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밴쿠버한인문협/수필] 후암동 쌍 과부 댁 이야기

김유훈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4-05-30 14:58

우리 가족의 고향은  평북 의주이다.  해방 후 사업을 잘 하셨던 아버님께서 지인에게 사기를 당하게 된 이유로 서울로  오게 되셨다.

그래서 형은 신의주에서 나는 서울에서 출생하였다. 우리 가족을 서울로 오게한 분은 아버님의 여동생이였다.  즉 우리 고모 두분이 이미 서울에 계셔서 아버님을 오도록 하였다. 이렇게 두 분의 고모님 덕으로 우리 가족은 서울로 올 수 있었다. 

당시 큰 고모님은  남편과  올망 똘망한 남자 아이만 여섯을 두고 지내던  중 6.25전쟁을 당하셨다. 후암동에 사시던 큰 고모님이 마침 장에 간 사이 미군의 비행기 폭격에 남편과 어린 남자 아이 여섯 모두 현장에서 목숨을 잃었다. 그러나 다행히 큰 고모님의 뱃속에는 임신 중인 아기가 있었다.

그 다음 해 나의 고종 사촌 동생이 태어났다. 이 때 언니를 지켜보던 동생 이 그 유복자를 위해 함께 살며 가정을 지켰다. 당시 작은  고모님은 남대문 시장에서 남자처럼 억척같이 장사하여 언니의 식구들을 거두었다.  그렇게 잘 지내던 중 원치않게 유부남의 아이를 갖게되어  미혼모가 되셨다. 이렇게 우리 두 고모님은 각각 아들 하나씩을 키우며 한 집에서 40년을 넘게 사셨다.  

나의 사촌 동생은 두 분의 홀 어머니  밑에서 잘 자라주었다. 명문 중앙고를 졸업하고 서울 약대를 합격해서 두 부모님께 기쁨을 드렸다. 그리고 약대를 졸업 후 유명 제약회사에 취직하여 생산 부장에 올랐다. 

결혼 적령기의 우리 사촌은 고등학교 때부터  7년간 사귀던 교회 아가씨가 있었다.   그는 숙대를 졸업한 그녀와 곧 결혼할 거라는  우리의 예상을 뒤업고  그녀 대신 자신의 제약회사에서 제품을 포장하는  아가씨와 결혼하겠다고 하였다. 더우기 그녀는 의정부 근교에서 농사짖는 농부의 딸이였는 데  학교는 중학교 정도라고 하여 우리 온 집안은 결사반대하며 난리가 났다. 그러나 나의 사촌은 자신만이 갖고 있는 생각이 있었기에  주변의 반대를 무릎쓰고 기여히 자신의  회사 아가씨를  아내로 맞이 결혼하였다. 그 후 사촌 동생이  7년간 사귀였던  숙대출신 아가씨는 굉장한 자해 소동이 있었다고 들었다.

그후 세월이 많이흘러 큰 고모님 댁에 갔을 때 우리 큰 고모님께서 이렇게 말씀 하셨다.  “ 그 땐 내래 와 이리 아들 결혼을 반대했노, 이렇게 결혼하여 아들 딸 잘 낳고, 두 오마니  공경 잘 하는 데…,”라고 말씀 하시며  “거더, 내가 미련해서 이렇게 착한 며느리를 몰라본 것이 늘 마음에 걸리고 미안하고나..”하며 두 눈에 눈물을 지으셨다.  사실 그 어느 누가  서울약대 나온 아들을 두었다면 그 결혼을 하게 할 수 있을까?

지금은 우리 두  고모님  모두 돌아가셨지만 나는 지금도 서울에가서 우리 제수씨를 볼 때마다 나의 고종사촌 동생이 정말 결혼 잘 했다고 생각한다. 아들 딸  잘 키워 모두 결혼 시키고 남편이 경영하는 약국에서 남편보다 더 장사 잘하고, 고모님 훌륭한 음식솜씨 전수받아 음식 잘 만든다. 또 30여년이 지나고 나니 의정부 땅 값이 엄청 올라 제수씨에게 떨어진 유산이  짭짤하였다고 하였다.

