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한국 학맥에 캐나다 맥길대 있다

송창섭 기자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3-07-08 13:22

‘유펜(U Penn·펜실베이니아대 약칭)과 맥길대의 대결’

시가총액 기준 300위 안에 드는 기업의 최고위 임원을 가장 많이 배출한 대학들이다.

<이코노미조선>이 기업경영평가사이트 CEO스코어(www.ceoscore.co.kr)에 의뢰해 국내 10대 그룹 상장계열사 사장, 부사장, 시가총액 300위 기업 대표이사들을 분석한 결과, 미국 동부 명문 펜실베이니아대와 캐나다 최고 명문 맥길대가 가장 많은 6명의 경영자를 배출했다.


	이재성 현대중공업 사장
이재성 현대중공업 사장

이재성 현대중공업 사장은 카이스트(KAIST)에서 산업공학 석사를 마친 뒤 펜실베이니아대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내 유일의 총기제조 방산기업 S&T모티브의 김택권 대표이사는 와튼스쿨 경영학 박사 출신 최고경영자(CEO)다. 김기범 KDB대우증권 사장, 김용성 두산인프라코어 사장, 최세훈 다음커뮤니케이션 대표, 박찬구 웅진케미칼 사장은 와튼스쿨에서 MBA 석사 과정을 밟았다. 박찬구 사장과 최세훈 대표는 1992년 같은 해에 입학해 2년 과정을 함께 끝마친 동기생이다. 최세훈 대표는 고(故) 최태섭 한글라스 명예회장의 손자다. 한글라스는 최태섭, 이봉수, 김치복 등 실향민 3명이 공동으로 설립한 특수유리전문 제조기업이다. 현 이세훈 회장은 공동창업자인 고 이봉수 신일학원 이사장의 아들로 최 대표와 마찬가지로 와튼스쿨을 졸업했다. 

맥길대는 지난해 9월 세계 대학 평가 기관인 영국 QS(Quacquarelli Symonds)가 발표한 세계 대학 평가 순위에서 18위를 차지할 정도로 높은 교육 수준을 자랑하는 캐나다 대표 공립대학이다. 20위 내 포함된 캐나다 대학으로는 맥길대가 유일하다. 참고로 지난해 조사에서 우리나라 서울대는 37위, 카이스트는 63위를 차지했다. 공교롭게도 맥길대 출신들이 현직에 있는 기업은 모두 LG그룹 계열사다. 노환용 LG전자 사장, 송대현 부사장, 권복 LG디스플레이 부사장, 이웅범 LG이노텍 부사장, 김정오 LG화학 부사장, 오장수 LG하우시스 부사장이 모두 맥길대에서 학위를 받았다. 


	주요 기업 외국대학 졸업 CEO 표

LG그룹 부사장 맥길대 동문 많아

하버드대, MIT(매사추세츠공과대), 스탠퍼드대, 오하이오주립대, 조지워싱턴대 등은 각각 5명의 경영자를 배출했다. 하버드대 출신으로는 윤석민 SBS미디어홀딩스 부회장과 정현호 삼성전자 부사장은 비즈니스스쿨, 강문석 LG유플러스 부사장과 김용수 바이로메드 대표는 케네디스쿨 출신이며 김상헌 NHN 대표는 로스쿨을 나왔다. 


	권오현 삼성전자 부회장
권오현 삼성전자 부회장

동부와 서부를 대표하는 정보기술(IT) 기반 종합대학답게 MIT와 스탠퍼드대 졸업생은 공학, 경영대학원 출신들로 양분돼 있다. 임우재 삼성전기 부사장, 손대일 삼성전자 부사장, 석태수 한진 부사장, 권용원 키움증권 사장이 MIT의 경영대학원인 슬론스쿨에서 경영학 석사과정을 마쳤다. 반면 오세용 SK하이닉스 제조부문 사장은 서울대 대학원에서 금속공학 석사학위를 마친 뒤 박사학위(금속공학)는 MIT에서 받았다.

