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독자추천 오늘의 책] ‘진짜 원본, 야채스프 건강법’

최희수 기자 ch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8-05-04 15:49

기적의 야채스프, 기억하시나요?
“의사에게서 말기 암이라 얼마 살지 못할 것이라고 선고 받은 환자가 야채스프만 먹고 암을 극복했다” 




한국에서 야채스프 건강법이 한창 유행하던 때가 있었다. 야채스프는 5가지 근채류 식물을 끓인 야채탕 또는 야채 끓인물을 말하는데 흔히 암환자가 많이 찾는다해서 치료약처럼 알려져 왔었다.

한국에 야채스프 바람이 불기 시작한 것은 2000년대 초반에 들어서다. 당시 야채스프는 만성병 환자들 사이에서 하나의 신드롬처럼 여겨졌는데 일본에서는 야채스프에 대한 수많은 간증이 쏟아져 나오면서 ‘기적의 야채스프’라는 말까지 생겨났다.

야채스프는 일본의 한 외과 대학 교수인 다페이시가즈 박사가 개발한 식이요법이다. 다페이시가즈 교수의 야채스프 의학이론이 담긴 책 ‘야채스프 건강법’은 2006년 한국에 처음 발간돼 4쇄를 거치며 서점가에서 뜨거운 열풍을 일으켰다. 열풍에 힘입어 비슷한 시기에는 야채스프와 관련된 내용의 십수 가지 책들이 일거에 발간되어 나오기도 했다.

독자가 소개할 오늘의 책은 앞서 이야기한 다페이시가즈 박사의 ‘야채스프 건강법’이다. 이 책은 최근에 들어 국내 교민들 사이에서 다시금 주목받기 시작했는데 이곳 밴쿠버에서도 ‘야채스프’에 대한 간증이 이어지면서 야채스프 건강법에 대한 입소문 바람이 불고 있다. 

책은 야채스프에 대한 정보와 저자의 연구성과에 의한 의학이론을 중점으로 소개된다. 저자는 “이 수프가 암 예방과 면역력 증대 또 당뇨병이나 고혈압과 같은 생활습관병의 개선을 돕고, 더불어 비만의 해소, 체질 개선 등 여러 면에서 큰 효과를 올리고 있다”고 설명한다. 

이 책은 또한 인간의 몸을 구성하고 있는 물질을 먼저 인식하고 화학적으로 어떠한 모양으로 건강이 유지되고 있는가를 고찰하면서 예방 의학적 방법론에 근거해 이야기를 펼친다. 책 속에 담긴 야채스프로 병마를 극복했다는 사람들의 실제 체험담이 이를 뒷받침한다.  

저자에 따르면 야채스프는 인체를 철저히 연구하여 기존에 상식이 되었던 의학의 근본적인 오류를 극복해 완성된 새로운 의학이라 볼 수 있다. 야채스프가 현대 의학이 해결하지 못한 질병에 대한 대책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야채라는 것은 얼핏 보기에는 흔해빠진 소재지만 이 속에 인간생명의 근원이 들어있다는 얘기다. 

책을 읽고 나면 저자의 말대로 우리가 먹는 야채에 대한 중요성이 얼마나 큰가에 대해 인식하게 된다. 뒤이어는 야채스프가 ‘인간생명의 근원’이라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저자는 이처럼 야채스프를 처음 접한 이후부터 다른 모습으로 변화하는 신체의 변화를 흥미롭게 조명하고 있다.

한편, 책에는 야채스프로 병마를 극복한 사람들의 체험담이나 현대의료 상식, 야채스프 만드는 법 등 여러가지 정보도 담겨 있다. 오늘 소개한 ‘야채스프 건강법’ 책은 노스로드에 위치한 서점 오늘의 책(Today’s Books)에서 대여 및 구매할 수 있다. 

최희수 인턴기자 wkim@vanchosun.com



* 이 책을 추천한 독자는…  
독자 조정자(76)씨는 지난 2008년 의사로부터 만성적인 급성신장염 판정을 받았었다. 그러나 아는 지인의 소개로 ‘야채스프 건강법’을 접한 후 약 8개월만에 기적적으로 만성신장염 완치 판정을 받게 됐다. 현재 조정자씨는 조금 떨어진 간 수치를 회복하기 위해 다시 야채스프 먹기에 도전 중이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