그리고  지방에 별장도 마련해 두었다고 나한 테 언제나 와서 쉬라고 할 때 나는 예전에 반대했던 마음이 있어 좀 미안하다. 그러나 아무리 생각해 보아도 “우리 큰 고모님은 한  순간에  남편과 아이 여섯을 잃고 어떻게 살아오셨을까? ”를 생각하면  마음이 무겁다.  우리 두 고모님이 든든히 평생을 살아올 수 있었던  힘은 물론  영주교회의 권사로 신앙의 힘이라고  말할 수 있지만  여섯 아들이 죽은 후 태어난  그 유복자를 애지 중지 키우려 했던 그 정성과 세월이라는 자연치료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 아들은 두분의 홀 시어머니를 모실 며느리로 숙대를 졸업한 아가씨 대신  제약회사에서 포장하며 성실하게 일하는 모습을 멀리서 지켜보며 그녀를 택했던  나의 고종사촌동생의 특별한 사연이 그   결혼을  이룬 것이다.  지금도  후암동에서는 이 사실이  전설처럼 전해지고 있다. 유명한 쌍과부댁 과 그 아들의 결혼이야기가…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꽃피는 봄이 오면 2017.02.25 (토)
 지난겨울은 이곳 밴쿠버의 날씨가 매우 추웠다. 그리고 눈까지 많이 내렸다. 곧 3월이 오면 남쪽에서부터  꽃 소식이 들려오겠지. 이번 겨울은 이곳뿐 만 아니라 한국도 매서운 한파와 눈이 많이 내렸나 보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고국은 정치적 한파가 온 나라를 뒤덮었다. 한 방송국의 조작된 보도로부터 시작된 언론선동, 그리고 촛불이 민심이란 이유로 국민이 직접 뽑아준 대통령을 탄핵하고 그 자리에서 끌어내리려 하였다. 글쎄, 아무리...
김유훈
내가 카나다에 온지 벌서 25년, 처음 정착한 곳이 써리였는 데  외국치고는 좀 시골 분위기가 있었다.  뿐만아니라 교통이 매우 불편한 곳이다. 시내로 나가려면 좁은 패툴로 브릿지를 이용해서 가는 길과 No.1고속 도로를 이용해야한다. 더우기 나는 유학생으로 밴쿠버 서쪽 끝에  있는 Regent college를  다니는 데 너무 힘들어 부득이 이사까지 하였다. 그 후 내가 다시 써리에  정착한지 20년, 처음에 낯설고 외국같던 이곳은 이제 우리...
김유훈
밴쿠버의 4월, 정말 아름답다는 탄성이 절로 나오는 계절이다. 시내 곳곳을 다녀봐도 정원과 같은 꽃길이 수없이 널려있다. 이 아름다운 도시에 내가 와서 살게 된 것은 운명인지 필연인지 잘 몰라도 나에게 행운이 아닐 수 없다. 25년 전 지금과 같은 봄날, 우리 가족은 유학생인 나를 따라 밴쿠버 공항에 도착하였다. 당시 나는 처음 본 꽃길과 신선한 공기를 들이마시며 무척...
김유훈
“집밥 이야기” 2015.11.06 (금)
 지금  한국의 T.V.방송에서는 “집밥”과 관련된 프로가 한창이다. 각 방송사 마다 요리사들이 등장하여 음식을 만들어 보여주는 것 즉 “먹방”이라 불리고  있다. 심지어 백년손님에서 예전 유명 씨름선수의 장모님까지 이 먹방의 한 자리를 차지하여 활약 중이다.생각해 보면 사람이 살아가는 데 제일 중요한 것이 “먹는 일”이다. 잘 먹어야 건강하고 사회생활을 열심히 할 수 있다. 때문에 우리 말에 “밥이 보약이다”란 말이 전해...
김유훈
우리가 살고 있는 이곳 밴쿠버는 쾌적한 자연 환경,  안락한 주거,   그리고 여러가지로 조사한 생활 조건들의 평가로 세계에서 가장 상위권에 있는 곳이다. 카나다 정부는 이민 신청자들의 재산, 학력,경력,  나이 그리고 언어등등을 점수로 환산하여 이민을 허락하는 정책을 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민을 온 많은 분들은 어느정도 본국에서 성공한 계층이라고 볼 수 있다. 물론 예외는 있겠지만 상당수의  이민자들은 한국에서...
김유훈
 한국에서는 “의리”가 열풍이다. 얼마나 의리가  없으면 의리가 재조명 되었는 지를 생각해 볼 때  좀 서글퍼진다. 그러나 과거 우리들의 6-70년대는 의리가 당연했을 뿐만아니라 이를 배신하면  요즘세대의 표현으로 왕따신세가 되었다. 그러나 경제가 성장되는 과정에서  의리는 대부분  온데 간데 없어지고 말았다.그런 잊혀진 의리를 오랫만에 발견하게 된 일이 있었다. 지난 9월 나는 한국에 가게 되었다. 동생이 어머님께서...
김유훈
나의 카나다 생활, 벌써 22년이란 세월이 흘렀다. 언제나 젊음이라 생각했던 내 나이 내년이면 정부에서 노인연금을 준다고하니 실감이 안간다. 그동안 이곳에서의 생활이 너무나 빠르고 특별히 이룬 것이 없어  좀 후회가 든다. 유학과  목회는 미완성 그리고  커피가게와  지금의 트럭커 일까지 나의 발자취가 되었다. 지금 이곳에서 함께 지내온 많은 분들에게는 이미 알려진 사실이지만 과거 한국에서의 나의 삶은  극히 적은...
김유훈
우리 가족의 고향은  평북 의주이다.  해방 후 사업을 잘 하셨던 아버님께서 지인에게 사기를 당하게 된 이유로 서울로  오게 되셨다. 그래서 형은 신의주에서 나는 서울에서 출생하였다. 우리 가족을 서울로 오게한 분은 아버님의 여동생이였다.  즉 우리 고모 두분이 이미 서울에 계셔서 아버님을 오도록 하였다. 이렇게 두 분의 고모님 덕으로 우리 가족은 서울로 올 수 있었다.  당시 큰 고모님은  남편과  올망 똘망한 남자...
김유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