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캐나다의 입법 사법제도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2-00-00 00:00

캐나다의 입법, 사법제도







새로운 삶의 터전으로 선택하신 캐나다를 이해하는데 법이 만들어지는 과정이나 법원의 구성에 대한 지식이 좋은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생각되어 캐나다의 입법 및 사법 제도에 대해서 간단히 정리해 보았습니다.



캐나다의 입법 제도



연방국인 캐나다에서는 중앙 입법부와 주 입법부가 각각 헌법에 명시되어 있는 분야의 입법을 수행합니다. 예를 들면 이민법은 중앙 입법부 권한이며 부동산에 관한 법률은 주 의회가 제정하는 것입니다. 중앙 입법부인 “Federal Parliament"는 영국의 영향을 받아 하원(House of Commons)과 상원(Senate)의 양원제입니다. 주 입법부는 단원제이며 퀘백을 제외한 모든 주에서 “Legislative Assembly"라고 칭합니다.

일반적으로 입법 절차는 행정부에서 시작됩니다. 각 부(Department)에서 사회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법이나 기존 법의 개정에 대한 필요성이 인식되면 해당 부처 장관(Minister)은 내각(Cabinet)에 입법 제안서를 올리고 내각의 동의를 구합니다. 내각이 입법 제안을 승인하면 바로 법안, 즉 “Bill"이 하원에 제출되어 법안의 의회 통과 절차가 시작됩니다.

하원의 법안 통과 절차는 삼단계로 각 단계를 “Reading"이라고 하는데 의원들이 법안을 읽고 검토한다는 뜻이지요. 첫 단계인 “First Reading"은 정부에서 처음으로 입안 의사를 공개하는 것으로 언론이나 공청회 등을 통해 여론을 수렴하는 기회가 됩니다. 두 번째 단계인 “Second Reading"은 찬반 투표이며 마지막 단계인 ‘Third Reading"에서는 하원의 상임 또는 특별 위원회가 이익 단체나 개인들로부터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 여부를 검토하게 됩니다. 그 다음 최종 찬반 투표를 거쳐 하원에서 법안이 통과되면 상원으로 법안이 넘어가는데 상원의원직은 임명직인 이유로 상원 통과 절차는 어느 정도 의례적입니다.

이렇게 의회를 통과한 법안은 Governor General (총독)이 “Royal Assent", 즉 국왕의 재가를 주면 법으로 제정됩니다. 물론 실제로 영국 왕실의 승인을 받는 것은 아니고 영연방이었던 캐나다 역사의 유산으로 형식적인 절차일 뿐입니다.



캐나다의 사법부 구성



캐나다의 사법부는 한국의 사법부와는 그 구성과 역할이 매우 다릅니다. 첫째로 모든 법이 법조문으로 성문화되어 있는 한국과는 달리 캐나다는 법조문뿐만 아니라 재판의 판결들도 관습법으로서 법으로 인정받습니다. 따라서 캐나다 사법부는 법을 해석, 적용하는 일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법을 만들어 내는 입법의 역할도 담당하게 되는 것이지요. 또한 사법연수원을 나와 바로 판사로 임명되는 한국과는 달리 캐나다에서는 최소한 10년 이상 변호 업무를 통해 그 능력을 인정받은 유능한 변호사만이 엄격한 심사 제도를 거쳐 판사로 임명되게 됩니다.

캐나다의 최고 법원은 대법원인 ‘Supreme Court of Canada"로 9명의 대법원 판사가 전국에서 올라온 항소 재판의 판결을 내리게 되며 수도인 Ottawa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B.C. 주 내의 최고 법원은 “Court of Appeal" 즉, B.C. 고등법원으로 21명의 판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Supreme Court"은 그 이름 때문에 최고 법원으로 잘못 아시는 경우가 많습니다만 고등법원의 하위 재판소로 100명의 판사가 재직중입니다. B.C. 주에서 최하위급 재판소는‘Provincial Court"으로 청구액 $10,000이하의 소액 재판을 담당하는 "Small Claim Court"이 포함되며 B.C. 주 전역에 약 100여개의 재판소가 있습니다.