스탠퍼드대는 김신 삼성물산 상사부문 사장과 전상일 NH농협증권 사장, 최희문 메리츠종금증권 사장이 비즈니스스쿨(경영대학원) 출신이다. 삼성과 LG를 대표하는 두 기술 전문경영인인 권오현 삼성전자 부회장, 이희국 LG기술협의회 의장(사장)은 스탠퍼드대에서 각각 전기공학과 전자공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 사장이 권 부회장의 서울대 공대 1년 선배로 스탠퍼드대 박사학위도 5년 먼저 끝마쳤다.

오하이오주립대는 미 중부에 위치한 주립대로 공학계열이 유명하다. 주립대여서 학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하면서 연구중심으로 학제가 운영되고 있다는 점이 장점으로 꼽힌다. 김동섭 SK이노베이션 사장이 1989년 이 대학에서 산업공학 박사, 정일재 LG생명과학 사장은 1990년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성철 현대차 부사장과 이문용 원익IPS 대표는 각각 기계공학과 재료공학 박사 출신이다. 동아제약 지주회사인 동아쏘시오홀딩스의 이동훈 부사장은 1993년 오하이오주립대에서 경영학 석사를 받았다.


	1.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 2. 양웅철 현대자동차 부회장
1.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 2. 양웅철 현대자동차 부회장

조지워싱턴대는 미국의 수도 워싱턴DC에 위치해 있어 전통적으로 정치학·행정학·경영학 등이 강세를 보여 왔다. 우리나라와도 인연이 깊어 이승만 초대 대통령과 독립운동가 서재필 선생이 조지워싱턴대 출신이다. 이 때문에 한때 미국 정치의 중심지인 워싱턴에서 인적 네트워크를 쌓기 위해 주요 명문가(家) 사이에서 조지워싱턴대 유학은 필수 코스였다. 허창수 GS그룹 회장의 막내동생인 허태수 GS홈쇼핑 사장과 고 정주영 현대그룹 회장의 손자 정일선 현대비앤지스틸 사장이 이 대학에서 경영학 석사를 받았다. 정일선 사장은 고 정주영 회장의 4남 정몽우 현대알루미늄 회장 장남이다. 전문경영인으로는 최치훈 삼성카드 사장, 한성권 부사장 등이 조지워싱턴대 동문이다. 

오하이오주립대 기술공학 경영진 배출

뉴 욕주 곳곳에 캠퍼스를 보유한 뉴욕주립대도 전통적으로 국내 경영자들이 많이 유학을 떠나는 대학이다. 현직 기업인으로는 우유철 현대제철 사장, 조명호 SK C&C 부사장, 좌상봉 롯데쇼핑 부사장, 박기홍 포스코 부사장 등이 있다. 김태진 SK네트웍스 사장과 이종석 삼성전자 부사장, 김용민 후성 사장은 코넬대 존슨스쿨(경영대학원)이 배출한 졸업생이다. 김용민 사장은 후성그룹 김근수 회장의 장남으로 학부는 워싱턴대, 대학원은 코넬대를 나온 뒤 현재 가업을 잇기 위해 경영에 참여한 상태다. 후성그룹은 고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의 매제 김영주 회장이 창업한 기업이다. 


