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날 따라해봐! 성적이 '껑충'

이해나 기자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3-09-19 16:11

1학기 만에 성적 급상승… 비결에 주목!

대부분의 중학교가 이르면 9월 말부터 10월 중순에 걸쳐 2학기 중간고사를 치른다. 새 학기 '성적 향상'을 목표로 삼은 중학생이라면 이곳에 주목해보자. 맛있는공부는 지난해 중학교 2학기 내신 시험에서 1학기에 비해 놀라운 성적 '점프'를 이뤄낸 학생 3인을 만났다.


기사 이미지
(왼쪽부터) 김기현군ㅣ서울 건국대사범대부속중 2년 / 민시은양ㅣ경기 용인 초당중 3년 / 이승언군ㅣ경기 용인 동백고 1년

중 1 tip_ 김기현
책상 달력 활용… 하루 계획 세워 교과서 '정복'

김기현(서울 건국대사범대부속중 2년)군의 지난해 1학년 2학기 전교 석차는 5등으로 1학기 29등보다 24계단이나 뛰어올랐다. 전체 평균 점수는 약 87점(1학기)에서 97점(2학기) 정도로 10점이나 상승했다. 중상위권에서 최상위권으로의 도약을 해낸 김군은 "영어 과목이 골칫거리였다"고 말했다.

"지난해 1학기 때는 괜한 욕심에 여러 문제집을 봤어요. 2학기 때부터는 시험 2주 전부터 교과서만 반복해 읽었죠. 본문 내용을 이해하고, 단원마다 다뤄지는 문법과 구문 모두를 완벽하게 짚고 넘어갔어요. 이것만 착실하게 해도 시간이 부족하던데요?"

김군은 누구나 책상에 올려두는 달력을 활용, 하루 단위로 공부 계획을 세우고 이를 차례차례 지켜나갔다. 그는 "미루지 않으려고 계획을 지킬 수 있을 만큼만, 지켜야 할 순서대로 적었다"고 덧붙였다. "눈앞에 놓인 달력이 내가 지킨 계획들로 빼곡히 채워질 때쯤이면 여러분도 성적 점프를 이뤄낼 수 있을 거예요."


중 2 tip_ 민시은
'선행'보다 '현행' 공부가 더 중요


지난해 민시은(경기 용인 초당중 3년)양은 수학 점수가 다른 과목에 비해 잘 나오지 않아 속병을 앓았다. "친구들이 어려워하는 국어나 과학 과목 등은 항상 90점대 후반 점수가 나오는 등 꽤 잘하는 편이에요.(웃음) 그런데 수학은 2학년 1학기 중간고사에서 60점대 후반, 기말고사에서 70점대 초반 점수가 나왔어요. 학원에서 선행수업도 받았는데 충격이 컸죠."

결국 민양은 선행 대신 학교 진도에 맞춘 현행 위주의 공부법을 택했다. "우선 개념을 한번 숙지하고 쉬운 기본 문제를 틀리지 않을 때까지 풀어요. 그다음 개념 정리를 한 번 더 하고 응용문제를 풀고요. 이때 실수한 문제는 따로 모아서 진짜 시험지처럼 만들고 틀리는 문제가 없을 때까지 반복해서 풀었어요." 결국 민양은 2학년 2학기 수학 성적을 90점대로 끌어올렸다. "이런 방법을 활용하니 실제 시험을 보는 것처럼 긴장하게 되더라고요. 제겐 마침맞는 공부법이었죠."


중 3 tip_ 이승언
필독도서 100선 도전… 유명 자서전도 읽기


"중 3 수학은 중학교 1·2학년 때보다 확실히 어려워지거든요. 특히 서술형 문제가 제 발목을 잡았죠." 지난해 중3 1학기 수학 과목에서 70점대 점수를 기록했던 이승언(경기 용인 동백고 1년)군. 그는 △객관식 문제도 주관식 문제처럼 풀기 △연습장 빈틈없이 꽉꽉 채워 쓰기 등의 방법으로 자신의 약점인 수학 서술형 문제를 극복했다. 이군은 "위 방법을 꾸준히 지키니 그동안 얼마나 풀이과정에 소홀했는지 몸소 느끼게 됐다"고 말했다. 이후 치른 2학기 중간고사 수학 점수는 95점, 기말고사 점수는 96점이었다.

