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2015년 달력 정리 한번 해볼까요?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5-01-06 13:30

BC주 공휴일은 딱 열흘

◇ BC주 공휴일은 세볼 필요 없이 열흘

1월 새해가 밝았다. 새 달력을 받으면 일단 눈길이 가는 곳은 법정 공휴일(Statutory holidays)이다. BC주의 공휴일은 새어볼 필요없이 한 해 열흘로 고정돼 있다.

순서대로 보면 ▲새해 첫날 ▲패밀리데이(BC Family Day, 2월9일·월) ▲성금요일(Good Friday 4월3일·금) ▲빅토리아데이(Victoria Day 5월18일·월) ▲캐나다데이(Canada Day 7월1일·수) ▲BC데이(BC Day 8월3일·월) ▲노동절(Labour Day 9월7일·월) ▲추수감사절(Thanksgiving day 10월12일·월) ▲리멤브런스데이(Remembrance Day 11월11일·월) ▲성탄절(Christmas Day 12월25일·금)이다.

많은 회사·단체가 쉬기는 하지만, 부활절(Easter Sunday)·부활절 다음날(Easter Monday)·박싱데이(Boxing day 12월26일·토)는 법정 공휴일에 포함되지 않는다. 공휴일이 없는 달은 일반적으로 3월 또는 4월과 6월이다.

휴일 중에서 굳이 법정 공휴일을 따로 구분하는 이유는, 만약 이날 일하면 소득이 가산되기 때문이다. BC주 근로자는 공휴일에 12시간 미만 근무는 시간급의 1.5배를, 그 이상 일하면 2배를 받는다. 단, 조건이 하나 있다. 공휴일 30일전에 고용돼, 이미 15일 이상 일을 해야 이런 대우를 받는다. 캐나다에서 노동법은 각 주마다 달라서, 앞서 설명한 규정은 BC주만 적용된다.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 지난 2013년 BC주에는 BC패밀리데이가 2월 법정 공휴일로 도입됐다. 사진은 크리스티 클락(Clark) 주수상이 공휴일 발표 후 아이들과 춤을 추는 모습. 사진=BC 주정부>


◇공휴일이면 BC주민들은 뭐할까?

▲BC 패밀리데이: 1월 1일 새해 첫 날 이후, 첫 공휴일은 2월 9일에 있는 BC패밀리데이다. BC패밀리데이는 가족과 함께 보내는 휴일이란 의미로, 2월 두 번째 월요일을 기준으로 2013년에 처음 도입됐다.  2월 공휴일 날짜는 캐나다 주마다 다르다. 즉 BC주는 휴일이지만 타주는 아닐 수도 있다.

▲첫 연휴, 부활절: 성금요일과 부활절·부활절 다음날 연휴가 일반적으로 4월에 있다. 3월 부활절은 흔치 않다. 부활절은'춘분(春分·Vernal equinox) 만월 후 첫 일요일'이 기준으로, 매년 날짜가 바뀐다. 내년에만 3월 부활절이고, 2023년까지 부활절은 4월에 있다. 부활절 다음날은 BC주에는 법정 공휴일이 아니지만, 연방공무원과 연방공사(公社) 직원에게는 휴일로 지정돼 있어 대부분 회사도 관례로 쉰다. 부활절은 예수의 고난과 부활이라는 기독교에 의미 깊은 날이기도 하지만, 많은 BC주민에게 봄철을 알리는 연중 첫 연휴다. 매장에서는 겨울·봄 상품정리와 여름 상품이 슬슬 나오기 시작한다.

▲빅토리아데이:
초여름의 시작을 알리는 공휴일은'5월 25일전의 월요일'이 기준인 빅토리아데이다. 과거 대영제국의 최전성기때'해가 지지 않는 나라'를 대표한 빅토리아여왕(재위 1837~1901년)의 생일을 기념한다. 실제 여왕의 생일은 1819년 5월 24일로, 이 때문에 빅토리아데이의 별칭은'메이투포(May Two-Four)'다. 대부분 BC주민은 왕실과 상관없이 초여름을 환영하는 때로,  BBQ족이나 캠핑족들이 장비를 꺼내 들고 뒤뜰이나 공원, 야영장으로 나선다.

