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현직 시장과 옛 시장의 대결... 한인 시의원 후보도 출마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4-10-24 08:59

선택 2014, 메트로밴쿠버 지방선거 특집(3) 코퀴틀람
한인 유권자가 결정적인 한 표를 행사할 수 있는 지역
 
메트로밴쿠버에서 코퀴틀람은 밴쿠버와 써리 다음으로 한인 인구가 많이 사는 지역이다.

캐나다의 선거는 민족지도자 선출이 목적이 아니라, 캐나다인의 민의를 대변해 수행할 캐나다의 정치인을 뽑는다는 원칙을 기억하고 캐나다인 이웃과 함께 참정·투표한다면, 캐나다 한인 참정의 요람이 될 수 있는 선거구가 코퀴틀람이다.

밴쿠버나 써리보다 코퀴틀람은 전체 인구가 적기 때문에 이 지역 내 한인 유권자의 한 표는 후보 등락에 더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다.

코퀴틀람의 "한국어를 하는" 한인 거주자는 2011년 인구조사 기준 7600명으로, 코퀴틀람 인구의 6.1%를 차지한다. 특히 코퀴틀람 센터 북쪽, 데이비드 에비뉴(David Ave.)를 기준으로 북쪽에는 주민 10명 중 1명(14%) 이상이 한인이다.  메트로밴쿠버에서 가장 한인이 많이 밀집해 거주하는 곳으로, 이곳 다음이 노스써리의 프레이저 하이츠(한인 비율 12%)이다.

이 같은 한인 비율과 밀집도를 고려하면, 제대로 투표만 한다면,  지방선거에서 '민족의 힘'만으로는 당선자를 낼 수 없지만, 한 표 한 표가 캐스팅보트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유세에서 지역 여론을 형성하는 데도 힘을 발휘할 수 있다.

현재까지 한인 후보가 코퀴틀람을 포함한 선거구에서 가장 많은 표를 받은 기록은 코퀴틀람-뉴웨스트민스터에서 치러진 2008년 연방총선이다. 연아 마틴(Martin) 보수당(Conservative) 후보는 당시 1만9299표, 유효표의 38.8%를 받았으나, 2만787표를 받은 던 블랙(Black) 신민당(NDP)후보에게 석패했다. 단 1000표 미만의 석패는 정치적으로도 큰 의미를 가져, 마틴 후보가 보수당 상원의원에 임명되는 계기가 됐다.

이번 지방선거에 코퀴틀람시의원 후보로 출마한 저스틴 김(김성헌씨) 캠프에는 2008년 마틴 상원의원을 도왔던 참모진이 다시 모였다. 폴 시어(Seear) 전 외교장관 정책부장이 캠페인 매니저로 재등장했고, 회계사 역시 2008년 연아 마틴 선거 캠프 출신이다.


<▲ 코퀴틀람 시의원에 도전하는 저스틴 김(김성헌) 후보 >

한편 지방선거는 연방총선이나 주총선과 달리 선거구내 비거주자도, 만약 선거 구내 주택을 갖고 있다면 투표를 할 수 있다. 예컨대 밴쿠버나 버나비 지역에 거주하고 있으나, 코퀴틀람에 주택을 소유하고 있다면, 비거주자 주택소유 선거인(Non-Resident Property Elector)으로 한 표를 행사할 수 있다. 단 이 때도 유권자의 일반 요건은 18세 이상 캐나다 시민권자로, 선거인 등록 전 최소 BC주내 6개월 이상 거주라는 기준에는 맞아야 한다.

(비거주자 주택소유 선거인 등록양식: http://bit.ly/1ymwDYK) 단 주택이 공동 소유일 때는 다른 소유주의 동의를 받아 1명만 지방선거에서 투표할 수 있다. 이 때는 동의서를 작성해 내고 투표할 수 있다.

코퀴틀람 지방선거에서는 시장 1명과 시의원 8명, 교육의원 4명을 선출하게 된다.

지난 2011년 지방선거에서 리처드 스튜어트(Stewart) 시장은 배리 린츠(Lynch) 후보를 2500여표차로 이기고 시장에 당선했다. 스튜어트 시장의 총득표수는 1만50표, 린츠 후보는 7591표를 받았다.

