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캐나다부동산協 “BC주 평균 집값 7.8% 내린다"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6-12-30 09:54

2017년 캐나다 부동산 핵심은 ‘정상으로 복귀'
2017년 캐나다 부동산 업계의 관심사는 정상으로 복귀가 될 전망이다. 표현하기에 따라서 BC주 거래량·가격 하락세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전망이 관심사다.

캐나다부동산협회(CREA)는 15일자 2017년 시장 전망 보고서에서 BC주 평균 집값은 7.8% 내린 63만4900달러, 거래량은 2016년보다 12.2% 준 9만9000건이 된다고 예상했다. 이런 예상은 2012년 캐나다 정부가 모기지 대출 규정을 그해 7월 강화하면서 거의 1년간, 2013년 여름까지 머문 거래량 감소 및 가격 하락 추세를 바탕으로 했다. 2012년 부동산 시장 침체의 본격 장세 반전은 2014년에 발생했다.

이번 하락세는 2016년 후반부터 나타나기 시작했다. CREA는 하락세를 “정상 수준 복귀(return to nomal level)”라고 표현했다.

15일자 보고서를 보면 CREA는 “이미 9월 BC주 주택 매매가 안정을 찾으면서 정상 수준으로 복귀하는 신호를 보인 가운데, 온타리오주 매매량은 광역토론토(GTA)와 주변부(광역골든홀슈 지역)내 전례 없는 공급 부족에도 연일 신기록을 세웠다”고 적었다.

그러나 온타리오주 역시 2017년 ‘정상 복귀’ 대상이다. 올해 온타리오주는 캐나다 국내에서 가장 많이 집값이 올랐다. CREA 2016년 마감 예상을 보면 온타리오주 평균 집값은 15.1%오른 53만5700달러다. 2017년에는 온타리오주 평균 집값은 54만1300달러로 올해보다 1% 오르는 데 그칠 전망이다.  온타리오주 주택 거래량 2017년 예상수치는 23만7300건으로, 올해보다 2.7% 준다.

뜨거웠던 2016년 열기를 더했던 두 주요 시장이 2017년에 식으면서 캐나다 집값은 수치상 롤러코스터를 탄다. 2016년 마감 전망치를 보면 캐나다 평균 집값은 2015년보다 10.5% 오른 48만9500달러다. 2017년 전국 집값 전망치는 올해보다 2.8% 내린 47만5900달러다.

밴쿠버·토론토를 중심으로 BC주와 온타리오주는 온탕과 냉탕을 오가지만, 다른 주 수치는 큰 변화가 없다. 2016년에 앨버타(0.1%)·새스케처완(-0.6%)·노바스코샤주(0.2%) 집값은 큰 변화가 없다.  매니토바주(2.4%)·퀘벡주(2.5%)·뉴브런스윅주(1.9%) 평균가격은 다소 낮은 오름세를 보였다. BC주·온타리오주를 제외한 각 주의 2017년 장세는 올해와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 앨버타주(-0.8%· 39만600달러)와 새스케처완주(-1.2%·29만2000달러)는 가격 내림세를 유지할 전망이다.

◆ 변화 원인은 모기지 규정 변화… CREA는 내년 ‘정상 복귀’ 장세가 “예상보다 조여진 모기지 대출 규정”을 바탕으로 한다고 지목했다. 협회는 “단기적으로 모기지를 받을 수 있는 생애 첫 주택 구매자 숫자가 이미 줄었다”며 “특히 주택 가격대가 높아 저가 매물 부족 지역에서는 모기지 규정 변화 영향이 더 컸다”고 밝혔다.

