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최종수정 : 2017-04-15 09:39

한국문협밴쿠버지부 회원기고/수필

카나다는 유럽보다도 더 크고 남북한을 합친 한반도의 45배 이상이나 되는 큰 나라다. 이렇게 덩치 큰 나라에 우리는 1974년 하필이면 퀘백주의 몬트리올로 이민 가서 40년을 거기서만 말뚝을 박고 살았다. 그러나 어느 날 남편은 먼저 하늘나라로 갔고 아이들도 모두 집을 떠나 독거로 살다가 아들이 있는 밴쿠버로 살림을 합쳐 산다. 돈 들여 여행도 하는데 나는 돈 들이지 않고 동부와 서부를 몸으로 살고 있으니 나쁘지 않은 황혼이다.

몬트리올 이야기다. 겨울이 6개월이나 되는 그 곳의 봄은 그야말로 부활 그대로다. 4월을 지나면서 봄기운이 거리를 휩쓸면 5월이 들어서기 무섭게 꽃들은 앞을 다투어 꽃망울을 터트리고 라일락이 골목마다 향수를 뿌리는 어머니날을 앞뒤로 즉시 산나물 철로 접어든다. 5월은 고비나물, 참 나물 6월은 활 나물, 고사리.. 철마다 나물을 따서 저장했다가 일 년 내내 무슨 파티가 있으면 나물로 상을 화려하게 차려 낸다. 나물 중에도 고비나물은 정말 놀랄만하다. 키는 내 무릎까지 굵기는 내 약지 손가락만큼이나 실하다. 얕은 강가, 개울 물 주변에 지천으로 난다.

그러나 이 곳 밴쿠버는 고비가 아니라 고사리다. 몬트리올도 고사리가 많이 나지만 여기처럼 그렇게 실하지도 못하고, 물론 한국 고사리보다는 실하지만, 아무데나 나지도 않는다. 나는 도시에서만 살아서 나물에 대한 지식이 전연 없었고 고작 아는 것이라야 고사리 와 산나물 정도였는데 이민 와서 터득한 나물 지식은 상식 이상이다. 내가 밴쿠버 고사리를 처음 본 것은 강아지 산책 길에서였다. 산책길 옆으로 이끼길, 잡풀을 누르고 자랑스레 쭉 뻗은 고사리 대, 마치 퀘백의 고비 대 만큼 실하고 통통한 모습이 신기 해, 한 대를 꺾어 사진으로 찍어보니 영락없는 귀부인의 옥비녀다. 한 대를 손뼘 정도로 넷으로 자르면 서너 대만 꺾어도 한 끼 밥반찬이다.

