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난 오늘 존엄死를 선택했다”

뉴욕=나지홍 특파원, 노석조·양모듬 기자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4-11-03 11:27

말기암 투병 美20代, 예고한 날에 결심 실행

"누구보다 살고 싶었지만… 내 가족들, 모든 친구들, 안녕"

“사랑하는 내 가족들과 모든 친구들 안녕. 오늘은 내가 존엄하게 죽기로 결정한 날입니다. 이 지독한 뇌종양은 내게서 소중한 것들을 많이 빼앗아 갔어요. 하지만 더 이상 빼앗길 수 없습니다.”

말기암으로 투병하면서“ 최악이 오기 전에 존엄사(尊嚴死)를 택하겠다”고 예고했던 미국 20대 여성이 1일 사망 직전 페이스북에 올린 글이다. 존엄사 지지 시민단체인 ‘연민과 선택’은 “브리트니 메이나드(29)가 오리건주 포틀랜드의 자택에서 가족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평화롭게 죽음을 맞았다”고 2일 밝혔다. 그녀는 의사가 처방해준 마취약과 극약을 차례로 먹고 자신의 침대에 누워 잠들듯 세상을 떠났다.

명문 UC버클리를 졸업하고 UC어바인에서 교육학 석사학위를 받은 메이나드는 네팔의 고아원에서 몇 달 동안 교사로 자원봉사를 할 만큼 적극적인 성격이었다. 방학마다 베트남·캄보디아·코스타리카 같은 저개발국을 돌며 자원봉사를 했다.

그런 그에게 올해 1월 1일 악성 뇌종양이란 시련이 닥쳤다. 4월 말 “6개월을 넘기기 힘들 것”이란 시한부 판정을 받았다. 5년 연애 끝에 2012년 결혼한 신혼 새댁에겐 청천벽력 같은 소식이었다.

메이나드는 낙담에 빠지지 않았다. 죽기 전 이루고 싶은 소원들을 적은 버킷리스트를 작성했고, 지난달 21일 남편·친정어머니와 함께 마지막 소원이었던 그랜드캐니언 관광을 다녀왔다.

메이나드는 지난달 6일 “남편 댄의 생일 이틀 뒤인 11월 1일 가족이 지켜보는 가운데 의사가 처방한 약을 먹고 좋아하는 음악을 들으며 평화롭게 세상과 작별하겠다”는 내용의 동영상을 유튜브에 올렸다.

이 동영상은 900만 건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하며 미국에 뜨거운 찬반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얼마나 고통이 극심했으면 그랬겠느냐”는 동정론에, “다른 환자들의 삶에 대한 의지를 약화시키는 공개자살일 뿐”이란 비판도 나왔다.

이에 메이나드는“나도 정말 살고 싶다. 하지만 매일 아침 눈을 뜨는 게 고통이다. 상태가 더 악화하면 말로 표현할 수조차 없는 상황이 올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 발작이 심할 땐 남편 이름조차 발음하지 못했다고 한다. 가족들도 그의 결정을 지지했다.




그는 거주지를 캘리포니아주에서 오리건주로 옮겼다. 오리건은 미국에서 처음 주민투표를 통해 1997년부터 존엄사법을 시행하고 있다. 존엄사를 하려면 6개월 이하 시한부 환자이면서 증인 입회 하에 두 번 이상 존엄사 뜻을 밝히고, 의사 2명 이상의 진단을 받아 극약을 처방받아야 한다. 17년간 오리건주에선 752명이 존엄사를 택했고, 현재 이 법은 5개 주로 확대됐다.



메이나드는 그랜드캐니언 여행 후 잠시 상태가 호전되자 지난달 29일 존엄사를 연기할 수 있다는 뜻을 밝혔다.

하지만 이후 병세가 급속히 악화되자 예정대로 결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나는 자살하는 게 아니다. 오늘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즐겨라. 마음이 가는 것을 추구하라”는 메시지를 남겼다.
뉴욕=나지홍 특파원
노석조·양모듬 기자