그는 또 여름방학을 활용, 중학생 대상 필독도서 100선 읽기에 도전했다. "'수학과 책 읽기가 무슨 관계냐'고 의아해하실 수도 있겠죠. 전 제가 서술형 문제에 약한 이유가 개연성을 잘 파악하지 못해서라고 판단했어요. 책을 많이 읽어서 그 약점을 극복하려 했죠."

실제로 중 3 여름방학 기간 중 총 60권의 책을 읽은 이군은 "사실 청소년 필독도서만 읽기엔 따분할 것"이라며 "그럴 땐 유명인의 자서전을 읽어보라"고 권했다. 가독성도 높을뿐더러 대개 한 인물의 성공담이라 학습 의욕도 샘솟기 때문이다. 신발 브랜드 '탐스슈즈'의 CEO 블레이크 마이코스키(37)의 자서전 '탐스 스토리'(세종서적)를 가장 인상깊게 읽었다는 이군은 "독서로 수학 서술형 문제가 두렵지 않게 됐고, 국어 실력까지 탄탄해졌다"고 말했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1학기 만에 성적 급상승… 비결에 주목!대부분의 중학교가 이르면 9월 말부터 10월 중순에 걸쳐 2학기 중간고사를 치른다. 새 학기 '성적 향상'을 목표로 삼은 중학생이라면 이곳에 주목해보자. 맛있는공부는 지난해 중학교 2학기 내신 시험에서 1학기에 비해 놀라운...
중국에선 중추절을 앞두고 대목을 맞은(have a rush of orders) 신종 비즈니스가 있다. 이른바(so-called) '부모님 방문 서비스'다. 피치 못할 사정으로(for some unavoidable reasons) 찾아뵙지 못하는 자식들을 대신해(on their behalf) 수고비를 받고 대리 방문해주는 서비스다.이 신종...
BC주 대학·칼리지 졸업생 학교 만족도 93%
지난해 BC주 대학·칼리지 졸업생을 대상으로 학교와 학과에 대한 만족도를 설문한 결과 93%가 만족감을 표시했다고 BC주 고등교육부가 16일 발표했다. 암릭 버크(Virk) BC주 고등교육장관은 "대부분 학교에 대한 만족도는 A+에 해당한다"고 자랑했다. 관련 설문은 BC주...
“의사로서 흔들리지 않는 나의 꿈, 이젠 밴쿠버에서 시작합니다”
어린시절부터 그의 장래 희망은 단 한 가지, ‘의사’였다. 10대 후반과 20대를 거치는 동안 나름 방황은 있었지만 그 꿈이 수정된 적은 없었다.결론부터 말하면, 묵묵히 한곳만을 바라보던...
“예비 신입사원 예상 몸값 현실에서는 기대 못 미쳐”
대학생들이 생각하는 졸업 후 자신의 첫 몸값은? 몬트리올은행(BMO)이 최근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정답은 연 5만668달러다. 남학생의 예상 연봉은 5만2938달러로, 여학생의 4만8096달러에 비해 기대치가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남학생이나...
“유학생 부담은 갈수록 커지는 중”
학비 오름세가 가파르다. 캐나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3/14학년 대학 등록금은 평균 5772달러로, 전년 대비 3.3% 올랐다. 이는 지난 학년 인상률(4.2%)보다는 낮지만, 물가 상승률은 크게 앞지른 수치다. 2012년 7월부터 다음해 동월까지의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1.3%였다....
자기주도학습 우수 초등생 "우리가 공부하는 이유는요!""어린애가 뭘 알겠어? 엄마가 시키니까 억지로 하는 거겠지."일명 '학원 뺑뺑이'와 선행학습이 난무하는 요즘은 공부 잘하는 초등생을 바라보는 시선이 곱지만은 않다. 본인이 원해서 공부하기보다는 엄마...
◇책과 가까워지면서 성적도 쑥쑥이수민(서울 신북초 5년) 양은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책 읽기를 좋아하지 않았다. 가끔 엄마가 손에 쥐여주는 책을 읽은 게 전부였다. 국어 단원평가 점수도 형편이 없었다. 독해력이 부족해 문제에 제시되는 지문을 제대로 이해하지...