몇 대를 꺾어 들고 온 고사리를 가지런히 같은 길이로 잘라 끓는 물에 데치고 깨끗이 헹구고 햇볕에 말려 한 움큼씩 묵은 것 두어 개를 한국에 사시는 언니에게 선물을 했다. 마치 귀한 약초나 되듯 내 정성을 다 들여 곱게 포장하여 보냈는데, 8순이 넘으신 형부가 좋아 하신다고 더 보내 달라신다. 인터넷에서는 고사리가 암을 유발한다고 꺼리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나의 주장은 다르다. 우리 조상들이 대대로 먹고 살아온 나물이고 또 우리는 80을 살았으니 수를 다 누리고 산 셈이라, 지금부터 사는 것은 덤으로 주신 생명을 사는 것이니 즐길 만큼 즐기고 살자는 생각이다. 반드시 찾아오는 죽음은 하느님 소관이니 죽음은 아무 때나 오시라 하고 고사리든 고비든 가리지 말고 즐기자. 황혼의 노을이 더욱 아름다운 이유는 잃을 것이 없는 시간을 살기 때문이니 젊음을 잃었다 말고 늙어감이 나를 풍요롭게 해 준다고 생각하며 새털처럼 가벼운 맘으로 살 수 있기를 바란다. 몸과 마음이 가벼워야 종달새처럼 하늘을 날을 수 있지 않은가!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우리는 1974년 첫 딸이 두 살 쯤 되어 캐나다 이민 바람을 타고 몬트리올로 훌적 떠나 왔다. 캐나다가 어떤 나라인지는 대충 알았지만 할로윈이라던가 하는 이 곳 풍속을 전연 알지 못했다. 어떤 교회에서 저렴한 가격에 유아 방에 아이를 맡겨도 된다기에 딸 아기를 잠시 맡긴 적이 있었다. 아이가 너무 집에만 있으니까 ‘엄마 심심해“ 하며 아기 식으로 불평을 간간히 해 오던 차라, 유아 방에 가서 다른 아이들과 놀다 오라고 보냈던 것이다. 아이가...
김춘희
별똥의 노래 2018.08.21 (화)
어렸을 때 나는 아주 내성적이고 용기가 없어서 동네에서 아이들과 잘 어울려 놀지 못했다. 오빠와 언니를 졸졸 따라 다니다가 놀이에 끼어줘야 놀았다. 그러나 한번 놀이에 끼어 한판하면 난 열심히 뛰고 숨고 신나게 놀았다. 엊그제 같은 옛날 이야기다. 나는 이제 무슨 놀이를 하고 살고 있지? 가끔 내가 뭘하고 노는지를 살핀다. 놀이라기보다는 자투리 시간들을 어떻게 보내는가 하는 것이다. 오늘처럼 아들 식구들이 모두 주말 캠핑을...
김춘희
늙어서 사는 맛 2018.06.04 (월)
진정한 친구란 멀리 떨어져 살아도 늘 가까이 사는 사람처럼 가믐에 콩 나듯 전화해도 변치 않는 옛날 그대로다. 요즘은 세상이 좋아서 원하기만 하면 영상통화를 하거나 문자를 주고받으며 얼마든지 빠르게 소통한다. 그러나 진정한 친구는 요란스레 문자나 영상통화가 아니라도 그저 전화 한통이면 그거로도 족하다. 친구도 나이를 떡 먹듯이 먹어 치워 80이 휠 씬 넘어갔다. 70 때만해도 늙은 할머니가 뭘 그리 젊은 척하느냐고 늙음을 빈정댔더니...
김춘희
참새와 제비 2018.04.10 (화)
참 오래전에 캐나다 동부 몬트리올에 살 때의 우리 집 어느 해 여름 풍경이다.하필이면 제비가 왜 그 자리에 집을 지었는지 모른다. 우리 집 앞에는 큰 고목나무가 그 옆으로도 키가 큰 나무들과 마당을 감싸 안은 담쟁이 나무들 때문에 우리 집은 마치 숲속의 집 같은 분위기였다. 게다가 집이 단층이다 보니까 새들이랑 다람쥐들이 아주 겁 없이 우리 집을 넘보았다. 문을 열어 놓으면 다람쥐가 집안에 들어오려고 하질 않나 새들이 벽난로 굴뚝으로...
김춘희
박 선생 어머니 2018.01.22 (월)
한국문인협회 밴쿠버지부 회원 [김춘희]박 선생 어머니                                                             김 춘 희   거의 40년을 살았던 몬트리올을 떠나 밴쿠버로 완전히 이사 오기 까지 족히 3년은 걸렸으리라. 살던 집을 팔고 임시로 아파트에 살면서 일 년에 두세 번 밴쿠버 사는 아들 집을 왔다 갔다 했다. 그래도 남편이 가고...
김춘희
황혼의 노래 2017.04.15 (토)
카나다는 유럽보다도 더 크고 남북한을 합친 한반도의 45배 이상이나 되는 큰 나라다. 이렇게 덩치 큰 나라에 우리는 1974년 하필이면 퀘백주의 몬트리올로 이민 가서 40년을 거기서만 말뚝을 박고 살았다. 그러나 어느 날 남편은 먼저 하늘나라로 갔고 아이들도 모두 집을 떠나 독거로 살다가 아들이 있는 밴쿠버로 살림을 합쳐 산다. 돈 들여 여행도 하는데 나는 돈 들이지 않고 동부와 서부를 몸으로 살고 있으니 나쁘지 않은 황혼이다.몬트리올...
김춘희
올 해 도 어김없이 양귀비꽃과 함께 11월은 찾아왔다. 나는 어느 해 부터인가 11월이 오면 그 꽃잎을 사서 가슴에 달고 다닌다. 누가 시키는 것도 아니고 그저 그 꽃잎을 달면 누군가로부터 너도 달았구나! 너도 뭔가 위령의 뜻을 알고 있구나! 하는 말을 들을 것만 같은 기분으로 달고 다닌다.10월 마지막 날 잡귀들이 판치는 할로윈이 끝나면 다음 날부터 양귀비꽃이 제 철을 맞는다. 11월은 가톨릭교회에서는 위령의 달이라고 한다. 11월 첫째 날은 모든...
김춘희
어린 아이의 마음 2016.06.17 (금)
'마미 함니(할머니) 룩 앳 더 문, 와우!' 큰 손녀가 아직 3살이 되기 전이었다. 아들네와 함께 오카나간 근처 포도원이 여기 저기 산재한 아름다운 곳에서 몇일 바캉스를 즐겼던 어느 날 저녁이었다. 우리는 저녁 식사를 동네 식당에서 마치고 숙소로 가던 중 언덕을 바라보며 차가 올라가고 있었다. 어른들은 자기들끼리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하던 중 꼬마가 갑자기 함성을 지른...
김춘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