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최종수정 : 2017-03-11 08:35

한국문협밴쿠버지부 회원기고/수필

  밴쿠버에 이민을 와 16년을 넘게 사는 동안 금년 겨울처럼 많은 눈을 보긴 처음인 것 같다. 그것도 공교롭게 주말을 끼고 폭설이 내린 날이 많아, 매 주일마다 작은 교회에서는 심지어 예배인원을 걱정해야 한다는 말까지 들릴 정도로 이상 폭설이 지속되었다. 시절은 어느새 3월로 접어들어 우수, 경칩을 지나 바야흐로 새순과 어린 싹이 고울 시절에 그야말로 ‘춘래 불사춘’인 셈이다
 
 
  이번 겨울이 일기(日氣)만 그러했던가? 바다건너 고국에서 들려오는 소식들은 더욱 스산한 마음을 무겁게 누르고 있다. 대통령이 탄핵되고 특검이 마무리되었지만, 대통령의 조사는 불발이 되고... 이제 마지막 헌재의 결정이 남아있다지만, 그마저 어느 방향으로 전개될지는 예측하기 힘든 상황인 것을 보면서 많은 주위사람들이 벌써부터 한국 뉴스를 안보고 지낸다는 말들을 들으면서, 그래 차라리 ‘아는 게 병이요’, ‘모르는 게 약’일수 있겠다는 생각도 하게 된다. 그러나 비단 탄핵이나 정치의 문제만이 아니더라도 우리 사는 모습이 그 모습과 많이 닮아 있음을 느끼게 된다.
 
  결혼을 결심했던 이유가 이혼을 결심하는 바로 그 이유가 된다는 이야기가 떠오른다. 한없이 과묵하고 말없이 배려해주는 게 좋아 결혼한 커플이, 답답하고 숨이 막혀 도저히 살 수 없어 헤어지는 경우나, 재미있게 들려주는 달콤했던 이야기가 견딜 수 없는 잔소리로 다가와 갈라선다는 경우가 충분히 있을 수도 있다는 뜻일 것이다. 이를 요즈음 유행하는 줄임말로 쉽게 표현해 보면 볼수록 매력이 있어 결혼했던 ‘볼매’가 살다보니 볼수록 매를 부르는 경우도 있겠고, 거룩한 사람으로 알고 만났던 ‘성자’가 살다보니 성질 더러운 자식이었다는 하소연도 있을 수 있는 것이 우리 인간사는 모습이라 할 것이다.
 
  비록 지금은 봄이 봄 같지 않지만 그러나 곧 봄은 다시 오리라... 진정한 봄이 오는 순간까지 누구를 탓하고 원망하고 정죄하는 일은 하지 않으리라. 이 봄, 어린 시절 문방구에서 샀던 자석 ‘나침반’처럼, 미세하게 떨면서, 있는 그 자리에서 진정한 삶의 방향을 찾으려 온몸으로 살아보리라 다짐해본다. 그 떨림이 누군가에게는 기도가 되고, 누군가에게는 글이 되고, 누군가에게는 선율과 채색이 되고, 또 누군가에게는 생업의 현장이 되겠지만, 그 떨림이 있기에 살아있음의 이유가 되기 때문이다. 끝으로 고 신영복 선생님의 담론 가운데 “떨리는
나침반“을 소개한다.
 

떨리는 나침반    (신영복)
 
 
북극을 가리키는 나침반은 무엇이 두려운지
항상 바늘 끝을 떨고 있다.
 
