던 한국은 대학생에게는 연간 단 66달러의 편의 지원을 했다. 연구개발(R&D)에 있어서 양국의 대학 예산 차이는 무려 6배다. 캐나다는 1인당 6176달러를 쓰는 반면 한국은 단 1746달러를 집행했다.

단 한국은 국력의 적지 않은 비중을 교육에 쓴다. GDP에서 교육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0년 기준 7.6%로 캐나다의 6.6%를 앞선다.

교육지출 중 국가부담율에서 캐나다가 앞선다. 즉 학부모가 학교에 보내는 부담이 덜하다는 의미다.  캐나다는 전체 교육비의 75.8%가 국비이고, 공교육과 과외비 포함 24.2%가 부모 부담이다.

반면에 한국은 국가 부담이 61.6%이고 학부모가 감당하는 비용이 38.4%로 더 비중이 높다. 여기서 대학생을 제외하고 초중고교생 부모의 교육비용 분담률을 보면 양국 차이는 더 벌어진다.

캐나다는 초중고교생 교육비의 89.3%를 국가가 책임지고 학부모 부담은 10.7%에 불과했지만, 한국은 학부모 부담이 21.5%에 달한다. 캐나다 학부모가 초중고교생 자녀 1명을 위해 연간 1045달러를 부담하는 동안 한국 부모는 1590달러를 쓰는 셈이다.

한국은 조기 교육 시작 시점이 캐나다보다 더 빠르다. 만 3세부터 유아원을 다니는 아이는 캐나다 국내 단 1%에 불과하며, 만 4세가 되면 48%, 5세가 되면 92%에 이른다. 의무교육인 6세부터 100% 취학률을 보인다. 반면에 한국은 3세부터 취학률 82%를 보이며, 4세 83%, 5세 85%다.

대신 초등 교육시간이 한국보다 캐나다가 더 길다. 초등 교육 시간은 캐나다가 연간 총 919시간, 한국이 632시간이다.  이 격차는 중등 과정에 올라와 줄어든다. 캐나다의 중등 교육 시간은 923시간, 한국은 850시간이다.

한국의 교사의 근무 일수는 연 220일로 캐나다 교사의 183일에 비해 훨씬 길지만, 실제 수업시간은 중등 기준 한국 812시간, 캐나다 799시간으로 큰 차이가 없다. 원인은 한국 교사는 수업 외 업무가 많지만, 캐나다는 교사가 상대적으로 수업 외 업무가 적은 환경이 조성돼 있기 때문이다.

