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마지막 관문 넘기 힘든 캐나다 이민

박준형 기자 jun@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5-09-10 15:08

ITA 받고도 영주권 거절 사례 증가…원인은 LMIA, 고용주 정규직 고용제안 필수
30대 후반 남성 김모씨는 밴쿠버에 있는 캐나다 현지기업에서 그래픽 디자이너로 일하고 있다. 올해 초 이민을 위해 익스프레스엔트리(Express Entry·EE)에 등록한 그는 900점 이상의 고득점을 자신했다. 일종의 고용허가서인 LMIA(Labour Market Impact Assessment)가 있어 600점의 가산점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얼마 후 예상대로 김씨는 영주권 신청 자격을 주는 초청장인 ITA(Invitation To Apply)를 받았다. 그는 영주권 발급은 시간문제라고 생각했다. EE 소요 기간이 길어야 6개월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며칠 지나지 않아 그는 청천벽력 같은 소식을 접했다. 캐나다 이민부(CIC)로부터 영주권 거절 편지를 받은 것이다. 거절 이유는 서류 심사에서 LMIA가 인정되지 않아 600점의 가산점을 받을 수 없다는 것이었다. 김씨는 고용주의 정규직 고용제안을 포함하지 않은 채로 취업비자용 LMIA를 제출했다.


<▲밴쿠버 도서관에 내걸린 캐나다 국기. 박준형기자 jun@vanchosun.com>

최근 김씨의 경우처럼 EE를 통해 ITA를 받아도 영주권 심사에서 거절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어 그 이유에 관심이 모아진다.

10일 캐나다 이민부(CIC)와 이민컨설팅업체에 따르면 지난 7월 6일 기준 EE를 통해 ITA를 받은 인원은 총 1만2017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지원자 11만2701명의 11%만이 이민부의 초청을 받은 것이다.

ITA를 받은 1만2017명 중 영주권 심사에 착수한 인원은 7528명. 이 중 현재까지 영주권을 받은 인원은 655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영주권 승인률이 10%에 불과한 것이다. 최대 6개월의 EE 소요 기간을 고려해 지난 1~2월에 ITA를 받은 인원 3500여명으로 범위를 좁혀도 영주권 승인률은 현저히 떨어지는 수준이다.

이민컨설팅업체 굿모닝이주 남이송 대표는 "1월에 ITA를 받은 인원이 1500여명인데 이들의 영주권 심사 절차는 이미 끝났다"며 "현재까지 영주권을 받은 인원이 655명에 불과하다는 것은 1월에 ITA를 받은 인원의 절반 이상이 거절됐다고 볼 수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ITA를 받은 인원 대부분은 LMIA나 주정부 승인이 있어 600점의 가산점을 받은 경우다. 문제는 이들이 EE를 통과해 본격적인 영주권 심사에 착수할 경우 600점을 받지 못한다는 점이다. 이민컨설팅업체에 따르면 600점을 받지 못해 영주권 신청이 거절되는 주된 원인은 고용주의 정규직 고용제안(Permanent Job Offer)이 담긴 이민용 LMIA를 제출하지 못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캐나다 이민부는 전문인력이민(FSWP)과 경험이민(CEC)의 경우 고용주로부터 정규직 고용제안(Permanent Job Offer)을 요구하고 있다. 1년 이상의 고용제안만 있어도 되는 경우는 전문기술이민(FSTP)으로 한정하고 있다.

이민부의 이 같은 규정을 등한시해 취업비자용 LMIA로 영주권을 신청했다가 ITA를 받아도 최종 심사에서 거절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일부 고용주들이 부담을 느끼고 정규직 고용제안을 제공하지 않자 취업비자용 LMIA로 영주권을 신청하는 경우도 상당한 것으로 전해졌다.

