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참새와 제비

김춘희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8-04-10 16:25

김춘희 / 한국문인협회 밴쿠버지부
참 오래전에 캐나다 동부 몬트리올에 살 때의 우리 집 어느 해 여름 풍경이다.

하필이면 제비가 왜 그 자리에 집을 지었는지 모른다. 우리 집 앞에는 큰 고목나무가 그 옆으로도 키가 큰 나무들과 마당을 감싸 안은 담쟁이 나무들 때문에 우리 집은 마치 숲속의 집 같은 분위기였다. 게다가 집이 단층이다 보니까 새들이랑 다람쥐들이 아주 겁 없이 우리 집을 넘보았다. 문을 열어 놓으면 다람쥐가 집안에 들어오려고 하질 않나 새들이 벽난로 굴뚝으로 뛰어들어오질 않나, 한여름이면 유리창이 보이질 않아서 새들이 머리를 박고 유리창에 박치기하여 자살하는 놈들도 있고 아무튼 한여름만 되면 새들과 다람쥐들 때문에 꽤 신경 쓸 일들이 있었지.

나무가 많으니 벌레도 많았고 또 벌레를 잡아먹는 새들이 모여들어 한여름 우리 집은 자칫 숲속에 자리 잡은 벌레와 새, 다람쥐들의 쉼터요 먹거리 풍부한 집이 되기도 했다. 그런데 하필이면 제비들이 집 입구 문 위에 집을 짓기 시작했다. 못 짓게 하는 방법도 없고 또 있다 해도 그들 사생활에 인간이 함부로 간섭할 수도 없어서 못 본 척 내 버려두었다.

제비들은 바빴다. 두 놈이 서로 지푸라기를 주어 모아들였다. 진흙을 개어 찌푸리기와 함께 섞어서 집을 짓는 모습을 보며 참으로 제비는 집 짓는 공사 솜씨가 보통 수준 이상이라고 감탄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 모습은 마치 정교하게 털실로 짠 모자를 아래위로 뒤집어 놓은 형상이었다. 아래쪽으로는 둥근 듯하며 끄트머리는 깔때기 모양이었고 위로는 작은 사발을 놓은 듯 그렇게 예쁘고 정교한 모습이었다. 드디어 제비들은 알을 까고 어느새 새끼들이 그득 집을 채웠다. 그해 여름 나는 제비들 때문에 한동안 행복했다. 문 바로 위에 집을 지었어도 우리 식구들이 드나드는 것을 무서워하지도 않고 그래서 우린 서로 쳐다보며 서로 방해하지도 않고 즐거운 여름을 보냈던 기억이 새롭다. 여름이 가고 가을이 오는가 했더니 제비들은 어느새 모두 다 자기들 갈 곳을 찾아 떠나 버렸다. 겨우내 새집은 비어 있었다. 그리고 다시 봄이 오고 라일락 향기가 온 동네를 휘감으며 향기를 퍼드리던 어느 날 비어 있던 제비집에 새 손님이 들어 왔다. 이번엔 제비가 아닌 참새들이었다.

참새들은 자기들이 지은 집도 아닌데 남의 집에 들어와 살림을 차렸다. 제대로 잘 꾸며진 제비집에 자기들 식으로 다시 내부 수리를 하는 리모델링을 하는 모양이었다. 지푸라기들을 엉성하게 물어 와 자기 둥지를 치고 있었다. 바쁘긴 왜 그리도 바쁜지 지푸라기를 쓸 만큼만 물어 오는 것이 아니라 마구 물어와 둥우리를 치고 있었다. 새집은 문 바로 위였기 때문에 어떤 때는 찌푸리기가 머리 위로 떨어질 때도 있고 아무튼 제비와는 달리 참새들은 말도 많았고 지저분하게 일을 했다. 부지런을 떨며 수선스럽게 집을 다 지어 놓고는 알을 까고 새끼들이 생겼다. 이제 참새 부부는 먹을 것을 쉴 새 없이 물어 와 새끼 참새들을 먹이는 일을 하고 있던 때였다. 그런데 어찌나 엉성하게 둥지를 쳤는지 하루는 참새에게 큰 불행이 닥쳤다. 새끼 한 마리가 엉성한 지푸라기 둥지에서 잘못하여 땅으로 떨어져 죽었다. 이틀 후에 또 한 마리가 떨어져 죽었다.

