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김봉환씨, 코퀴틀람 시의원 보궐선거 출사표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3-10-04 16:31

68년 이민, 매니토바 주공무원으로 생활 후 은퇴
한인 김봉환씨(영어명 Ben Kim· 67세)가 오는 10월 26일 치러질 코퀴틀람 시의원 보궐선거에 출사표를 내고 유세활동을 하고 있다.

김 후보의 당선 전략은 투표율이 낮은 시의원 보궐선거인 만큼 코퀴틀람 시내 3500여명의 한인 유권자의 표를 받아 시의회로 진출하겠다는 것이다.  현재 보궐선거에 등록한 후보는 김 후보까지 12명이다.

김 후보가 불리한 점은 지명도와 거주지다.  2007년에 매니토바주에서 BC주 포트무디로 이주해온 김 후보는 지역사회에 잘 알려지지 않았고, 12명 후보 중 유일하게 코퀴틀람이 아닌 지역에 거주한다는 핸디캡이 있다.

김 후보는 시당(市黨)의 공천을 받지 않고, 또한 주(州)정당의 지지를 받지 않는 무소속이어서 자원봉사자 등 선거 운동부터 지원해 줄 조력자가 많이 필요한 부분도 있다. 또한 오는 10월 16일, 19일, 23일, 25일 시행되는 부재자 투표의 표도 김 후보에게는 중요하다.

보궐선거에서 한인 유권자의 표를 모아 당선을 노린다는 전략이 허황된 것은 아니다. 2010년 5월 코퀴틀람 시의원 보궐선거에서 투표율은 단 7%에 불과했다. 7만8000명 유권자 중 투표한 유권자는 5960명에 불과했고, 당선자는 2490표를 받아 2위와 664표 차이로 시의원이 됐다. 

다만 당선이 되어도 시의원으로 활동 기간은 1년이다. 내년 11월 15일에 코퀴틀람을 포함 BC주 전역 지방자치단체 선거가 치러지기 때문이다. 참고로 지난 2011년 코퀴틀람 지자체 선거에서 최소 득표 당선자는 7439표를 받았다.

김 후보는 경희대 경제학과 졸업 후, 일찌감치 이민을 작정해 68년 토론토로 왔다. 둘째 형이 경영하는 전파상에서 TV와 라디오수리를 익혀 이민을 왔지만, 정작 그 기술은 쓰지 못하고, 다른 한인들의 호의와 도움으로 여러 병원에 간호조무사로 취업길을 수소문해 자리를 잡았다. 이후 한국에서 알던 김홍자씨와 결혼했다고.

일류대를 나온 형제들에 비해 공부를 못했다는 생각에 늘 공부에 대한 갈증을 느꼈던 김 후보는 낮에 공부하고 밤에 일하는 주독야경 생활을 통해 75년 요크대에서 경제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민 초기가 순탄했던 것은 아니다 시체를 닦아 운반하는 일도 마다하지 않았다. 또한 학업 막바지에는 "도저히 일하며 공부할 수는 없어서" 피아노 레슨을 해 생계를 돕는 부인의 이해를 받아 공부했다고 김후보는 밝혔다.

그러나 학위가 있어도 토론토에서 취업은 쉽지 않았다. "수백 통의 이력서를 보내서" 일자리를 알아봤지만, 길은 잘 열리지 않았고, 결국 매니토바주정부 환경부에 자리를 잡게 돼 위니펙에서 25년 넘게 거주하게 됐다.

토론토에서 위니펙행을 주저하는 부인에게는 3년만 살아보자고 했지만, 김 후보는 은퇴까지 그곳에서 주정부 공무원으로 일하며 매니토바대에서 정치학 석사를 받았다. 은퇴 전후에는 사회학박사학위에 도전 7년 만에 학위를 받아 화제가 되기도 했다.

