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한국계 찰스 리 교수는 노벨상 不發

김철중 의학전문기자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4-10-08 16:02

환자 맞춤형 치료법 개발중...톰슨 로이터가 수상 점쳐
올해 유력한 노벨 생리의학상 후보로 거론됐던 한국계 캐나다인 찰스 리(Charles Lee·한국명 이장철·45·사진)가 아쉽게도 수상하지 못했다. 찰스 리는 현재 유전체 연구 분야에서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미국 잭슨 랩 유전체의학 연구소장을 맡은 재미 한국인 과학자다. 2년 전부터는 서울대 의대석좌 초빙교수를 겸임하고 있으며, 하버드대 의대 교수를 역임한 바 있다.

노벨의학상 발표를 앞두고 노벨상 족집게로 불리는 학술정보 기업 ‘톰슨 로이터’는 지난달 25일 논문 인용 자료를 분석해 찰스 리 박사를 유력한 노벨의학상 수상 후보 3그룹 중 하나로 점친 바 있다.

찰스 리 박사는 인간이 보유한 유전자 3만여개 중 99.9%는 같고, 0.1%의 차이가 질환 발병 여부와 눈동자 색 등 인간의 모든 조건을 결정한다는 기존의 연구 결과를 뒤엎는 연구로 명성을 얻었다.

그는 사람마다 유전자 덩어리 구조가 다르고, 이는 질병과 무관하게 정상인에게서도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2004년 밝혀내 이를‘유전자 복제수 변이(copy number variation)’로 명명했다. 질병과 유전자 변이 관계가 예상보다 복잡하고, 유전자 복제수 변이를 파악하지 않고서는 유전자 치료를 통한 질병 치료가 힘들다는 것을 알게 됐다.

이런 연구로 찰스 리 교수는 네이처(Nature)와 사이언스(Science), 셀(Cell) 등 세계 3대 과학 학술지 등에 관련 논문을 140여편 발표했다. 2012년부터는 서울대 의대 김종일 교수팀과 함께 환자 맞춤형 치료법 개발에 나서고 있다. 인간의 위암과 유방암을 대신 앓는 이른바‘아바타 쥐’를 만들고서, 그 안의 암(癌) 유전체를 분석해 환자 개인에게 맞는 항암 치료를 찾아내고 이를 사람 환자에게 적용하는 연구이다.