CREA가 특정 지역을 지목하지 않았으나 캐나다에서 집값이 가장 비싼 메트로밴쿠버 일대는 모기지 규정 변화에 큰 영향을 받고 있다. BC부동산협회(BCREA)는 12월 모기지전망 보고서에서 "10월 모기지 대출 스트레스 테스트가 강화돼 주택 구매력이 약화됐다”며 “특히 20·30대 밀레니엄 세대가 내 집 마련에서 멀어졌다”고 봤다.  캐나다 연방정부의 10월 모기지 대출 스트레스 테스트 강화로 연소득 8만달러 가정이 5% 다운페이먼트 후 보유한 구매력은 10만달러가 준 40만5000달러로 집계됐다. 캐나다 통계청이 2014년 기준으로 집계한 메트로 밴쿠버 가계 중간소득은 7만6000달러·애보츠포드-미션은 7만500달러다.

부동산 중개 전산망인 멀티플리스팅서비스(MLS) 11월 벤치마크 가격 기준으로 메트로밴쿠버 단독주택은 151만1100달러·아파트는 51만2100달러·타운홈은 66만7100달러다.  종합하면 메트로밴쿠버 평균 소득으로는 10월 이후 지역 내 평균적인 주택 구매를 위한 대출 받기가 쉽지 않은 상태다. 충분한 다운페이먼트를 마련하지 못했다면 주택 구매와 거리가 있다.

◆ 내년에도 규정 변경 영향 계속… CREA는 “모기지 대출 기준 강화는 2017년에 모기지 금리가 소폭 인상 끌어낼 전망”이라며 “이러한 규정에 따른 역풍은 앞서 협회 전망에 포함되지 않아, 이번 전망에서는 2017년도 거래량과 평균가격을 낮춰 예상하게 됐다”고 밝혔다.

집값이 하락하면 손해를 감수하면서 팔 사람은 많지 않다. 이 결과 2017년 캐나다 부동산 거래량은 올해보다 3.3% 준 51만8900건이 될 전망이다. 특히 BC주 거래량은 올해보다 12.2% 감소해 9만9000건에 그칠 전망이다. 거래량 면에서도 BC주 감소가 두드러진다.

반면에 앨버타주는 가격은 내리지만, 거래는 2017년에 3.5% 늘어 5만3700건이 매매될 전망이다. 새스케처완주 거래량은 감소폭이 다소 준 -1.2%로 2017년 중 1만1540건 거래가 예상됐다.

◆ 단독주택 매매 2012년 수준 부진 전망… BC주 주택 거래량 감소는 로워매인랜드 일대, 특히 단독주택에 집중된다고 CREA는 내다봤다. 밴쿠버 주택 가격 하락에 대해 협회는 “2012년 흐름과 유사한 수준을 예상한다”고 밝혔다.

2012년 메트로밴쿠버 주택 거래량은 9월을 제외하고 매월 감소세를 보여 2011년 보다 거래량이 11% 가까이 줄었다. 당시 거래량이 준 원인은 현재와 마찬가지로 7월에 정부가 단행한 모기지 대출 조건 강화였다. 특히 가격이 높은 단독주택 거래가 부진했다.  BC주 주택 가격은 2012년에 8% 가까이 하락했다.

