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한국 문협 밴쿠버 지부 신인 시상식에 다녀와서

늘산 박병준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7-04-07 16:58

지난 28일 한문협 밴지부 신인 시상식에 다녀왔다.
본인이 아름다운 캐나다 발행 때 아내와 더불어 글 쓰는 이로 캐나다 전국을 같이 누빈 김해영 회장과의 인연도 있지만 밴문협은 초기에 본인이 회원이기도 하였기 때문이다.
 
신인으로 등단한 두 분의 시인과 두 분의 수필가가 상패를 받았다. 네 수상자의 작품과 최근에 등단했던 새내기 네 등단자의 글 발표도 있었다.
이번 행사에서 특별히 돋보이는 부분이 하나 있었는데 김회장의 심사평이다. 하나의 문학 작품을 보는 듯했다. 아주 좋았다.
 
모든 회원은 당연히 등단한 문인들이다. 그런데 글 쓰는 일이 어디 그리 쉬운 일이던가. 글에는 글쓴이가 스스로 고민한 흔적이 배어 있어야 하는데 초등학교 학생 작문 쓰듯이 일차적인 이야기로 일관하였다면 어찌 독자들이 그 글에 이끌리며 감동을 얻을 수 있겠는가. 일반적인 이야기로 글을 이끌어가야 한다면 어쩔 수 없이 화장을 많이 하게 되는데 그게 어디 아름답다 하겠는가. 화장을 너무 진하게 하면 글이 탁해진다. 화장은 한 듯 만 듯 절제를 해야 예쁘다.
 
본인의 솔직한 고백을 하나 한다. 등단하기 전에는 글을 아무렇게나 써서 신문사에 보냈다. 그런데 우연찮게 등단을 하고 나니 글쓰기가 어려워지더라는 것이다. 등단된 사람이 이걸 글이라고 발표하나 낄낄거리는 독자들의 소리가 들리는 것 같았기 때문이다.
 
본인은 시는 잘 모르지만 시나 수필이 같은 창작품이라는 범주에서는 벗어나지 못할 것으로 본다.
수필이란 무엇인가. 내 삶에서 우러난 진실 된 나 자신 내면의 소리다. 또 철학이 배어진 진솔한 자기 고백이 아닐까 한다.
좋은 수필을 쓰기 위해서는 ‘남이 보지 못하는 것을 보는 눈과 남이 듣지 못하는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귀를 가져야 된다. 그래서 한편의 시나 수필을 쓰기 위해서는 나만의 소리를 찾아내는 노력과 고민이 동반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한 예를 들어 보자.
오래전 한국 대산련 오지 탐사대의 안내를 맡아 3막 4일, 밴쿠버 아일랜드 서편에 있는 눗카(Nootka) 트레일을 탐방한 바 있다. 그 산행기가 서울의 조선일보 ‘山지’에 발표되기도 하였는데 그 마지막은 이렇다.
 
‘메아리를 모르는 바다, 불러도 대답할 수 없으니 그는 영원히 고독할지 모른다’
 
이 산행 수필을 미주문학에 보냈더니 당시 모스코바 대학 한국학 교수로 재직하던 수필가이자 평론가인 김효자님이 평하기를;
‘물론 이글은 기행성 수필이기 때문에 여행지 곳곳의 정경(情景)과 묘사(描寫)가 문맥의 주류(主流)를 이룰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이 글의 화자(話者)는 글의 시작 부분과 끝 부분의 문맥을 변용(變容) 함으로써 기타 문맥 전체를 창작 패턴으로 이화(異化) 시키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 글 곧 박병준님의 수필 ‘메아리를 모르는 바다’는 이 글 맨 앞에서 예시한 박영보님의 ‘보고 싶은 아이’와 더불어 창작 수필의 예시적인 패턴으로 주목을 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여기서 말하고 싶은 부분은 ‘메아리를 모르는 바다’다.
이 말이 어디 어려운 말이던가. 아주 쉬운 말이지만 찾아내기가 어려운 것이다. 마지막 한 줄을 찾아 며칠을 고민했다. 그때 슬라이드로 찍었던 사진을 확대해 들여다보고 눈을 감고 바다를 바라보던 감정을 불러오고 끙끙 대다가 찾아낸 대목이다. 읽을 때마다 기분이 좋아진다. 내가 어찌하여 이 대목을 찾았지? 볼 때마다 행복해 진다. 이게 글 쓰는 이의 보람이요 기쁨이다.
 