그 역할의 중요성 때문에 사법부의 독립이 철저히 지켜지는데 예를 들면 판사의 정년이 보장되고 주 법원 판사의 월급도 중앙정부에서 지급하여 판결을 내리는데 주 정부의 정치적 압력에 영향을 받는 일이 제도화되어 있는 것입니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사업체명(商號) 결정 및 인증(2) 한 단어 상호(SINGLE WORD NAMES) 한 단어의 명칭(예, International Limited)은 다른 상호와의 구별이 명확치 않으므로 일반적으로 거절된다. 예외적으로 한 단어가 조어(coined word)이고 이미 상표등록이 되어있는 경우는 상표등록 증빙...
-제공- 스티브 김 / Synet(싸이넷) 컴퓨터 대표-웹디자이너, 컴퓨터 테크니션(A+, Network+)/ 문의603-0450 /988-5609 / www.synetcomputer.com / steve@synetcomputer.com 28. 컴퓨터 게임을 좋아하는 아이들   요즘 아이들 대부분이 컴퓨터 게임을 좋아하고 일부에게선 중독 증세까지...
사업체명(商號) 결정 및 인증(1) 대부분의 사업체는 상호인증(Name Approval)을 받도록 되어있으며, 아래 기재된 내용은 Ministry of Finance and Corporate Relations의 상호 사용 인증 신청서(NAME APPROVAL REQUEST) 작성 지침서의 번역문이다. 원문 및 신청양식은 B.C Business Service...
사이버 중독증 2001.11.30 (금)
-제공- 스티브 김 / Synet(싸이넷) 컴퓨터 대표-웹디자이너, 컴퓨터 테크니션(A+, Network+)/ 문의603-0450 /988-5609 / www.synetcomputer.com / steve@synetcomputer.com 29. 사이버 중독증   사이버 공간에 너무 집착하게 되는 경우 가상공간에서 얻는 즐거움에 길들여져 실제 생활과...
국외 자산 및 소득 신고 -현황 및 국외 자산·소득이 캐나다 세금에 미치는 영향 및 문제점 -제공- LEE & LEE 합동공인회계사무소 대표 :공인회계사 이 진 우 세무담당 :공인회계사 이 상 곤 1. 현황 1998년 8월 20일 확정된 개인명의 1998년분 국외자산 신고가 1999년 4월...
컴맹 탈출 2001.11.30 (금)
-제공- 스티브 김 / Synet(싸이넷) 컴퓨터 대표-웹디자이너, 컴퓨터 테크니션(A+, Network+)/ 문의603-0450 /988-5609 / www.synetcomputer.com / steve@synetcomputer.com 30. 컴맹 탈출   어떻게 하면 컴퓨터를 잘하게 되냐는 질문을 많이 받습니다. 그럴 때 마다 저는 모를 때는 굉장히...
여성 학대 2001.11.30 (금)
여성 학대 세 도시 이민자 봉사회 홍현진 캐나다 전역에 걸쳐, 그 어떤 가정이나, 이웃이라는 제한됨이 없이, 우리들 주변 곳곳에서는 남자가 함께 사는 여자를 폭력적으로 대하는 것을 많이 보게 됩니다. 여러분들이 서로 알고 지내는 사람들 중에도 매를...
장기 간호 플랜(A Long Term Care Plan) 늙어서 자식들에게 신세지기 싫다? 독립적인 노후 대책… 자신의 노후설계는 스스로 북미주에서 최근 관심있게 주목되고 있는 장기 간호 플랜(Long Term Care Plan). 미국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활발히 홍보되고 있으나...
우리 청소년의 현주소와 부모님의 역할 -제공- 김 해 영 YMCA 전문 상담위원 오늘 저는 이민 또는 유학을 온 십대와 그 부모님들이 갖고 있는 고통을 함께 나누고 부족하나마 그 해결책을 찾아보기 위해 첫문을 여는 시도를 해볼까 합니다. 지금 우리 아이들이...
유언에 대해 2001.11.30 (금)
