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친구 그룹 가장 중요, 문제 발생시 전문가 상담 요청해야"

경영오 기자 kyo@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7-10-10 16:56

전문가 인터뷰 <1> 코퀴틀람 교육청 한인 정착 담당 이미호씨

코퀴틀람 교육청(SD43) 한인 정착 담당자인 이미호씨는 자신의 업무에 대해 “코퀴틀람 교육청의 공립학교에 등록한 학생들(12학년 까지)의 학교 시스템에 대한 모든 것을 돕는다. 또한 학생의 부모를 포함한 전 가족의 교육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안내하고 정보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예를들어 자녀의 학교에서 미팅이 있는데 언어 등의 이유로 어려움이 있다면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도울 수 있다. 또한 학교생활을 통해 자녀의 영어실력은 일취월장하는데 부모는 그렇지 못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부모의 영어 실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도 함께 알아본다.

“때로는 교육보다 경제적인 상황이 더 심각하다며 도움을 요청하는 경우도 있다. 이럴 때는 WorkBC 등과 상의해 구직을 돕는 일에도 참여한다. 사실 가족 구성원 모두가 각자의 위치에서 제 몫을 다할 때 학생들도 학업에 전념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때문에 교육이라는 것이 단지 학생 한 사람만의 과제가 아니기에 학업, 구직 때로는 가족 관계와 건강 문제 등까지 많은 부분을 관여하게 된다. 단 도움을 요청할 경우에만 개입이 가능하다”는 것이 이미호씨의 설명이다.

현재 코퀴틀람 교육청(SD43)에 등록되어 있는 공립학교는 총 70곳이다. 이 중 한 곳에 한국 학생이 입학을 하면 이 정보는 바로 이미호씨에게 전달된다. 이때 학생의 신분은 영주권이어야 한다. 다시말해 이미호씨는 영주권 신분의 학생들만을 위해 여러가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포트무디, 포트코퀴틀람, 앰모어·벨카라, 트라이시티 지역을 커버하고 있다. 총 70개의 학교 중 세컨더리 스쿨이 8곳이고 대안학교도 포함되어 있다. 코퀴틀람 교육청에 등록된 한국 학생 중 영주권 신분인 경우에만 도움을 줄 수 있다. 유학생 신분의 한국 학생들은 늘고 있지만 영주권 신분의 학생 숫자는 큰 변화없이 매년 통계가 비슷하다”고 말한다.

 

중고등학생 게임 중독 등

디바이스 관련 문제 가장 심각

올해로 7년째 교육과 관련된 업무를 하고 있는 이미호씨에게 학생들의 변화에 대해 질문했다. 다시말해 요즘 학생들 사이에서는 어떤 문제들이 자주 발생하는지 긍금했다. 이에 이씨는 “초등학생 때는 대부분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중학생 때부터 문제가 발생하는데 불링(Bullying. 집단 따돌림), 남의 물건 훔치기 등의 문제가 있고 가장 많이 발생하는 문제는 디바이스와 관련된 것이다”고 말한다.

디바이스 관련 문제는 과제물을 네이버, 위키피디아 등에서 베끼는 경우와 게임 중독 등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 또한 여학생의 경우는 페이스북 등 SNS를 통해 또래 친구들을 불링하는 경우도 많다.

“요즘은 캐나다인 선생님들도 네이버를 잘 안다. 왜냐면 한국 학생들이 과제물을 네이버에서 베껴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게임 중독이다. 게임에 중독된 학생들은 밤새 게임을 하고는 다음 날 학교에서 졸거나 자거나 심한 경우 아예 학교에 오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학생이 디바이스와 관련해 문제가 발생한 경우, 학교에서는 단계적으로 대처하게 된다. 첫 번째는 학교내에서 처리하고, 두 번째는 다른 학교로 전학을 보낸다. 이와 같은 제재를 했음에도 문제가 계속된다면 마지막에는 퇴학이라는 처분이 내려지게 된다.


<▲ 코퀴틀람 교육청(SD43) 한인 정착 담당자 이미호씨. 사진=경영오 기자>

이미호 씨는 “디바이스 관련 문제는 세계적인 추세이긴하지만 특히 한국 학생들이 가장 심각한 상황”이라며 “말 잘 듣고 공부 잘하던 아이가 어느날 갑자기 망가지기도 한다. 이때 가장 큰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컴퓨터”라고 말한다.

“청소년기의 특징 중 하나는 절제 능력이 약하다는 것이다. 때문에 컴퓨터 게임, SNS 등을 이용한 사이버상의 블링 등은 본인의 의지대로 컨트롤이 안되기 때문에 부모는 자녀의 행동과 패턴에 큰 변화가 없는지 항상 관심있게 지켜봐야 한다”고 조언한다.

예를들면 자녀가 평상시와 달리 낮시간에 많이 피곤해하거나 무기력해 한다거나, 집에서 혼자 있는 시간이 늘었거나, 일찍부터 잔다며 방의 불을 일찍 끄는 경우 부모는 자녀가 정말 잠을 자고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디바이스 관련 문제가 있는 학생의 경우, 대부분 잔다고 하고는 밤새 이불 속에서 컴퓨터 게임을 한 후 아침이면 감기 등의 이유로 “몸이 아파 학교에 갈 수 없다”고 말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또한 자녀의 방과 후 일정에 대해서도 부모는 항상 모니터링을 해야 한다. 방과 후 활동은 제대로 하고 있는지, 학교에서 지내는 시간 이외의 여유 시간은 어떻게 보내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확인해야 한다.

이미호씨는 “중·고등학생은 친구 그룹이 정말 중요하다. 처음 친구를 사귈 때 잘못 사귀면 게임, 약물 등에 쉽게 노출될 수도 있다. 때문에 부모는 자녀의 친구 그룹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여야 하고 자녀 친구의 부모와도 연락을 해야 한다. 모니터링 결과 자녀가 건전하지 못한 친구를 사귀고 있다고 판단되면 ‘분리’를 해야 한다”고 말한다.

또한 “문제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일단 학교에 미팅을 요청하는 것이 좋다. 또 필요한 경우 카운슬링을 받는 것도 좋다”고 조언한다. 하지만 많은 학부모들은 자녀에게 문제가 있어도 쉽게 학교에 알리지 못한다. 이유는 내 아이에게 불이익이 생길까 염려되기 때문이다.

이씨는 “어떠한 경우에도 자녀는 불이익을 받지 않는다. 다만 자녀가 삐뚤어지는 증세가 보였음에도 그대로 방치한다면 오히려 더 큰 문제를 만들 수도 있으니 전문가와 상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한다.

경영오 기자 kyo@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