단 급격한 하락세가 아닌 매월 조금씩 내리는 연착륙 상황이었다. 눌렸던 2012년 수요는 2013년 여름철부터 시장에서 다시 나타나기 시작해 2014년 거래량은 메트로밴쿠버에 한정해 상승세를 보였다. 반면에 저유가 기조로 에너지 자원주(州) 침체는 현재까지 이어지는 장기화 국면에 들어섰다.
권민수 기자/ms@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가격 가속도 붙은 가운데 고평가 여전
캐나다주택모기지공사(CMHC)는 26일 캐나다 주택시장에 문제 요소가 2분기 연속 증가했다고 올해 1월 기준 분기별 주택시장 진단 보고서에서 지적했다. CMHC 분기별 주택시장 진단 보고서는 네 가지 문제 요소를 관찰해 3단계로 평가한다. 문제 요소 중 하나인...
밀레니얼 대상 설문조사 결과 68% 희망
BC주 밀레니얼 세대(18~34세)를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금전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메트로밴쿠버에 살고 싶다"는 의견이 3명 중 2명(68%)으로 높게 나타났다.같은 질문에서 밴쿠버를 제외하면 빅토리아 및 밴쿠버아일랜드 남부와 걸프군도(18%)가 차선책이었다. 또...
부동산 중개회사 미국발 이용늘어… BC주 높은 관심
부동산 중개회사 로열르페이지는 20일 “미국 대선 후, 캐나다 부동산에 미국인 관심이 높아졌다”고 밝혔다. 해당사는 미국에서 자사 홈페이지에 접속률이 증가한 점을 근거로 이같이 주장했다. 로열르페이지는 “미 대선 결과가 나온 다음 날 이용자수는 329%...
침실 1개형 1870달러·2개형 3150달러
캐나다 10대 도시 주택 월 임대료를 비교한 결과 밴쿠버가 1위, 빅토리아가 3위에 올랐다. 패드매퍼 리서치는 지난달 시장에 나온 침실 1개형 아파트 월세를 기준으로 중간값을 산정해 순위를 매겼다. 밴쿠버 월세는 1870달러로, 2위 토론토 1550달러와 상당한 차이를...
소폭 오르지만 일부 구매력에 영향
캐나다주택모기지공사(CMHC)는 17일 모기지보험료를 오는 3월 17일부터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인상 액수 자체가 크지는 않다. 현재 가입자 기준 월평균 5달러 정도 부담이 늘어난다. 캐나다 국내에서 주택을 살 때, 다운페이먼트가 구매가격 20% 이하면 모기지보험에...
▲ BC주 다운페이먼트 대출 지원 사업 시작… 생애 첫 주택 구매자 다운페이먼트 대출 지원 사업이 16일부터 시행됐다. BC홈파트너십(BC HOME Partnership)으로 불리는 이 제도는 시가...
2017년 캐나다 부동산 핵심은 ‘정상으로 복귀'
2017년 캐나다 부동산 업계의 관심사는 정상으로 복귀가 될 전망이다. 표현하기에 따라서 BC주 거래량·가격 하락세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전망이 관심사다. 캐나다부동산협회(CREA)는 15일자 2017년 시장 전망 보고서에서 BC주 평균 집값은 7.8% 내린 63만4900달러,...
“미국 주택 거래 10개월 중 최저치”
미국의 주택담보대출(모기지) 금리가 2014년 초반 이후 최고 수준까지 올랐다. 최근 들어 이자율 상향 조정이 거듭된 결과다.미국 국영 모기지 업체인 프레디맥(Freddie Mac)은 29일자 보고서를 통해 30년 만기 모기지 고정 금리를 지난주의 4.30%에서 4.32%로 소폭 인상될...
“BC주 신축 움직임 활발, 지출액 전년 대비 31.4% 증가”
BC주내 새 아파트와 단독주택 공급이 원활한 것으로 예측된다. 캐나다 통계청의 20일자 보고서에 따르면 10월 BC주내 새집 건설 지출액은 11억492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1.4% 증가했다. 최근 몇 개월 간 주택 거래가 비교적 둔화된 모습을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주택...
트럼프효과로 채권 시장 이자율 상승
캐나다 정부 조처로 집구매 보류 현상BC부동산협회(BCREA)는 12월 모기지 금리 전망 보고서에서 “트럼프 효과(Trump effect)”로 내년 모기지 금리 인상을 예상했다.주택 구매자가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5년텀 모기지 금리는 올 3분기 3.68%에서 올해 4분기 3.7%로 소폭 오를...