김 후보는 92년부터 94년까지 매니토바 한인회장으로 활동했고, 매니토바 민속제전인 포크라마에 한국관을 설치·운영하는 코디네이터 역할도 했다. 공무원 경험과 함께 포크라마 카운슬에 들어가, 부회장 등 중역으로 선출돼 다민족 사회의 협력을 끌어내는 방법에도 경험을 쌓았다. 

밴쿠버에 온 것은 2007년 우연히 현재 포트무디에 살고 있는 집을 보고 계약을 맺은 것이 계기가 됐다. 김 후보의 부인이 은퇴 후 바다가 보이는 집에서 살겠다는 소망을 이룬 것이다. 은퇴 후의 안락한 삶을 살 수 있지만  김후보는 그간 다른 한인의 도전을 보며 쌓아온 정계 진출의 희망을 이뤄보고자 나섰다고 말했다.

또한 경험을 바탕으로 김 후보는 시의원이 되면 사회에 봉사해 다민족사회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소수민족과 시정(市政)의 연결고리 역할을 하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김 후보는 10월 5, 19, 26일 오후 1시부터 3시 사이 코퀴틀람 한아름마트 문화센터에서 한인과 만남의 시간을 갖는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밴쿠버 아시안 영화제 7일 개막…영화 40편 상영
제17회 밴쿠버 아시안 영화제(Vancouver Asian Film Festival·VAFF)가 7일 개막한다. 올해 '너티 오어 라이스'(Naughty or Rice)라는 테마로 10일까지 진행되는 VAFF는 40편의 영화를 통해 각 아시아 국가의...
설치 미술가 김수자 회고전, 내년 1월 26일까지 밴쿠버 아트갤러리서
'김수자'라는 이름 석자보다 '보따리 작가'로 더 유명한 설치 미술 작가. 그의 별명은 1990년대 초반에 시작한 '보따리(Bottari)' 연작 때문에 붙여졌다. '보따리' 연작에서 뿜어져 나오는...
68년 이민, 매니토바 주공무원으로 생활 후 은퇴
한인 김봉환씨(영어명 Ben Kim· 67세)가 오는 10월 26일 치러질 코퀴틀람 시의원 보궐선거에 출사표를 내고 유세활동을 하고 있다.김 후보의 당선 전략은 투표율이 낮은 시의원 보궐선거인...
써리 식스 사건, 발생 6년 만에 재판 시작
마약밀거래 조직을 위해 총격 암살을 행한 혐의를 받고 있는 4명 중, 혐의를 부인하고 있는 3명에 대한 재판이 발생 근 6년 만에 시작됐다.이른바 '써리 식스(Surrey Six)'로 불리는 6명을...
한 의사의 유언 후 캐나다 사회는 숙고 중
세계를 공포에 몰아넣었던 사스(급성호흡기증후군·SARS) 확산 당시인 2003년 캐나다 토론토에서 질병 확산을 막아 유명해진 미생물학자 닥터 도널드 로우(Low)가 안락사를 택할 권리를...
인터넷 데이트 사이트 광고로 자기 딸 사진이 나온다면 그 아버지의 심정은 어떨까? 게다가 그 딸이 앞서 강간사건 피해자가 된 후 오히려 학교에서 따돌림을 당하다가 급기야는...
걷는 者... 일반인, 투자성과에 따라 배당 받는 방식 뛰는 者... 공무원, 같은 일하는 일반인보다 2배나는 者... 정치인, 투자금에 4~6배 세금으로 지원남보다 많은 연금을 받고 싶다면 캐나다...
밴쿠버에서 상점들이 모여있는 거리를 꼽으라면 랍슨가, 그랜빌가, 브로드웨이가 떠오른다. 밴쿠버 웨스트 4번가(West 4th Ave.)도 밴쿠버 주민이 선호하는 식당과 상점이 줄지어 있는...
“은퇴연금부터 유족연금까지, 모르면 놓치기 쉬운 혜택들”
밴쿠버 조선일보는 써리 석세스 한인담당 장기연씨와 함께 총 4회(매주 토요일자)에 걸쳐 ‘캐나다 노인연금 지상강좌’를 마련합니다. 1회와 2회에서는 각각 노령보장연금(Old Age Security...