본인이 등단하기 전에 발표한 수필이 하나 있다. 이렇게 시작한다.
 
'본토 인디언들의 말에 의하면 창공에 날던 새가 깃털 하나를 떨어뜨리면 제일 먼저 독수리가 보게 되고 사뿐히 땅에 떨어지는 소리를 사슴이 들으며 곰은 그 냄새를 맡는다는 것이다'
 
어떤 지인이 수필집을 내었는데 이 대목을 토씨하나 틀리지 않게 자기 글로 만들어 놓았다. 전화를 하여 “어찌 남의 글을 도둑질 했느냐”고 하였더니 죽을 맛이다.
그 작가가 이 부분을 읽을 때마다 행복할까? 아니다 기분이 좋을 리 없다. 부끄럽지 않다면 그는 이미 문인의 자격이 없는 사람이다.
글을 발표해 놓고 행복하지 않다면 글 쓴 보람을 어디에서 찾을 것인가.
 
밴쿠버 유명한 여류시인의 시에 ‘사랑이란 말속에 들어가 눕고 싶다’라는 구절이 있다.
이 역시 어려운 단어의 모임인가 말이다. 쉬운 말이지만 이 한구절로 그 전체의 시가 살아난다. 읽는 사람도 기쁘고 본인도 읽을 때마다 행복해 하고 있을 것이 분명하다.
 
남이 보지 못한 것을 보고 찾아낸 표현들이 두 세 곳 글속에 자리한다면 그 수필은 생명력을 지닌다. 독자들의 박수 치는 소리가 들리는 것이다. 보지 않아도 보인다.
 
쉬운 일은 아니다. 나는 글을 쓸 때마다 고민한다. 잠을 설치기도 한다.
 