▲나라의 생일, 캐나다데이:
6월에는 공휴일이 없고, 7월1일에 캐나다 연방 결성 기념일인 캐나다데이가 있다.  캐나다 연방의 성립은 1867년 7월1일 영국령북아메리카법(British North America Act)을 헌법(constitution act)으로 삼으며 이뤄졌다. 메트로밴쿠버내 시마다 축하 불꽃놀이와 거리·공원 공연을 한다. 국가의 탄생일은 경건보다는 경쾌한 생일로, 한여름의 축제가 벌어진다. 동시에 여름 성수기(peak season)로 이때쯤 여행·숙박·야영 계획이 있다면 2~3개월 전 예약은 필수다.

▲주마다 명칭 다른 8월 공휴일:
8월 첫 번째 월요일은 브리티시컬림비아데이(British Columbia Day), 약자로 BC데이다.  갓 이민 온 이들이 자주 명칭을 혼동하는 공휴일이다. 달력에는 통칭'Civic Holiday'라고 적혀있지만, 호칭과 법정공휴일 여부가 주마다 다르다. 예컨대 앨버타주는 이날이 헤리티지데이(Heritage day)인데 BC주와 달리 법정공휴일이 아니다. 부르는 명칭은 주마다 제각각이지만, 이날은 주별로 자체 전통문화를 기념하는 날이란 점은 같다.

▲휴가철의 끝 노동절: 9월 첫 번째 월요일, 노동절은 학생에게는 여름방학의 끝, 개학을 알리는 날이다. 이날까지 대부분 업체는 백투스쿨(back-to-school) 판촉에 열을 올린다. 학용품·의류·컴퓨터 등이 할인 판매된다. 노동절 다음 날에는 교통 통행량이 크게 늘고, 스쿨존 단속도 시작된다.  

▲가족과 모이는 추수감사절: 10월 두 번째 월요일, 추수감사전의 전례는 첫 수확을 가족과 나누며 감사하는 날이다. 전통적인 식단은 속을 채운 칠면조 요리(stuffed turkey)·호박파이(Pumpkin pie)·애플사이더(Apple cider)가 테이블에 오른다. 미국보다 한 달 빠른 이유는 지리상 캐나다가 더 북쪽에 있어 수확을 일찍하기 때문.

▲추모와 감사, 리멤브런스데이: 11월 11일은 리멤브런스데이. 캐나다의 현충일이다. 추수감사절이 지나면 많은 캐나다인은 1·2차대전과 6·25전쟁과 이후 평화유지군 파병된 캐나다 재향군인을 기리기 위해 파피(Poppy) 사서 가슴에 단다. 파피는 재향군인회에서 판매하며, 수익금은 운영비로 쓴다. 보통 이날 이후부터 크리스마스 장식을 하는 것이 예의.

▲최고의 연휴, 크리스마스: 12월 25일  크리스마스, 따로 설명이 필요없는 서양사회에서는 최고의 휴일. 크리스마스 다음날인 박싱데이는 가장 대대적인 판촉과, 일부 품목은 대대적인 할인 판매를 하는 날이다.


<▲ '한국전 참전용사의 날'행사 중 행진. 사진=밴쿠버조선일보DB >


◇공휴일은 아니지만 기억해둘 날짜

▲한국의 연휴와 기념일... 올해 설날은 2월19일(목)부터 22일(일)까지다. 추석연휴는 9월26일(토)부터 29일(화)까지다. 한국 공휴일 중 밴쿠버에서 관련 행사가 있는 날은 2월19일 설날, 3월1일(일) 3·1절, 5월25일(월) 석가탄신일, 6월6일(토) 현충일, 8월15일(토) 광복절, 10월3일(토) 개천절·9일(금) 한글날 등이 있다.