이번 2014 지방선거에서 시장 후보는 3명이다. 이중 인지도 있는 인물은 스튜어트 현직 시장과, 루 세코라(Sekora) 전임 시장이다. 도전자인 세코라 후보는 올해 82세로, 정치경력은 화려하다. 1972년 처음 시의원으로 당선됐고, 1983년부터 1997년까지 코퀴틀람 시장으로 활동했다. 1998년 연방하원 보궐선거에서 포트무디-코퀴틀람 선거구에 자유당(Liberal) 후보로 출마해 정치활동 무대를 바꿨지만, 2000년 연방총선에서는 낙선했다. 시민권 판사로 임명돼 활동하다가 2005년 코퀴틀람 시의원 후보로 나서, 시정(市政)에 복귀해 현재까지 코퀴틀람 시의원으로 활동 중이다. 지난 2011년 지방선거에서 시의원 후보로 8519표를 받았다.


<▲ 시장선거에 출마하는 리처드 스튜어트 현 시장(왼쪽)과 루 세코라 전 시장>

스튜어트 시장은 한인에게도 행사 참석 등 호의적인 행보로 잘 알려진 편이다. 영어와 불어 이중언어 구사자로 "한국어, 만다린 그리고 페르시아어" 같은 외국어도 즐겨 배우고 있다고. 코퀴틀람 시내 각종 모임과 자원봉사 단체 활동을 오래전부터 시작해 끈끈한 연결고리를 갖고 있다. 2008년과 2011년 지방선거에서 시장 후보로 연승한 스튜어트 시장은, 2001년부터 2005년 사이에는 BC주 집권 여당인 BC자유당(BC Liberals) 주의원(MLA)로 활동했다. 정치 입문 전에는 건축업계에서 종사했으며, 캐나다주택건설업자협회 BC지부의 지부장으로 일하기도 했다.

두 후보의 경력을 보면 세코라 후보는 중도-진보에, 스튜어트 시장은 중도-보수에 속한다.

코퀴틀람 시장 후보들은 현재까지 날카로운 대립각을 보이지는 않고 있다. 현재 코퀴틀람내 지방선거 이슈는 ▲버크마운틴(Burke Mountain) 개발사업의 방향 ▲오스틴 하이츠 등 시내 오래된 주거지역 재개발 방안 ▲스카이트레인 도입 후 도시 미화 ▲임대주택 감소 문제 ▲일명 몬스터하우스(대형 단독주택) 등장 등이 있다.