찰스 리는 1969년 서울에서 태어나 이듬해 가족과 함께 캐나다로 떠난 이민 1.5세대이다. 그의 아버지는 대학 실험실에서 연구 업무를 돕는 기술자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찰스 리는 캐나다 앨버타 대학에서 의과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예일대와 하버드 의대 교수를 거쳤다. 지난해 과학자 1400여명이 활동하는 잭슨 랩 유전체의학 연구소 소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2008년 39세로 최연소 호암상 수상자가 된 바 있다.
김철중 의학전문기자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국내 연구팀 5년간 4600명 조사
▲Getty Images Bank정상 체중인 고령자에게 체중이 준다면 치매 발생 위험 신호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타났다.서울시보라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준영, 김근유, 세브란스병원...
▲Getty Images Bank잦은 음주가 50세 미만 ‘젊은 대장암’ 발병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신철민 교수 연구팀은 젊은 대장암 발병 요인을 파악하고자,...
척추관 협착증 환자 A씨. 다리 신경이 튀어나온 척추뼈에 눌려서 걸을 때마다 다리에 통증이 왔다. 진통을 위해 신경외과 전문의를 찾아가 신경통약과 염증약을 처방받아 복용했다. 그러다...
혈액서 포도당 빼내 소변으로 배출
국내 제약사 복제약만 100개 넘어
▲사진출처= Getty Images Bank국내 당뇨병 환자는 최근 급속히 늘면서 526만명이나 됐다(2020년 조사 기준). 당뇨병 진단 기준인 공복 혈당 126(mg/dl)을 넘거나, 혈당관리 지표 당화혈색소가 6.5%를...
▲사진출처= Getty Images Bank하루 중 앉아 있는 시간이 많았다가 줄어든 사람은 앉아 있는 시간이 크게 늘어난 사람에 비해 심뇌혈관 질환 발생 위험이 3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이순영...
박상철 전남대 연구석좌 교수는 한국 100세인 연구 창시자이자 장수 의학 석학이다. 서울대 의대 생화학교실에서 27년간 세포 노화 연구에 매진하다, 2000년대 초반 고령사회연구소를 통해...
▲사진출처= Getty Images Bank사과나 감자만 먹는 원 푸드(one food) 다이어트, 고기만 먹는 황제 다이어트, 공복 시간을 늘리는 간헐적 단식, 특정 시간대에만 식사를 하는 시간 제한 다이어트 등...
10년간 한국인 수면 특성 분석
▲잠을 적게 자면 우울증에 걸릴 위험이 크다. / 게티이미지뱅크잠을 적게 자면 우울증에 걸릴 위험이 크게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과 윤지은, 분당서울대병원...
소식해야 수명이 늘어나기 때문에 장수하려면 적게 먹어야 한다는 말이 강조됐다. 소식하면 노화를 일으키는 활성산소 생산이 줄어, 수명이 늘어난다는 원리다. 쥐 실험을 통해 칼로리...
‘발뒤꿈치 떨어뜨림 체조’ 뼈 튼튼해지고 혈당도 뚝
나가노현이 건강 수명 일등이 된 데는 3가지가 꼽힌다. 첫째는 식생활 개선이다. 칼슘이나 비타민 D를 많이 포함한 우유나 유제품, 해산물, 콩류 등을 적극적으로 섭취하도록 했다. 둘째는...
[김철중 의학전문기자의 헬스 이슈]
심근경색증 새벽·아침 많이 발생
숨 가빠지면서 뒤척일 수 있으나
혼자 수면 중엔 못 깨어날 수도
▲고인이 된 가수 현미씨가 지난달 16일 광주 북구 행복어울림센터에서 열린 ‘토끼띠 독거 어르신 합동 생신 잔치’에 참석해 노래하고 있다. /김영근 기자가수 현미(85)는 별세 전날인 3일...
일본·이탈리아 100세 이상 초장수인 특징 살펴보니
▲사진출처= Getty Images Bank평균수명이 80세 넘는 나라가 한국(83.6세)을 포함, 30여 국에 이르고, 각 나라마다 100세 넘게 사는 초장수인이 늘면서 백세인 특징을 분석하는 연구들이 잇따르고...
당뇨병 치료·예방 연구 결과 속속 나와
▲출처= Getty Images Bank당뇨병 전(前)단계에 있는 사람이 탄수화물 섭취를 제한하는 저(低)탄수화물 식이를 하면 당뇨병으로 넘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주목받고 있다. 최근...
뉴욕대 박사가 만든 치매의 척도
흔히 노인성 치매로 불리는 알츠하이머성 치매는 시간이 흐르면서 서서히 악화되는 질병이다. 사람마다 발병 시점도, 악화 속도도, 증세도 다르다. 그러나 정상 인지 기능 상태에서 심각한...
약 하나만 먹으면 암이 예방되고, 노화도 천천히 일어난다면, 삶이 얼마나 편할까. 누구나 ‘장수 약’을 고대하지만 현실에는 없다. 그 꿈에 비슷하게 접근하는 후보 약이 최근 등장하고...
서울대병원서 동영상 보급… SNS에 젊은층 댓글 “덕봤다”
어깻죽지와 고개를 뒤로 젖힌 상태를 5초간 유지하는 이른바 ´매켄지(Mckenzie) 체조´가 인기를 끌고 있다. 온종일 컴퓨터 앞에 앉아 있거나 스마트폰을 장시간 고개를 숙이고 보는 사람이...
한림대 조정진 교수팀 연구
[한국] 우리나라는 건강에 별 지장이 없는, 약간 뚱뚱한 사람들까지 불필요하게 비만 그룹으로 분류하고 있으니, 한국인 비만 기준을 높여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한림대...
주말에 푹 자도 해소 안돼
당뇨병 환자가 하루 8시간 기준으로 30분만 잠이 부족해도, 병이 악화되고 비만에 걸릴 위험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잠이 부족할 때 분비되는 호르몬이 신체대사에 악영향을 미치기...
손씻기·입 가리고 기침·마스크·목도리·익혀 먹기…
겨울 바이러스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인플루엔자 독감은 유행 경보를 앞두고 있고, 추운 날씨에도 죽지 않는 노로 바이러스는 이곳저곳에서 식중독을 일으키고 있다. 바이러스를 이기는...
환자 맞춤형 치료법 개발중...톰슨 로이터가 수상 점쳐
올해 유력한 노벨 생리의학상 후보로 거론됐던 한국계 캐나다인 찰스 리(Charles Lee·한국명 이장철·45·사진)가 아쉽게도 수상하지 못했다. 찰스 리는 현재 유전체 연구 분야에서 세계적인...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