모기지 인상 전에 이미 구매력 약화된 밴쿠버 중산층
BC부동산협회(BCREA)에 따르면 올해 10월 모기지 대출 스트레스 테스트를 강화돼 주택 구매력이 약화한 상태다.  앞서 협회가 예로 든 내용을 보면 가계 연소득 8만달러가정이 5% 다운페이먼트를 할 수 있을 때 가질 수 있는 구매력은 40만5000달러로 10월 전보다...
최대 3만7500달러까지 대출· 5년간 상환유예
BC주정부가 생애 첫 주택 구매자가 다운페이먼트를 더할 수 있게 최대 3만7500달러 또는 구매가 5%까지 대출 지원한다고 15일 발표했다. 크리스티 클락(Clark) BC주수상은 2017년 1월부터 3년간...
주택 월별 비교 보면 가격 하락세 이어져… 거래도 감소
밴쿠버부동산협회(REBGV)는 2일 “11월 주택 매매량과 매물이 지난 10년간 11월 평균보다 약간 낮았다”고 11월 부동산 시장 동향 보고서를 발표했다.매트로밴쿠버 11월 주택 매매량은 총 2214건으로 올해 10월 2233건보다 0.9%, 2015년 11월 3524건보다 37.2% 감소했다. 지난달...
단독주택 가격 10월보다 내려…아파트·타운홈 매매 활발
프레이저밸리부동산협회(FVREB)는 2일 "주택 매매량과 매물이 월별 비교에서 줄면서 11월 평균 수준으로 장세가 전환했다”고 11월 동향을 설명했다.부동산 중개 전산망인 멀티플리스팅서비스(MLS)로 프레이저밸리에서 거래된 주택은 11월에 1247건이다. 2015년 11월보다...
CMHC 지난해 3.5% -> 올해 2.2%
그간 메트로밴쿠버의 집값 상승 원인으로 지목된 외국인 투자자가 일부 떠났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캐나다주택모기지공사(CMHC)가 30일 공개한 외국인 아파트 소유 관련 보고서를 보면, 올해(2016년) 밴쿠버 시내 아파트 외국인 소유율은 2.2%로 2015년 3.5%나 2014년 2....
임대주택 공실률 전년대비 하락
월세 주택 찾기가 올해 더 힘들어졌다. 캐나다주택모기지공사(CMHC)는 28일 메트로밴쿠버 주택공실률은 하락하고 집세는 올랐다는 통계를 발표했다. 메트로밴쿠버 공실률은 올해 10월 기준 0.7%로 지난해 같은 달 0.8%에서 더 내려갔다. 로빈 어다매시(Adamache) CMHC 수석...
새집 늘겠지만 수요는 글쎄... 균형 장세 불가피
올해 BC주 연간 주택 거래량이 사상 최대치를 새로 쓰게 될 전망이다. BC부동산협회(BCREA)는 29일자 보도자료를 통해 “멀티플리스팅서비스(MLS) 기준 2016년 한 해 동안 총 11만3800채의 주택이 판매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주택 거래가 가장 활발했던 지난 2005년...
“신규 주택 투자액 전년 대비 35.3% 증가”
BC 지역 주택 신축 투자액이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새집 공급량이 크게 늘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캐나다 통계청에 따르면 9월 BC주 새집 건설 투자액은 11억317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5.3% 증가했다. 아파트와 단독 주택 건설에 대한 투자가 이 같은 증가세의...
토론토 일대 여전히 시장 뜨거워… 밴쿠버는 장세 변화
CREA 10월 보고서 하일라이트- 캐나다 전국 10월 주택매매 9월보다 2.4% 늘어- 계절조정 미적용시 거래량 전년 대비 2% 증가-9월에서 10월로 넘어오며 새 매물 1.7% 증가-주택가격지수는 올해 10월 지난해보다 14.6% 상승-전국 평균 매매가격은 1년 사이 5.9% 올라캐나다 전국...
“갑작스런 금리 인상에 주택 가격 흔들릴 수도…”
캐나다내 주요 시중 은행들의 주택담보대출(모기지) 이자율 인상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갑작스런 금리 상향 조정이 집값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캐나다주택모기지공사(CMHC)를 통해서다. CMHC는 “상황에 따라 집값이 최대...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