공휴일은 아니지만, 전통행사나 모임이 있는 날로는 단오 6월20일이 있다. 이외에도 5월5일 어린이날, 5월 8일 어버이날, 5월15일 스승의날, 11월 12일 수능시험일도 기억하고 친지에게 연락해볼 만 하다.

▲캐나다에서 의미있는 날들... 발렌타인데이 2월14일(토), 3월 8일(일)은 일광시간절약제, 일명 써머타임이 시작되는 날이다. 5월10일(일)은 어머니의 날(Mother's Day), 6월21일(일)은 아버지의 날(Father's Day)이다. 10월31일(토)에는 핼러윈(Halloween), 그 다음 날인 11월1일 써머타임이 끝난다.

또한 7월27일은 캐나다의'한국전 참전용사의 날(National Korean Veterans Day)'이다. 2013년에 연아 마틴(Martin)상원의원 발의로 지정됐다. 7월27일은 6·25정전협정이 체결된 날이다.

11월10일은'부산을 향하여(Turn toward Busan)'행사가 있다. 한국 시간 11월11일 오전11시에 맞춰 UN참전용사들이 안장된 부산UN기념공원을 향해 묵념하게 된다. 이 날은 캐나다 종군기자 빈스 커트니(80)씨가 제안해 행사가 한국 포함 각 국별로 치러지고 있다.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BC주 공휴일은 딱 열흘
◇ BC주 공휴일은 세볼 필요 없이 열흘1월 새해가 밝았다. 새 달력을 받으면 일단 눈길이 가는 곳은 법정 공휴일(Statutory holidays)이다. BC주의 공휴일은 새어볼 필요없이 한 해 열흘로 고정돼...
제95회 밴쿠버 폴라 베어 스윔 행사
지난 1일 오후 2시 30분 밴쿠버에서 ‘폴라 베어 스윔(Polar Bear Swim)’ 행사가 열렸다. 펭귄, 고릴라 등 다양한 복장의 참가자들이 잉글리시 베이(English Bay) 해변에 모여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지난 1년간 캐나다 이슈로 보도한 사건 중, 사건의 결말이 나왔거나 새로운 전개가 이뤄진 사건을 뽑아 정리했다.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내년 1월 1일 시행 익스프레스엔트리"캐나다 이민...
이번주 볼거리&놀거리32
어김 없이 한 해의 끝이다. 하루하루에 충실했다고 자부하는 사람들도 물론 있겠지만, 아무래도 연말에는 후회와 아쉬움이 더욱 익숙하고 인간적인 감정으로 느껴진다. “시간 참...
밴듀슨 버태니컬 가든 ‘페스티벌 오브 라이츠’
밤하늘 별들이 내려온 듯 수백 만개의 불을 밝히는 ‘페스티벌 오브 라이츠(Festival of Lights)’가 밴듀슨 버태니컬 가든에서 열리고 있다. 지난 10일부터 내년 1월 4일까지 매일 밤마다 정원을...
이번주 볼거리&놀거리 31
우리는 경험으로 안다. 밴쿠버의 연말은 크리스마스 전구의 불빛들로 더욱 화려해진다는 걸. 그래서인지 해마다 이맘때면 다운타운의 세인트폴 종합병원, 밴듀슨가든,...
커뮤니티 포커스
[커뮤니티 포커스] *메트로밴쿠버 거주자가 알아둘 주요 소식과 해설을 전달합니다. 작성: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PST 7.5%안 근소한 차이로 찬성"여론조사 결과...보수 유권자는 반대·...