→안락사·존엄사
인공호흡기·영양치료 등을 중단, 자연스러운 죽음을 받아들이는 것은 '소극적 안락사', 인위적 조치로 생명을 예정보다 빨리 중단하는 것을 '적극적 안락사'라고 한다. 우리 형법에선 존엄사를 소극적 안락사로 분류하는데, 미국에선 모든 안락사의 고양된 표현으로 쓴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한인 1.5세인 엘리아 암스트롱(54·사진)이 유엔 본부의 최고위직 중 하나인 윤리국장(Director of Ethics Office)에 발탁됐다.유엔은 13일 "반기문 사무총장이 조앤 엘리스 더빈스키 윤리국장...
“후세인 정권 2인자, 티크리트 교전 중 사망”
이자트 이브라힘 알두리는 사담 후세인 정권 때 이라크 최고 통치 기구인 혁명평의회 부의장으로 ‘후세인의 오른팔’이라던 인물이다. 후세인 정권의 2인자였던 그의 행방이...
딸이 바뀐 것 10년만에 알았지만 가족 바꾸지 않아
 열 살 된 딸이 사실은 출생 당시 병원에서 뒤바뀐 남의 자식이라는 걸 알게 되면 어떨까. ‘낳은 정’과 ‘기른 정’사이의 갈등은 국적을 불문하고 통속극의 고전적 주제였다....
3년 時限 제한적 지상전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극단주의 무장단체 IS(이슬람국가)를 제거하기 위해 특수부대를 투입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오바마 대통령은 11일(현지 시각) IS를 격퇴하기 위해 의회에 제출한...
최근 유럽에서 일부 시민이 그리스산(産) 유로화(貨) 지폐를 사용하길 꺼리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고 독일 일간 프랑크 푸르터알게마이네차이퉁이 6일 보도했다. 그리스가 유로존(유로화...
아우슈비츠 해방 70주년
‘아우슈비츠 수용소’해방 70주년을 하루 앞둔 26일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홀로코스트(나치의 유대인 대학살)를 기억하는 것은 독일인의 영원한 책임”이라고 했다. 폴란드에 위치한 아우슈비츠 수용소는 나치독일이 2차대전 동안 유대인 약 100만명을...
각국 부유세 부과 대상으로 본 富者의 기준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20일 워싱턴DC 상하원 합동회의장에서 펼친 새해 국정 연설의 핵심은 ‘부자 증세(tax on wealthy)’였다. 오바마 미 대통령은 이날 “상위 1%가 축적한 부(富)에 걸맞은 세금을 납부하는 것을 피하게 만드는 ‘세금구멍’을 막자”고 했다....
인디언들은 왜 반대할까
미국 프로미식축구(NFL) 소속 팀 ‘미네소타 바이킹’과 ‘워싱턴 레드스킨스’의 경기가 열린 2일 인디언계 주민 5000여명이 경기장 앞에 모여 “레드스킨스란 팀명을 쓰지 말라”고...
말기암 투병 美20代, 예고한 날에 결심 실행
"누구보다 살고 싶었지만… 내 가족들, 모든 친구들, 안녕"“사랑하는 내 가족들과 모든 친구들 안녕. 오늘은 내가 존엄하게 죽기로 결정한 날입니다. 이 지독한 뇌종양은 내게서 소중한...
집값 3배 뛰는데 월급 그대로… 중국에 반환 이후 팍팍해져
홍콩의 이번 민주화 시위에 대해 외신들은 "시위 초기에 중국 지도부가 '홍콩 주민들은 정치적 투쟁엔 무관심하다'며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고 분석했다. 1997년 홍콩이 중국으로 반환된...
한국, 조사 96개국 중 50위… 소득 안정성 가장 취약… 80위
"내 인생 의미있다" 답한 비율, 아시아 국가 중 꼴찌어떤 나라가 노인이 가장 살기 좋을까. '세계 노인의 날'이었던 1일 '2014 세계 노인 복지 지수(GAWI)'가 발표됐다. 국제 노인 인권...
승객 295명을 태운 말레이시아 항공 소속 보잉 777여객기(편명 MH17)가 17일 미사일에 격추돼 우크라이나에 추락했다.사고기는 이날 오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이륙해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를 향하는 중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국경 근처에 떨어졌다고 러시아...
위조여권 2명 - 이탈리아·오스트리아인이 분실한 여권 써
말레이시아항공 소속 여객기(편명 MH370)는 8일 오전 0시 41분(현지 시각)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를 출발했다. 이날 오전 6시 30분 중국 베이징(北京)에 도착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오전 2시...
2위 약학·3위 수학 順미국에서 졸업 후 가장 많은 연봉을 받는 전공은 석유공학으로 조사됐다고 미 USA투데이가 6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미 조지타운대 교육노동센터가 미국 내 대졸 정규직 소득을 조사한 보고서를 보면, 석유공학 전공자의 연봉 중간값이...
“다섯식구 여관방에 살아…”
이모(41)씨는 지난달 27일 막내딸 박모(5)양을 데리고 서울 동작구 노량진동의 한 교회에서 예배를 본 뒤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어느 빌라 앞에 여성용 손가방이 놓여 있는 것을 봤다. 빌라 주민 이모(여·37)씨가 이삿짐을 나르느라 잠시 현관에 둔 가방이었다....
매달 70만원 벌며 기부… 세상을 떠난 후, 세상을 부끄럽게 하다짜장면 배달원 김우수씨의 마지막 흔적그의 책상, 외롭지 않았던… 후원했던 아이들 3명의 사진액자 속에 덩그러니… 서랍엔 보물같은 아이들 편지그의 옷, 부끄러움 없었던… 대통령 초청때도...
"투자금 4배로 불려주는 시스템 만들었다"6억원짜리 마세라티 몰며 여자친구에게 벤츠 사주고 해외 도박하다 몽땅 날려서울대 컴퓨터공학부 조모(25)씨는 지난 2009년 2월 투자전문 회사를 세웠다. "직접 개발한 주식 자동거래 시스템으로 선물(先物)에 투자해 4배...
3일 인천 남동구의 한 아파트 계단에서 숨진채 발견된 집배원 김모(33)씨가 배달 중 실족사한 것이 아니라 살해당했을 증거가 포착돼 경찰이 추가 수사에 나섰다.인천 남동경찰서는 4일...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