	1. 이상철 LG유플러스 부회장 2. 박찬구 금호석유화학 회장
1. 이상철 LG유플러스 부회장 2. 박찬구 금호석유화학 회장 / 조선일보 DB

텍사스주립대는 김기호·정은승 삼성전자 부사장, 한인규 호텔신라 부사장이 석사과정을 졸업했으며 구자균 LS산전 부회장은 지난 1990년 재무관리분야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구자균 부회장은 구자열 LS그룹 회장의 둘째 동생이다. 조양래 한국타이어 회장의 둘째아들 조현식 한국타이어 사장, 김흥제 HMC투자증권 부사장, 이태화 SKC 부사장은 시라큐스대 출신이다. 박찬구 금호석유화학 회장, 서상원 오리엔탈정공 사장도 시라큐스대 동문 사이다. 듀크대는 정보통신부 장관을 지낸 이상철 LG유플러스 부회장이 공학박사를, 김헌표 SK네트웍스 부사장은 듀크대 푸쿠야스쿨(경영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번 조사에서 해외대학을 졸업한 시가총액 300위 기업 대표이사, 사장, 부사장은 총 136명으로 전체 20.8%를 차지했다. 


	대기업 외국대학졸업 임원 표

	대기업 외국대학졸업 임원 표

 
 / 이코노미조선
   송창섭 기자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OECD, 전세계 54만명 조사… 만족도 10점 만점에 6.36점
한국 학생들의 학력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가운데 최상위권이지만 '삶의 만족도'는 최하위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 학생들은 또 사교육을 가장 일찍부터 시작하고 공부 시간도 가장 긴 반면, 신체 활동 시간이나 부모와 대화하는 시간은 꼴찌...
학업 부담감 큰 편… 웰빙에 문제
캐나다 학생 학력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최상위권이지만 삶의 만족도는 높지 않게 나타났다. 한국과 비슷한 결과다. OECD가 19일 공개한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 2015 학생 웰빙 보고서를...
2021년부터 해외 교육과정 3년 이상 이수한 학생으로 변경
현재 초등학교 6학년이 대학에 들어가는 2021학년도부터 재외국민 특별전형의 지원 자격이 변경될 전망이다. 재외국민 특별전형을 통한 대학 부정·편법 입학을 막기 위해서다.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특별전형의 지원 자격이 외국에서 고등학교 1개 학년을...
[내년 입시부터 대학별 전형數 수시 4개·정시 2개로 제한]대학들, 전형數 제한 안 지키면 재정 지원받는 사업서 불이익내년에 '공통 원서접수制' 도입, 한 번에 여러 대학들 동시 지원현재 3000여개의 대학 입학 전형 방법이 2015학년도 입시부터는 1000개 이하로...
‘유펜(U Penn·펜실베이니아대 약칭)과 맥길대의 대결’시가총액 기준 300위 안에 드는 기업의 최고위 임원을 가장 많이 배출한 대학들이다.<이코노미조선>이 기업경영평가사이트 CEO스코어(www.ceoscore.co.kr)에 의뢰해 국내 10대 그룹 상장계열사 사장,...
초중고교 학비 학부모 부담 韓 21.5%, 加 10.7%
한국과 캐나다의 교육 예산을 비교한 결과 캐나다가 교육에 더 많은 투자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OECD(경제협력개발기구)가 25일 공개한 'OECD교육지표'를 보면 캐나다는 초중고교생 1인당 연 9774달러를 써, 한국의 7396달러를 앞섰다. 또한 교육예산 집행 내용을 보면...
우리나라가 국제수학올림피아드에서 사상 처음으로 종합 1위에 올랐다.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은 지난 4일부터 아르헨티나의 마르 델 플라타에서 열린 제53회 국제수학올림피아드(International Mathematical Olympiad·IMO)에 참가한 우리나라 대표단 6명 전원이...