남의 집에 들어가 제 둥지를 다시 틀어 집을 지은 참새는 여러 가지로 실수를 한 것이다. 함부로 남의 집에 들어간 것부터 잘못된 것이다. 참새는 자기가 참새란 것을 잠시 잊은 것이다. 남이 잘 쌓아 놓은 집을 자기 것인 양 들어간 참새는 처음부터 잘못 판단한 것이다. 또 하나 잘못된 것은 남의 집에 무단히 들어가 놓고는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다시 그 위에 둥지를 틀은 것도 잘못된 것이다. 자기 새끼들과 거처할 공간이 넉넉했어야 했는데 그 점을 예상하지 못한 것이다. 그래서 공간은 비좁았고 새끼들이 자라면서 지푸라기로 엉성하게 지은 둥지는 안전성이 없었다. 새끼들이 땅에 떨어지는 비극을 맛보게 된 것은 전적으로 참새 부모들의 잘못된 판단 때문이었다.

꽃 가게를 하는 교민이 있었다. 갓 이민 와서 일자리를 찾던 한인 이민자를 딱하게 여기고 그에게 자기 꽃 가게에 직장을 제공해 주었다. 꽃에 대한 경험이 없는 고용인에게 꽃을 어떻게 다뤄야 하는지, 그리고 꽃 도매 시장에서 어떻게 사와야 하는지 꽃 사업에 필요한 모든 것을 다 가르쳤다. 선한 꽃가게 주인에게서 많은 것을 배웠다. 그렇게 일 년간 열심히 가르치고 배우고 했다.