유언에 대해 유언하면 우리는 흔히 죽기 직전에 누구에겐가 남기는 것으로 알고 있거나 혹은 삶의 끝자락에서 정리가 필요한 사람이 하는 것이거나 또는 돈 많은 사람들이 하는 것이 유언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개념으로 인해 우리는 '유언'이라는 말을 보편적...
근로기준법(2) 2001.11.30 (금)
근로기준법(2) 지난 호에 이어 BC주 근로기준법중 근무시간과 초과근무, 법정 공휴일, 휴가, 정기휴가 , 고용의 종료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사회 발전에 있어 노동력은 가장 중요한 원동력이다 어떤 형태이든지 노동력의 투여가 없다며 사회의...
근로기준법(1) 2001.11.30 (금)
근로기준법(1)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고 한다. 이 의미는 여러 가지로 해석 될 수 있지만 그중 한가지는 인간은 일을 통해 자아성취를 하고 사회참여를 한다는 의미로 해석 될 수 있다. 여기서 사회참여는 개인 혼자서 하는 것이 아니고 거대한 조직 속에...
배우자 및 가족초청이민 최근 몇 년 사이 한인 이민자의 수가 크게 증가함에 따라 배우자 및 가족초청 이민에 대해 문의하시는 분들 또한 많습니다. 실제 통계상으로 볼 때 매년 캐나다 이민자의 30% 이상이 배우자 및 가족초청으로 영주권을 취득하고 있습니다....
취업비자의 종류와 수속 절차 지난 한 해 동안 캐나다에 이민 온 한국인의 수가 사상 최대인 7,212명 (1998년 대비 32% 증가)을 기록하여 중국, 인도, 파키스탄, 필리핀에 이어 다섯 번째를 차지하였습니다. 이러한 한인 이민자의 급증세는 금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이민법-RRP 2001.11.30 (금)
이민법-RRP 영주권이란 캐나다에서 영구히 생활할 의사가 있는 외국인에게 부여되는 거주권입니다. 캐나다 시민인 경우에는 국민으로서 가지는 기본권이므로 아무리 긴 해외 체류 후에도 입국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만 영주권 소지자의 거주권은 일종의...
위임장 2001.11.30 (금)
위임장 이민 생활을 하시다 보면 꼭 필요한 일을 본인이 직접 볼 수 없는 경우가 간혹 생깁니다. 예를 들어 장기 체제 목적으로 한국으로 들어가시게 되었는데 이 곳에서 꼭 처리해야할 은행업무나 부동산 처분 등의 일이 있으면 곤란하게 되지요. 이런 경우...
캐나다의 입법, 사법제도 새로운 삶의 터전으로 선택하신 캐나다를 이해하는데 법이 만들어지는 과정이나 법원의 구성에 대한 지식이 좋은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생각되어 캐나다의 입법 및 사법 제도에 대해서 간단히 정리해 보았습니다. 캐나다의 입법 제도...
카나다 조세 체계 2001.11.30 (금)
개인소득 산정시 공제가능 비용내역 ◈ 이사 비용 일반적으로 카나다내에서 고용 또는 사업을 위하여 이주하였을 경우, 새 고용지 또는 사업체가 종전에 비해 40㎞ 이상 가까워진 경우에 공제 가능하며, 1년 이월이 가능하며 영수증을 필히 첨부할 것. ※ 공제...
캐나다 시민권 2001.11.30 (금)
캐나다 시민권 캐나다 시민권 신청자격은 다음과 같다. 18세 이상인 자, 법적으로 캐나다의 영주권자라야 한다; 신청일을 기준으로 최근 4년 중 최소한 3년을 캐나다에서 거주했어야 한다; 영어나 불어를 이해하고 말할 수 있어야 한다; 캐나다인으로서의 의무와...
 1781  1782  1783  1784  1785  1786  1787  1788  1789  17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