이승윤. 이달 초 주요 인터넷 포털 사이트 인기 검색어 순위 상위권에 일제히 오른 이름이다. 승윤씨는 지난 2일(현지 시각) 영국 옥스퍼드대 재학생 토론클럽 '옥스퍼드 유니언'의 한국인...
영국 명문 옥스퍼드대의 학생 자치기구인 옥스퍼드 유니언 회장에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이 대학 재학생 이승윤 씨(22)가 당선됐다.한국 학생이 세계 지도자들의 산실인 옥스퍼드 유니언 회장에 뽑힌 것은 옥스퍼드 800년 역사 이래 처음이다.인도계 출신을...
한국 전국 344개 대학(전문대 포함) 가운데 337개 대학이 올해 등록금을 지난해보다 평균 4.2% 인하하기로 한 것으로 나타났다.교육과학기술부는 13일 "대학들의 올해 등록금 현황을 파악한 결과 명목 등록금은 평균 4.2% 인하되었으며 정부장학금(1조7500억원)과...
하버드大 손에스더씨 줄기세포분야 루게릭병 연구
중학교 시절 성적이 하위권을 맴돌다 조기 유학으로 해외 유명대학에 진학해 화제가 됐던 한국의 ’꼴찌 소녀’ 손에스더(26)씨가 줄기세포 분야의 대표적인 학술지에 논문을 발표했다....
김민형 포스텍 겸임교수 옥스퍼드大 정교수로
수백년간 풀리지 않은 난제인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해 세상을 놀라게 한 수학의 거장이 한국인 교수를 동반 연구자로 추천했다. 19일 학계에 따르면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수학과의 김민형 교수(포스텍 연산석좌교수 겸임)가 내년 초 영국...
서울 6개 사립대학 공동입학설명회 성료
서울 소재 6개 사립대학의 공동입학설명회가 4일 오후 5시부터 7시까지 밴쿠버 순복음교회에서 열렸다. 고려대와 서강대, 성균관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양대 등 6개 주요 사립대학이...
자폐아 키우는 부활 리더 김태원"저는 알고 있었어요. 우리나라에 자폐 장애를 가진 사람이 그렇게 많다는 사실을요. 하지만 그들이 세상 밖에 나와 서 있을 곳이 없지 않습니까? 그래서 대부분의 가정이 쉬쉬하고 있는 거죠."최근 TV 토크쇼에 나와 자신의 아이가...
하루종일 책·컴퓨터 보고, 주말엔 밀린 예능프로 시청선진국선 시력보호정책 시행… 시력 재활·눈 휴식 운동 등서울의 중·고등학생이 4명 중 3명꼴로 안경을 써야 할 정도로 시력이 나쁜 것으로 조사됐다.4일 한나라당 박영아 의원이 공개한 서울시교육청의...
로스앤젤레스(LA)한국교육원과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CSU) LA캠퍼스가 14일(현지시간) CSU LA캠퍼스에서 ’한국어 교사 양성과정’ 설치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교육과학기술부가 전했다.이에 따라 CSU LA캠퍼스는 올해 가을학기부터 한국어 부전공과정을...
▲ 예일대·하버드대·프린스턴대 등 미국 아이비리그 내 3대 명문대에 동시 합격해 화제가 되고 있는 용인외고 졸업생 한서윤(19)양. /연합뉴스 용인외고 한서윤양… 국내 학생으론 처음한국외대부속 용인외고 졸업생이 국내 최초로 미국 아이비리그 내 3개...
클린턴정부 때 CIA 국장 존 도이치가 이런 말을 했다. "장관 중에 2차 방정식을 풀 줄 아는 사람이 2명쯤 된다. 차관까지 합치면 4명쯤 될 것이다. 그중 3명은 MIT 출신이다."미국 MIT(매사추세츠 공대)에 입학하면 경영학이나 미학 전공자라도 무조건 미적분 1년, 물리학...
정책과 현실 사이서 짓눌린 어느 고교생의 하루말로만 자율학습 거부땐 야단 맞아10시 넘어 학원行… 잠자리는 빨라야 새벽 1시30분쯤… 인천광역시 A고등학교 2학년인 B양은 요즘 수면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학교에서 거의 강제로 방과 후 '자율학습'을 해야 하고,...
UBC 아시안 센터에서 지난 21일 브루스 풀튼(Fulton) 교수의 진행 아래 ‘한국 문학의 밤’ 행사가 열렸다. 약 3시간 동안 진행된 이번 행사는 한국 문학 수업을 수강하는 학부생들과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