남이송 대표는 "문제는 LMIA다. 대부분 사람들이 취업비자를 받을 당시 고용주로부터 받은 LMIA로 600점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이는 오산"이라며 "취업비자용 LMIA는 취업비자가 만료되면 끝나는 것"이라고 말했다. 남 대표는 "취업비자용 LMIA를 제출하니까 이민관이 심사에서 영주권을 줄 수 없는 것"이라며 "결국 고용주의 정규직 고용제안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그는 ITA를 받은 후 일을 그만두는 일부 얌체족들에 대해서도 경고했다. 그는 "최종적으로 영주권을 받기 전에 하고 있는 일을 관둘 경우 연방정부나 주정부에서 알게 되면 바로 영주권 심사가 중단된다"며 "영주권을 받을 때까지는 필수적으로 일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준형기자 jun@vanchosun.com


<▲7월 6일 기준 ITA 발급 현황>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ITA 받고도 영주권 거절 사례 증가…원인은 LMIA, 고용주 정규직 고용제안 필수
30대 후반 남성 김모씨는 밴쿠버에 있는 캐나다 현지기업에서 그래픽 디자이너로 일하고 있다. 올해 초 이민을 위해 익스프레스엔트리(Express Entry·EE)에 등록한 그는 900점 이상의 고득점을...
기술이민에 이어 EEBC도 접수 중단...내년 점수제 도입 예고, 이민 험로 예상
올해 BC주정부 추천이민(PNP)이 사실상 문을 닫았다. BC PNP의 기술이민(Skills Immigration)에 이어 익스프레스엔트리 BC(EEBC)도 신청서 접수를 중단했다. EEBC는 BC PNP가 제공하는 세가지 방법 중...
AINP 접수 내년 1월 27일까지 중단..."영어점수 강화할 것"
BC주에 이어 앨버타주의 주정부 이민도 막혔다. 앨버타주정부는 지난달 27일부터 2016년 1월 27일까지 앨버타주정부이민(AINP) 접수를 일시 중단한다고 3일 밝혔다. 지난달 27일 이후 접수된 AINP 신청서는 일제히 반환된다.앨버타주정부가 올해 AINP 접수를 중단한 것은...
非영어권 국가 선발 대폭 감소...ITA 받은 한국인 327명 불과
새로운 이민 수속 방식인 익스프레스엔트리(Express Entry·EE)가 도입된 지 6개월이 지났다. 영주권 신청 자격을 주는 초청장인 일명 ITA(Invitation To Apply)를 받은 한국인은 327명에 불과한 것으로...
"한인 영주권 확보에 영어 최대 걸림돌 될 것"...EE 실효성 의문 제기도
익스프레스엔트리(Express Entry·EE)가 도입된 후 한국인들의 캐나다 이민이 전보다 어려워진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에서 발목이 잡힌 경우가 많았다는 분석이다.캐나다 이민부(CIC)가 발표한...
영어·취업 2배로 어려워진 영주권..."EEBC가 LMIA보다는 상대적으로 수월"
<▲캐나다 여권. 사진 제공=Flickr/Tony Webster(cc)>밴쿠버에 사는 40대 한인 A씨는 지난 4월 BC주정부가 추천이민(PNP) 영주권 신청서 접수를 일시 중단하자 당황한 마음에 이민컨설팅업체를...
300점 오른 755점..."주정부승인이나 LMIA 없으면 어려워"
새로운 이민 수속 방식인 익스프레스엔트리(Express Entry·EE) 합격선이 갑작스럽게 상승했다. 26일 캐나다 이민부가 지난 22일 발표한 9차 EE 선발 결과에 따르면 영주권 신청 자격을 주는...
"영어능력 및 고용주 자격조건 강화 예상"
BC주정부가 PNP를 손보겠다고 발표하면서 새롭게 도입될 PNP와 관련한 여러가지 전망이 나오고 있다.일단 BC주정부의 PNP 수정 움직임은 EE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EE를 피해 PNP로 눈길을 돌리는 사람들이 BC주에 몰리는 경향을 자제하기 위한 것이란 시각이 우세하다....
3개월간 영주권 신청서 접수 일시 중단
<▲밴쿠버 노스쇼어에 있는 환영 조형물. 세계 각국 언어로 환영인사가 적혀있다. 사진 제공=Flickr/D70(cc)>BC주정부가 주정부이민(PNP) 제도의 변화를 예고했다. 특히 새로운 PNP 제도 도입...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