[2013 세계대학평가] 1위 MIT, 2위 하버드영국의 글로벌 대학 평가 기관 QS (Quacquarelli Symonds)가 9일(한국시각) 발표한 '2013 세계대학평가'에서 서울대가 세계 35위, 카이스트(한국과학기술원)가 60위에 올랐다. 이어 포스텍 107위, 연세대 114위, 고려대 145위, 성균관대...
서울대 35위, 카이스트 60위… 세계 200위內 한국 대학 6곳
[2013 세계대학평가] 10년간 나타난 세 가지 특징① 美 대학들, 경제위기로 휘청정부 예산받는 美주립대 43곳, 6년전보다 평균 20계단씩 하락② 국제화 지표서 크게 뒤진 日13계단 추락 도쿄대, 32위 그쳐… 서울대는 매년 올라 올해 35위③ 中, 해외 유학생 대거...
청소년 자녀가 잘못된 행동을 했을 때에 큰 소리를 지르면 체벌을 했을 때와 비슷한 부정적 영향을 자녀에게 미치게 된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9일 보도했다. 우울증, 거짓말, 공격적 행동이 오히려 늘어난다는 것이다.피츠버그 대학과 미시간 대학의 연구팀은...
BC주고등교육부 '학비 절감' 이용 권장
BC주정부는 학비 절감을 위해 BC트랜스퍼제도(BC Transfer System)를 대학생들이 좀 더 활용해야 한다고 5일 발표했다. 암릭 버크(Virk) BC고등교육장관은 집 근처에서 학교를 다닌 후 대학에 가게 되면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며 해당 제도 이용을 권장했다....
NBA캐나다 지부 DB공개
NBA(북미프로농구) 캐나다지부가 젊은 농구 인구 확대를 위해 유스클럽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어 공개했다. 캐나다 전역 시마다 있는 청소년 클럽이나 리그에 대한 연락처를 웹사이트를 통해 소개해 농구에 관심 있는 부모나 청소년이 연락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이다....
[내년 입시부터 대학별 전형數 수시 4개·정시 2개로 제한]대학들, 전형數 제한 안 지키면 재정 지원받는 사업서 불이익내년에 '공통 원서접수制' 도입, 한 번에 여러 대학들 동시 지원현재 3000여개의 대학 입학 전형 방법이 2015학년도 입시부터는 1000개 이하로...
프레이저연구소 '연 1만달러' 통념과 다른 결론
캐나다 국내에서 자녀 1명을 양육하는데 연간 비용은 최소 3000달러라고 프레이저연구소가 22일 발표했다.밴쿠버소재 보수성향 싱크탱크인 프레이저연구소는 자녀의 연령에 따라 양육비용은 3000달러에서 4500달러 사이라고 밝혔다. 이와 같은 결과는 캐나다 일반의...
사회가 고학력 요구... 교육·보건이 자리찾기 상대적 수월
캐나다 부모들이 은퇴를 늦추거나 빚을 내서라도 자녀를 대학에 보내려는 배경에는 취업률이 있다. 호경기 때는 대졸자나 비대졸자나 비슷한 비율로 일자리가 늘지만, 경기가 어려워지면 차이가 극명해지기 때문이다.미국 HED사의 대졸자와 전체 일자리 비교...
캐나다 부모 10명 중 4명 자녀 위해 희생
자녀의 대학 학비 부담으로 인해 부모의 은퇴가 늦춰질 전망이다. 캐나다 시중은행 중 하나인 CIBC가 레거사에 의뢰해 시행한 설문결과, 25세 미만 자녀를 둔 캐나다 부모의 10명 중 4명(36%)은 자녀의 대학 학비를 내기 위해 은퇴를 늦출 계획이라고 밝혔다. BC주...
UBC 약대 한인학생회 신형찬·유수훈씨
한인사회 일부에서는 약사라는 직업에 대한 이해가 비교적 낮은 편이다. 누군가에게 약사는 “타이레놀 어디 있어요?”라는 질문에 답해주는, 혹은 처방전에 따라 약을 내어주는 사람에...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