후보자들의 정견 발표는 22일 부터 시작됐고, 25일부터 선거용 간판이 거리에 등장하게 되면 코퀴틀람시는 본격적인 지방선거 분위기에 들어설 예정이다. 오는 11월 4, 5, 6일에는 오후 7시부터 9시 사이에는 모든 후보자가 참석해 유권자에게 정견을 발표하는 행사가 있다.  ▲4일에는 밴팅중학교 체육관(820 Banting St.) ▲5일은 서밋 커뮤니티센터(1450 Parkway Blvd.) ▲6일은 에버그린 컬처럴센터(1205 Pinetree Way)에서 열린다.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맥주는 평범함에 가까운 술이다. 경제력에 따라 마실 수 있는 술의 등급이 달라지는, 그래서 애주가의 심리 상태를 뻘쭘하게 만드는 양주, 꼬냑, 와인 등과는 그 태생부터가 다르다....
선택 2014, 메트로밴쿠버 지방선거 특집(3) 코퀴틀람한인 유권자가 결정적인 한 표를 행사할 수 있는 지역 메트로밴쿠버에서 코퀴틀람은 밴쿠버와 써리 다음으로 한인 인구가 많이 사는...
안봉자 시인의 <빨강머리 앤> 테마 여행기(4)
‘P.E.I. 관광’ 이틀 전에 토론토에 도착한 우리는 예정대로 토론토 한인타운에 있는 OK 투어 회사 근처의 노보텔 호텔에 투숙했다. 다음 날은 저 유명한 로열 온타리오 박물관 (Royal Ontario...
“비내리는 밴쿠버가 즐겁다”
영화 속 “사랑 장면”은 비와 함께 시작되는 경우가 은근히 많다. 어느 노년의 영화 감독에 따르면, 이는 사람들의 움직임을 건물 안으로 한정시키는 비의 속성 때문이다. 많은 비 탓에...
“문을 열고 나서라, 즐기자 밴쿠버의 축제를”
밴쿠버의 정착민으로 꽤 오랜 시간을 보냈지만, 마음만은 여전히 한국 국경 주변을 맴도는 이민자들이 여럿 있다. 몸속 신경줄이 자신이 태어난 땅을 습관적으로 더듬는 건 일면 당연한 일...
선택 2014, 메트로밴쿠버 지방선거 특집(2)
써리시민의 압도적 지지를 받은 시장이 떠난 자리의 새 주인은?인지도 있는 주자들 치안 강화 공약 최우선으로 내세워군소 후보들은 워즈제도 도입 제안해 써리시는 밴쿠버시 다음으로...
선택 2014, 메트로밴쿠버 지방선거 특집(1)
前신민당 출신 로버슨 시장에 언론인 출신 라포인트 후보 맞대결 예상진보진영 웡후보 공약은 많지만 '한 방'아쉬운 상황지난 10일 입후보 마감 결과, 올해 밴쿠버시 지방선거에 시장...
안봉자 시인의 <빨강머리 앤> 테마 여행기(3)
둘째 날과 셋째 날은 캐나디안 대평원 (Canadian Prairie)을 건넜다. 광활한 벌판은 초록 물이 묻어날 듯 윤기 흐르는 목초밭들과 먼 지평선까지 펼쳐진 이름 모를 파랗고 샛노란 꽃밭들이...
이번주 볼거리&놀거리 22
어느새 가을의 중심이다. 밴쿠버가 갈아입은 옷은, 올해에도 어김없이 캐나다의 상징, 단풍이다. 하지만 언제나처럼 눈이 행복해지는 시간은 그리 길지 않다. 본격적인 우기와 함께,...
밴쿠버에 대한 자부심을 가장 손쉽게 그리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곳으로, 이 도시 다운타운 끝자락에 서 있는 스탠리파크를 가장 먼저 지목하는 것은 당연히 공평한 일이다. 고층...
안봉자 시인의 <빨강머리 앤> 테마 여행기(2)
이번에 'OK Tour P.E.I. 6박 7일' 관광단에 합류하기 위해 토론토에 갈 때 Via Rail Canada를 택한 것은 참으로 잘한 일이었다. 비록 비용은 비행기로 왕복하는 것보다 훨씬 비쌌지만, Via Rail로 한...
이번주 볼거리&놀거리 21
10월에 들어서면, 아이들의 마음은 저절로 두근거리기 시작한다. 이달의 끝에 핼러윈이 있기 때문이다. 보통의 아이들은 지난 시즌 전리품의 양을 기억해 내고, 올해에는 그 몸집을 얼마나...
[커뮤니티 포커스]
 *메트로밴쿠버 거주자가 알아둘 주요 소식과 해설을 전달합니다. 작성: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노숙자들 하우가로 대거 이동할까?오펜하이머 공원 관련...밴쿠버시내 주민들...
밴쿠버의 10월은, 꽤 많이 과장하자면 그리고 적어도 애주가에들에게만큼은, 맥주와 함께 시작된 듯 보인다. 이달 2일부터 5일까지, 수많은 밴쿠버라이트들이 “하베스트하우스”(Harvest...
캐나다 언론은 홍콩의 '우산 혁명(umbrella revolution)'을 상세히 보도하고 있다.홍콩은 세계의 금융 중심지이기도 하거니와 홍콩계가 캐나다 사회에 미칠 수 있는 영향도 적지 않기...
안봉자 시인의 <빨강머리 앤> 테마 여행기(1)
지난 8월 중순에 남편과 나는 캐나다 동부 대서양의 세 연해 주(州) (Maritime Provinces) 뉴브런스윅, P. E. I., 노바스코샤를 돌아보고 왔다. 퍽 오래전부터 마음에 담고 벼르면서도, 단지 내가...
이번주 볼거리&놀거리20
프레이저벨리 푸드쇼“인생이 즐거운 건, 맛깔스런 음식 때문이지”주변 사람들의 머릿속에 “요리광”으로 자동 분류되어 있다면, 뭐 이 정도까지는 아니지만 음식을 만들고 즐기는...
[커뮤니티 포커스]
메트로밴쿠버 거주자가 알아둘 주요 소식과 해설을 전달합니다. 작성: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노숙자 텐트촌 결국 철거되나?밴쿠버시 법원에 강제 해산 명령 신청밴쿠버시내 오펜하이머...
낯선 동네에서, 평범한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뭔가에 위축되곤 한다. 먹고 마시는 얘기만 놓고 보자면, 밥집을 고르는 것도, 누군가를 만나 얘기를 나눌 찻집을 고르는 것도, 쉬운 일이...
가을이다. 밴쿠버라이트의 입장에선 우기의 시작, 이제 찬란한 햇살은 당분간 보기 힘들어졌다. 여름 한철 애써주었던 캠핑 장비의 먼지를 털어내면서, 뜨거운 계절을 사랑했던 사람들은...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