여윈 바늘 끝이 떨고 있는 한
바늘이 가리키는 방향을 믿어도 좋다.
만일 바늘 끝이 전율을 멈추고
어느 한쪽에 고정될 때
우리는 그것을 버려야 한다.
이미 나침반이 아니기 때문이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행복했던 순간들 2017.07.29 (토)
출석하고 있는 교회 소그룹 모임중에, 살아오면서 가장 행복했던 순간이 언제였는지를 각자소개하는 시간이 있었다. 저마다 한참을 고민 고민하며 생각하다가 자기 순서를 기다려 발표를 하는데, 대부분은 연애시절,  결혼하던 날, 자녀 출산하던 날, 회사에서 승진하던 날 등의 의견들이 주류를 이루었다. 물론 주님을 영접하던 날이라고 대답하신 분이  가장 많은 박수를  받으셨지만...  나는 살아오면서 언제 가장 행복하였을까?...
민완기
新春斷想 2017.03.11 (토)
  밴쿠버에 이민을 와 16년을 넘게 사는 동안 금년 겨울처럼 많은 눈을 보긴 처음인 것 같다. 그것도 공교롭게 주말을 끼고 폭설이 내린 날이 많아, 매 주일마다 작은 교회에서는 심지어 예배인원을 걱정해야 한다는 말까지 들릴 정도로 이상 폭설이 지속되었다. 시절은 어느새 3월로 접어들어 우수, 경칩을 지나 바야흐로 새순과 어린 싹이 고울 시절에 그야말로 ‘춘래 불사춘’인 셈이다    이번 겨울이 일기(日氣)만 그러했던가?...
민완기
인간은 누구나 자연의 상태를 동경한다. ‘자연스럽다’라는 표현은 어느 한 분야의 가장 정점(頂點)에 있는 ‘기’(技)와 ‘예’(藝)에 주어지는 최상의 찬사라고 받아들여도 큰 무리는 없을 듯싶다. 그만큼 우리는 인위적이고 잔뜩 힘이 들어가 있는 어색함보다는, 있는 그대로의 물 흐르는 듯한 편안함을 더 선호하는 성향을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다는 말이 된다. 그러나 실제를 들여다보면 너무나 많은 차이점을 발견하게 된다.   우선은...
민완기
묘지석 앞에서... 2015.11.13 (금)
한동안 쉬다가 새롭게 시작한 사업체에 출근하기 위해서는 랭리 브룩스우드 공원묘지를 지나치게 된다. 인근에 레크레이션센타와 주택가 한복판에 그야말로 정원과도 같이 조성된 묘지 앞을 지나치노라면 그야말로 누가 시키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평소엔 그렇게도 갖추기 어려운 겸손이 저절로 생겨난다. 13,4년여쯤 전, 아직 혈기가 왕성하고 필부필부(匹夫匹婦)의 삶보다는 이민을 선택한 개척자로서 가슴속에 야망이 불타오르던 시절, 이 세상에...
민완기
우리말의 빛 2014.11.28 (금)
지난 주 금요일 오후, 아보츠포드 소재 한글학교 수업을 위해 No.1 하이웨이를 달리고 있는데 하늘이 어두워지기 시작하더니 그만 폭우가 쏟아져 내렸다. 윈도우 와이퍼의 작동속도를 최대로 하고도 차량의 속도와 빗줄기의 속도가 합쳐져 시야를 확보하기가 쉽지가 않았다. 조심조심 EXIT 73을 지나 고갯길을 막 내려갈 쯤, 거짓말처럼 비가 그치면서 구름사이 사이 햇살이 비추며, 건너편 눈 덮인 산자락 위로 무지개가 찬연히 떠오르는 것이 아닌가!...
민완기
카톡 有感 2014.07.26 (토)
스마트폰의 세계로 입문을 한 후, 이 세상은 정확하게 두 개의 진영으로 나뉘어졌다. 카톡질을 하는 쪽과 안하는 쪽으로... 좀 더 정확히 이야기 하자면 카톡을 하는 쪽도 나와 친구가 된 부류와 친구대기 중인 부류로 나눌 수 있으니, 엄밀하게는 세 개의 진영이 되는 셈이다. 카톡이 내 교우, 인간 관계를 여실히 나타내는 리트머스 시험지가 된 상황속에서 오늘도 나는 열심히 카톡질을 하고 있다.  초등학교 동창과 안부를 주고받으며 1:1로 시작했던...
민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