다가오는 성탄절을 맞아 지난 7일 제11회 로저스 산타클로스 퍼레이드가 밴쿠버 다운타운에서 열렸다. 밴쿠버 조지아가(Georgia St.)와 브로튼가(Broughton St.)의 교차점에서 출발해 1.8km 구간을...
이번주 볼거리&놀거리 30
한해의 끝에 점점 다가설수록 “볼거리와 놀거리”를 구태여 따로 챙길 필요 혹은 여유가 사라지곤 한다. 연말에는 송년회다 뭐다 해서 이런저런 모임에 참석할 일이 잦아져서다. 오래된...
“연말, 우리들 최고의 놀이터”
밴쿠버에 살다 보면 한국의 지인들로부터 이따금씩 듣게 되는 비슷한 질문이 하나 있다. 밴쿠버의 관광지를 추천해 달라는, 듣는 사람 입장에선 살짝 부담스러울 수 있는 “요구”가 바로...
[커뮤니티 포커스]
*메트로밴쿠버 거주자가 알아둘 주요 소식과 해설을 전달합니다. 작성: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2015 FIFA여자월드컵, 밴쿠버에서 볼 수 있는 경기는?◇한국은 중부서 조별 리그... 밴쿠버와...
능력 중시형에서 취업 중시형으로, 절대평가에서 상대평가로
▶Part1. 캐나다 이민정책의 기조가 1월 1일 바뀐다Part2. 캐나다 이민을 희망한다면, 반드시 알아야할 EE◇ 자유당형 이민정책에서 보수당형 이민정책으로 전환 완료의 의미 오는 1월 1일...
취업이 절반 이상, 캐나다 국내 경력·영어구사력도 비중 높아
익스프레스엔트리 1월 1일 시행으로 확 달라지는 이민길 Part1. 캐나다 이민정책의 기조가 1월 1일 바뀐다.▶Part2. 캐나다 이민을 희망한다면, 반드시...
캐필라노 서스펜션 브리지 ‘캐니언 라이트’
온 동네가 크리스마스 분위기에 젖는 12월이다. 오후 4시 30분. 짧은 해가 지고 밤이 되면 시내 곳곳에 전구가 켜지며 크리스마스 분위기에 물들며 마음이 설렌다. 자연과 어우러진...
안봉자 시인의 <빨강머리 앤> 테마 여행기(10) - 마지막 편 -
캐나다 대서양 세 연해 주의 하나인 노바스코샤 (Nova Scotia = New Scotia)는 그 이름처럼 스코틀랜드인들이 정착한 섬이다. 온화한 기후와 세계 미항으로 꼽히는 주도 핼리팩스, 세계적으로...
이번주 볼거리&놀거리 29
요즘엔 집 근처 쇼핑가만 들러도 꽤 그럴싸한 즐길 거리와 만나게 된다. 통상 12월로 접어들면, 소비자들의 지갑을 보다 속시원히 열기 위한 “판매 전략”들이 앞다투어 선보이기...
다운타운스토리 10
한해의 끝이다. 어찌 보면 이맘때는 스스로를 격려하기에 딱 좋은 시간이다. 내세울 건 그닥 없지만 그래도 지난 1년간 잘 버텨왔다고, 한 집안의 엄마 혹은 아빠로서, 남편이나 아내로서도...
[커뮤니티 포커스]
*메트로밴쿠버 거주자가 알아둘 주요 소식과 해설을 전달합니다. 작성: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남은 음식은 쓰레기가 아닙니다"내년부터 그린빈에 분리해 버려야2015년 1월1일부터...
[캐나다 이슈]
50여년 전 태어난 피해자 도움 호소... 민사·정부배상 이뤄진 상태지만 재논의 의사들이 잘못된 의약의 무서움을 이야기할 때 예시로 등장하는 약, 탈리도마이드(Thalidomide)가 캐나다인의...
크리스마스와 연말을 앞두고 거리를 화려하게 수놓은 전구 장식들이 등장하면서 한껏 기분이 들뜨는 요즘이다. 연인과 가족들에게 사진을 찍기에 이만한 배경도 없다. 메트로 밴쿠버에서...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