개성과 독창성으로 가득찬 독립 예술인의 무대
대안. 발상의 전환. 비정형. 파격... 예술 축제를 설명하는데 이런 단어로 묘사된다면 어떤 무대일지 상상이 되는가. 1999년 당시 전혀 이름이 알려지지 않았던 넌버벌 (non-verbal) 퍼포먼스...
“알면 알수록 든든해지는 노후, 캐나다 국민연금”
밴쿠버 조선일보는 써리 석세스 한인담당 장기연씨와 함께 총 4회(매주 토요일자)에 걸쳐 ‘캐나다 노인연금 지상강좌’를 마련합니다. 1회 노령보장연금(Old Age Security Pension), 2회 소득보장보조금을 비롯한 다양한 보조금 혜택에 이어 이번 주에는...
여름 축제가 열리는 밴쿠버 PNE 페어
한국의 테마파크 에버랜드나 롯데월드에서 급류타기 놀이기구의 앞좌석에 앉아 ‘자발적으로’ 물벼락을 맞았거나 바람을 가르는 바이킹에 올라 맘껏 소리를 지른 짜릿한 추억을 간직한...
“각양각색 보조금, 캐나다인의 노후생활 지킴이”
밴쿠버 조선일보는 써리 석세스 한인담당 장기연씨와 함께 총 4회에 걸쳐 ‘캐나다 노인연금 지상강좌’를 마련합니다. 첫회에는 노령보장연금(Old Age Security Pension)에 이어 이번 주에는...
Porteau Cove와 Brandywine Falls
밴쿠버와 위슬러를 연결하는 시투스카이하이웨이(Sea-to-Sky Hwy)에는 그 이름만큼이나 바다와 하늘이 잘 어우러진 풍경 좋은 곳이 많이 있다. 주립공원과 트레일이 상당히 많은데, 그중에서...
[월스트리트저널(WSJ)]◆ 소니 비아콤 인터넷TV 서비스 함께 제공하기로미국 미디어기업 비아콤이 일본 가전업체 소니에 콘텐츠를 제공하기로 했다고 15일 WSJ이 전했다. 최근 인터넷TV 사업을 시작한 소니는 양질의 TV 콘텐츠를 확보하기 위해 각종 미디어업체와...
진드기를 통해 퍼지는 라임병
산행이나 스포츠 등 아웃도어 활동을 즐기는 이들 사이에 라임병(Lyme disease)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다. 라임병은 진드기(tick)가 사람을 물 때, 보렐리아속 박테리아가 감염돼 생기는...
올해로 개장 125주년 맞는 밴쿠버 상징의 역사
“태고(太古)의 자연 그 자체”. 밴쿠버의 대표적 상징 스탠리파크(Stanley Park)를 설명하는 가이드북의 한 구절이다. 밴쿠버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단어인 동시에 여행객이 반드시 들르는...
“노령보장연금 누가, 얼마나 받게 될까?”
밴쿠버 조선일보는 써리 석세스 한인담당 장기연씨와 함께 총 4회에 걸쳐 ‘캐나다 노인연금 지상강좌’를 마련합니다. 첫회에는 노령보장연금(Old Age Security Pension)의 신청방법, 수급...
Burrard Drydock Pier, North Vancouver
밴쿠버 다운타운의 멋진 야경을 사진에 담을 수 있는 곳으로는 스탠리파크 초입, 그랜빌아일랜드 버라드브리지 보이는 곳, 노스 밴쿠버 론스데일키(Lonsdale Quay)가 꼽힌다. 요즘 한 곳을 더...
[월스트리트저널(WSJ)]◆ 기업 인수에 열 올리는 버핏, 작은 먹잇감 선호올해 상반기 버크셔 해서웨이의 자회사들이 12건 이상의 기업을 인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버크셔 해서웨이는 지금까지 진행한 거래에 자금이 얼마나 투입됐는지는 밝히지 않았다. 지금까지...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