교사 당 학생수는 캐나다 수치는 OECD자료로 공개되지 않았다. 한국은 초등 26.3명, 중등 34명이다. BC주 교육부 2012·13학년도 자료를 보면 BC주의 교사당 학생수는 초등 24명, 중등 23.3명이다. 교사 당 학생수는 적을 수록 교육 환경이 좋은 것으로 간주된다. OECD평균은 초등 21.2명, 중등 23.2명이다.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OECD, 전세계 54만명 조사… 만족도 10점 만점에 6.36점
한국 학생들의 학력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가운데 최상위권이지만 '삶의 만족도'는 최하위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 학생들은 또 사교육을 가장 일찍부터 시작하고 공부 시간도 가장 긴 반면, 신체 활동 시간이나 부모와 대화하는 시간은 꼴찌...
학업 부담감 큰 편… 웰빙에 문제
캐나다 학생 학력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최상위권이지만 삶의 만족도는 높지 않게 나타났다. 한국과 비슷한 결과다. OECD가 19일 공개한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 2015 학생 웰빙 보고서를...
2021년부터 해외 교육과정 3년 이상 이수한 학생으로 변경
현재 초등학교 6학년이 대학에 들어가는 2021학년도부터 재외국민 특별전형의 지원 자격이 변경될 전망이다. 재외국민 특별전형을 통한 대학 부정·편법 입학을 막기 위해서다.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특별전형의 지원 자격이 외국에서 고등학교 1개 학년을...
[내년 입시부터 대학별 전형數 수시 4개·정시 2개로 제한]대학들, 전형數 제한 안 지키면 재정 지원받는 사업서 불이익내년에 '공통 원서접수制' 도입, 한 번에 여러 대학들 동시 지원현재 3000여개의 대학 입학 전형 방법이 2015학년도 입시부터는 1000개 이하로...
‘유펜(U Penn·펜실베이니아대 약칭)과 맥길대의 대결’시가총액 기준 300위 안에 드는 기업의 최고위 임원을 가장 많이 배출한 대학들이다.<이코노미조선>이 기업경영평가사이트 CEO스코어(www.ceoscore.co.kr)에 의뢰해 국내 10대 그룹 상장계열사 사장,...
초중고교 학비 학부모 부담 韓 21.5%, 加 10.7%
한국과 캐나다의 교육 예산을 비교한 결과 캐나다가 교육에 더 많은 투자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OECD(경제협력개발기구)가 25일 공개한 'OECD교육지표'를 보면 캐나다는 초중고교생 1인당 연 9774달러를 써, 한국의 7396달러를 앞섰다. 또한 교육예산 집행 내용을 보면...
우리나라가 국제수학올림피아드에서 사상 처음으로 종합 1위에 올랐다.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은 지난 4일부터 아르헨티나의 마르 델 플라타에서 열린 제53회 국제수학올림피아드(International Mathematical Olympiad·IMO)에 참가한 우리나라 대표단 6명 전원이...
이승윤. 이달 초 주요 인터넷 포털 사이트 인기 검색어 순위 상위권에 일제히 오른 이름이다. 승윤씨는 지난 2일(현지 시각) 영국 옥스퍼드대 재학생 토론클럽 '옥스퍼드 유니언'의 한국인...
영국 명문 옥스퍼드대의 학생 자치기구인 옥스퍼드 유니언 회장에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이 대학 재학생 이승윤 씨(22)가 당선됐다.한국 학생이 세계 지도자들의 산실인 옥스퍼드 유니언 회장에 뽑힌 것은 옥스퍼드 800년 역사 이래 처음이다.인도계 출신을...
한국 전국 344개 대학(전문대 포함) 가운데 337개 대학이 올해 등록금을 지난해보다 평균 4.2% 인하하기로 한 것으로 나타났다.교육과학기술부는 13일 "대학들의 올해 등록금 현황을 파악한 결과 명목 등록금은 평균 4.2% 인하되었으며 정부장학금(1조7500억원)과...
하버드大 손에스더씨 줄기세포분야 루게릭병 연구
중학교 시절 성적이 하위권을 맴돌다 조기 유학으로 해외 유명대학에 진학해 화제가 됐던 한국의 ’꼴찌 소녀’ 손에스더(26)씨가 줄기세포 분야의 대표적인 학술지에 논문을 발표했다....
김민형 포스텍 겸임교수 옥스퍼드大 정교수로
수백년간 풀리지 않은 난제인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해 세상을 놀라게 한 수학의 거장이 한국인 교수를 동반 연구자로 추천했다. 19일 학계에 따르면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수학과의 김민형 교수(포스텍 연산석좌교수 겸임)가 내년 초 영국...
서울 6개 사립대학 공동입학설명회 성료
서울 소재 6개 사립대학의 공동입학설명회가 4일 오후 5시부터 7시까지 밴쿠버 순복음교회에서 열렸다. 고려대와 서강대, 성균관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양대 등 6개 주요 사립대학이...
자폐아 키우는 부활 리더 김태원"저는 알고 있었어요. 우리나라에 자폐 장애를 가진 사람이 그렇게 많다는 사실을요. 하지만 그들이 세상 밖에 나와 서 있을 곳이 없지 않습니까? 그래서 대부분의 가정이 쉬쉬하고 있는 거죠."최근 TV 토크쇼에 나와 자신의 아이가...
하루종일 책·컴퓨터 보고, 주말엔 밀린 예능프로 시청선진국선 시력보호정책 시행… 시력 재활·눈 휴식 운동 등서울의 중·고등학생이 4명 중 3명꼴로 안경을 써야 할 정도로 시력이 나쁜 것으로 조사됐다.4일 한나라당 박영아 의원이 공개한 서울시교육청의...
로스앤젤레스(LA)한국교육원과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CSU) LA캠퍼스가 14일(현지시간) CSU LA캠퍼스에서 ’한국어 교사 양성과정’ 설치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교육과학기술부가 전했다.이에 따라 CSU LA캠퍼스는 올해 가을학기부터 한국어 부전공과정을...
▲ 예일대·하버드대·프린스턴대 등 미국 아이비리그 내 3대 명문대에 동시 합격해 화제가 되고 있는 용인외고 졸업생 한서윤(19)양. /연합뉴스 용인외고 한서윤양… 국내 학생으론 처음한국외대부속 용인외고 졸업생이 국내 최초로 미국 아이비리그 내 3개...
클린턴정부 때 CIA 국장 존 도이치가 이런 말을 했다. "장관 중에 2차 방정식을 풀 줄 아는 사람이 2명쯤 된다. 차관까지 합치면 4명쯤 될 것이다. 그중 3명은 MIT 출신이다."미국 MIT(매사추세츠 공대)에 입학하면 경영학이나 미학 전공자라도 무조건 미적분 1년, 물리학...
정책과 현실 사이서 짓눌린 어느 고교생의 하루말로만 자율학습 거부땐 야단 맞아10시 넘어 학원行… 잠자리는 빨라야 새벽 1시30분쯤… 인천광역시 A고등학교 2학년인 B양은 요즘 수면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학교에서 거의 강제로 방과 후 '자율학습'을 해야 하고,...
UBC 아시안 센터에서 지난 21일 브루스 풀튼(Fulton) 교수의 진행 아래 ‘한국 문학의 밤’ 행사가 열렸다. 약 3시간 동안 진행된 이번 행사는 한국 문학 수업을 수강하는 학부생들과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