새로 등단한 분들은 자기 글에 한없이 행복해지는 글쟁이가 되기를 바란다.
글에서 고민한 흔적을 보고 싶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94년도 아보츠포드에서 개교한 프레이저밸리 한국어학교가 올해로 개교 30주년을 맞는다. 2001년 봄에 캐나다 이민을 와서 그 해 9월부터 교사로 지원하여 근무를 했으니 나의 23년 이민 역사와 그 궤를 같이 하는 셈이다. 돌아보면 그야말로 잠시 한번 눈을 떴다가 감았을 뿐인데 어느새 개교 30주년을 맞게 되는 의미를 되짚어 보면서, 그 발자취와 그리고 잊을 수 없는 순간들을 白書 형식으로 기록해 둠으로써, 헌신해 오신 분들에 대한 감사와...
민완기
2022 한국 방문기 2022.09.26 (월)
코로나 때문에 한국에 가보지 못한지가 어언 7년이 넘었다. 그런데 한국에서 회의가 있다기에 비행기 티켓을 사 놓고 갈 날을 손꼽아 기다리고 있었다. 그런데 갑자기 한국에서 코로나 환자가 급증하는 바람에 회의가 취소되었다. 난감했다. ‘어떡하지?’ 시간이 방학 때라 나와 딱 맞아서 좋았는데…. 지금 취소를 하면 언제 다시 갈지 요원했다. 그래서 원래 계획대로 가기로 했다.비행기 표는 출발 2일 전까지만 결정하면 1년 안에 날짜를 바꿀 수...
아청 박혜정
2020년 중국 우한에서 발생한 코로나 바이러스는 지구촌 사람들의 일상을 송두리째 바꾸어 버렸다. 사람이 사람을 경계하고, 혈연인 가족까지 만남을 꺼려하는 지경이고 경제활동의 심한 위축으로 평범한 사람들의 온전한 마음들이 저하되고 삭막해졌다. 수천 수만 명이 나라 안팎에서 전염병 때문에 죽어 나가지만 삶은 여전히 이어진다. 제9회 '한카문학상'에 응모한 분들은 어려운 나날들이 계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황량해져 가는 인간의...
이원배(심사위원장)
             요즘 대세 프로그램인 ‘미스터 트롯을 보면 ’신인들의 열기가 대단하다. 출연자 대부분이 청년층이고, 심지어는 소년들도 있다. 트롯음악이 한 물 간 어른들의 노래인양 잊혀지는가 했더니 TV에서 새로운 모습으로 부활한다. 참 고무적이다. 마찬가지로 원고지대신 컴퓨터로 쓰는 문학도 사라지지 않는다. 그 시대의 사건과 사상과 사람을 표현하는 문학은 소위 ‘밥도 떡도 생기지 않는’ 힘든 예술이지만...
이원배
밴쿠버에 이민 또는 유학 오는 사람들이 흔히 듣는 이야기가 있다. 한국사람 조심하라는 것. 특히 모르는 사람인데도 친절하게 다가와 타국에서의 모든 어려움을 해결해 주겠다는 자는 십중팔구 사기꾼이며, 이익이 있으면 ‘입의 혀’같이 굴며, 없으면 뒷마당의 ‘개밥그릇’ 팽개치듯 하는 자가 모두 한국인이란다. 그 중에서도 오래 밴쿠버에 산 사람들 중 일부는 텃세를 부리거나 매사 좋은 이야기보다 나쁜 이야기로 기를 죽이기 때문에 처음...
이원배
지난 28일 한문협 밴지부 신인 시상식에 다녀왔다.본인이 아름다운 캐나다 발행 때 아내와 더불어 글 쓰는 이로 캐나다 전국을 같이 누빈 김해영 회장과의 인연도 있지만 밴문협은 초기에 본인이 회원이기도 하였기 때문이다. 신인으로 등단한 두 분의 시인과 두 분의 수필가가 상패를 받았다. 네 수상자의 작품과 최근에 등단했던 새내기 네 등단자의 글 발표도 있었다.이번 행사에서 특별히 돋보이는 부분이 하나 있었는데 김회장의 심사평이다....
늘산 박병준
태양을 쫓았다. 한국을 향해 지금 막 밴쿠버에서 출발했다. 정이 들었던 시간만큼 아쉬움을 남기고 살짝 섭섭함과 서글픔까지 지닌 채로 나는 정들었던 밴쿠버를 떠난다. 일만 미터의 상공에서 시속 팔백 킬로미터가 넘는 속도로 태양을 따라 서쪽으로 열심히 따라 가고 있다. 이제 돌아간다, 내 조국 한국, 내 고향으로. 밴쿠버에서 살아온 8년의 생활 중에 남편과 떨어져 지낸 시간이 7 년이다.  길다하면 길고 짧다하면 짧은 시간이겠지만 내 결혼...
조일엽
2014년 3월 11일 한국과 캐나다간의 자유무역 협정(FTA) 타결 소식이 한국에서 편서풍을 타고 캐나다로 날아왔다. 이 소식은 양국뿐만 아니라 세계 경제 전반에도 상당한 주목을 받고 있다. 경제 규모로 볼 때 2012년 기준으로 캐나다는 GDP 기준과 교역량 기준으로 세계 10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한국은 GDP 기준 15위, 교역량은 8위를 기록하고 있는 국가다. 이런 경제 규모의 양국이 자유무역 협정에 따라 관세철폐와 경제 협력을 단계적으로 이루어 나가면,...
박봉인 평안 인터내셔널 해외마케팅 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