그리고 일 년이 지난 어느 날 그 고용인은 꽃가게를 그만두었다. 주인은 많이 섭섭했다. 앞으로 자기 가게의 매니저로 쓸 생각을 하며 열심히 가르쳤는데 하루아침에 가게를 그만둔다는 것이었다. 꽃가게 주인은 고용인을 붙들 힘이 없었다. 그런데 그 후 얼마 안 되어 그 고용인은 꽃가게를 그만두고 바로 그 꽃가게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는 같은 길에 똑같은 꽃가게를 차렸다. 새로 꽃가게를 차린 그 사람에게 법적으로 잘못된 점은 아무것도 없었다. 다만 먼저 지은 제비집에 들어가 안 주인 노릇 하는 참새가 되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몬트리올 그해 그 여름 제비집 추억을 반추하며 새 주인들이 참새가 되지 않기를 두 손 모아 기도해 본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우리는 1974년 첫 딸이 두 살 쯤 되어 캐나다 이민 바람을 타고 몬트리올로 훌적 떠나 왔다. 캐나다가 어떤 나라인지는 대충 알았지만 할로윈이라던가 하는 이 곳 풍속을 전연 알지 못했다. 어떤 교회에서 저렴한 가격에 유아 방에 아이를 맡겨도 된다기에 딸 아기를 잠시 맡긴 적이 있었다. 아이가 너무 집에만 있으니까 ‘엄마 심심해“ 하며 아기 식으로 불평을 간간히 해 오던 차라, 유아 방에 가서 다른 아이들과 놀다 오라고 보냈던 것이다. 아이가...
김춘희
별똥의 노래 2018.08.21 (화)
어렸을 때 나는 아주 내성적이고 용기가 없어서 동네에서 아이들과 잘 어울려 놀지 못했다. 오빠와 언니를 졸졸 따라 다니다가 놀이에 끼어줘야 놀았다. 그러나 한번 놀이에 끼어 한판하면 난 열심히 뛰고 숨고 신나게 놀았다. 엊그제 같은 옛날 이야기다. 나는 이제 무슨 놀이를 하고 살고 있지? 가끔 내가 뭘하고 노는지를 살핀다. 놀이라기보다는 자투리 시간들을 어떻게 보내는가 하는 것이다. 오늘처럼 아들 식구들이 모두 주말 캠핑을...
김춘희
늙어서 사는 맛 2018.06.04 (월)
진정한 친구란 멀리 떨어져 살아도 늘 가까이 사는 사람처럼 가믐에 콩 나듯 전화해도 변치 않는 옛날 그대로다. 요즘은 세상이 좋아서 원하기만 하면 영상통화를 하거나 문자를 주고받으며 얼마든지 빠르게 소통한다. 그러나 진정한 친구는 요란스레 문자나 영상통화가 아니라도 그저 전화 한통이면 그거로도 족하다. 친구도 나이를 떡 먹듯이 먹어 치워 80이 휠 씬 넘어갔다. 70 때만해도 늙은 할머니가 뭘 그리 젊은 척하느냐고 늙음을 빈정댔더니...
김춘희
참새와 제비 2018.04.10 (화)
참 오래전에 캐나다 동부 몬트리올에 살 때의 우리 집 어느 해 여름 풍경이다.하필이면 제비가 왜 그 자리에 집을 지었는지 모른다. 우리 집 앞에는 큰 고목나무가 그 옆으로도 키가 큰 나무들과 마당을 감싸 안은 담쟁이 나무들 때문에 우리 집은 마치 숲속의 집 같은 분위기였다. 게다가 집이 단층이다 보니까 새들이랑 다람쥐들이 아주 겁 없이 우리 집을 넘보았다. 문을 열어 놓으면 다람쥐가 집안에 들어오려고 하질 않나 새들이 벽난로 굴뚝으로...
김춘희
박 선생 어머니 2018.01.22 (월)
한국문인협회 밴쿠버지부 회원 [김춘희]박 선생 어머니                                                             김 춘 희   거의 40년을 살았던 몬트리올을 떠나 밴쿠버로 완전히 이사 오기 까지 족히 3년은 걸렸으리라. 살던 집을 팔고 임시로 아파트에 살면서 일 년에 두세 번 밴쿠버 사는 아들 집을 왔다 갔다 했다. 그래도 남편이 가고...
김춘희
황혼의 노래 2017.04.15 (토)
카나다는 유럽보다도 더 크고 남북한을 합친 한반도의 45배 이상이나 되는 큰 나라다. 이렇게 덩치 큰 나라에 우리는 1974년 하필이면 퀘백주의 몬트리올로 이민 가서 40년을 거기서만 말뚝을 박고 살았다. 그러나 어느 날 남편은 먼저 하늘나라로 갔고 아이들도 모두 집을 떠나 독거로 살다가 아들이 있는 밴쿠버로 살림을 합쳐 산다. 돈 들여 여행도 하는데 나는 돈 들이지 않고 동부와 서부를 몸으로 살고 있으니 나쁘지 않은 황혼이다.몬트리올...
김춘희
올 해 도 어김없이 양귀비꽃과 함께 11월은 찾아왔다. 나는 어느 해 부터인가 11월이 오면 그 꽃잎을 사서 가슴에 달고 다닌다. 누가 시키는 것도 아니고 그저 그 꽃잎을 달면 누군가로부터 너도 달았구나! 너도 뭔가 위령의 뜻을 알고 있구나! 하는 말을 들을 것만 같은 기분으로 달고 다닌다.10월 마지막 날 잡귀들이 판치는 할로윈이 끝나면 다음 날부터 양귀비꽃이 제 철을 맞는다. 11월은 가톨릭교회에서는 위령의 달이라고 한다. 11월 첫째 날은 모든...
김춘희
어린 아이의 마음 2016.06.17 (금)
'마미 함니(할머니) 룩 앳 더 문, 와우!' 큰 손녀가 아직 3살이 되기 전이었다. 아들네와 함께 오카나간 근처 포도원이 여기 저기 산재한 아름다운 곳에서 몇일 바캉스를 즐겼던 어느 날 저녁이었다. 우리는 저녁 식사를 동네 식당에서 마치고 숙소로 가던 중 언덕을 바라보며 차가 올라가고 있었다. 어른들은 자기들끼리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하던 중 꼬마가 갑자기 함성을 지른...
김춘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