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루니 환율 올 들어 5%나 떨어졌다

김혜경 기자 khk@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8-06-14 11:58

NAFTA 협상 난항- 유가 하락 등 영향... 미화 대비 0.77센트 한국 원화 대해서도 850원대 이하로 거래...약보합세 유지할 듯
올 들어 캐나다 달러 가치가 주요국 통화 중 미국 달러에 대해 일본 엔화에 이어 가장 많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루니는 13일 외환시장에서 미화 1달러에 대해 0.771센트로 거래됐다.

캐나다 달러의 한국 원화에 대한 환율도 2월 중순 이후 850원대 이하를 꾸준히 유지하고 있다. 특히 3월16일에는 817.15원까지 떨어졌었다. 

루니의 원화에 대한 환율은 특별한 요인이 없는 한 당분간 850원대 이하의 약보합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루니는 14일 한국 외환시장에서 834.88원에 거래됐다.  

캐나다 달러가 올 들어 이같이 취약한 변동선을 나타내고 있는 것은 미국과의 무역 갈등이 최고조에 달한 것이 주요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루니는 1월말 최고점을 찍은 후 미화에 대해 5% 이상 떨어졌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13일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올린 후 소폭 반등했지만 루니는 올 들어 외환시장에서 외환 딜러들이 매입하기 가장 꺼려하는 통화가 됐다. 

외환 전문가들은 “루니의 움직임이 외형적으론 별다른 규칙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 루니 약세는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타결 진통이 주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환율 결정의 몇 가지 주요 동인들과 *비동기화 현상을 보이고 있어 환율 전망 예측이 쉽지 않다“고 분석했다. 

또 전문가들은 “루니 약세를 강조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가 미국과의 경제정책의 차이다. 이에 따라 지난 주 보수당의 압승으로 끝난 온타리오 주총선 결과로 인해 최악의 상황은 피했다”고 진단했다. 

루니 가치 추세의 또 다른 주요 요인인 유가가 하향세 위험에 직면하면서, 가까운 시기에 루니가 미화에 대해 강세로 돌아설 것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유가는 5월 들어 배럴당 72달러 대까지 올랐다가 6월에는 65달러대로 하락했다. 

상당수 외환 전문가들이 “캐나다 달러가 미화에 대해 77센트 아래로 하락 압박을 지속적으로 받을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진단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반론을 제기하는 전문가들도 있다. 

그들은 “루니가 올 들어 구입할 매력을 잃은 것은 분명하지만, G10 통화 중에서 여전히 일본 엔화에 비해서는 하락폭이 낮은 상태다. 따라서 가장 거래를 꺼려하는 통화는 아니다. 정치적 배경과 교역관계가 매우 복잡해졌음을 고려하면 확실히 혼란스럽지만 지난 주 그린백(greenback: 미국 달러 지폐를 통칭)에 대해 보합세를 유지했다”고 주장했다. 

이번 주 G7 정상회담 이래 빚어진 모든 부정적인 교역 소식에도 불구하고 캐나다 달러는 미화에 대해 1%도 평가절하 되지 않았다. 

내달 연방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이 예상되고 있지만, 특정 돌발 변수가 아니라 경제 지표에 따라 인상 단행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지난 5월 일자리가 예상치 않게 7500여개 정도 줄면서 금리 인상 결정 여부가 더 어려울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측하고 있다. 

또한 추후 루니에 대해 주목할 점은 유로와 스위스 프랑을 포함, 다른 주요 통화들에 대해 약세를 보일지에 대한 여부다. 

현재 미국 달러가 상당히 과대평가되고 있음을 고려하면 루니는 다소 약세를 보일 것이 유력한 것으로 전망된다. 

결과적으로 루니는 상승세로 돌아서기 보다는 하락세를 지속할 가능성이 더욱 높아 보인다.

한편 올 들어 미화가 강세로 돌아서며 모든 주요 통화들이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주요 통화 바스켓에 대한 미국 달러 가치를 측정하는 미국 달러 지수는 올 들어 거의 2% 올랐다. 이는 지난해 약 10% 떨어진 것과 대조된다. 

*비동기화:수많은 상호작용이 다른 쪽의 진행 여부와 관계없이 각자 작동하는 것

김혜경 기자 khk@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한국, 캐나다 송금 10대 최다 등 전연령대 톱 5 차지
유학생 부모, 무역회사 등 환율 관리 주의해야
한국 원화가 캐나다 달러에 대해 마침내 900원대를 돌파했다.원화는 9일 외환시장에서 캐나다 1달러에 대해 902.02원에 거래됐다. 원화는 루니에 대해 연초 810원대까지 떨어졌다가 4월 들어...
CIBC 보고서, 미연준 금리 인하 따라 77센트 이상으로 오를 수도
캐나다 달러가 조금 강해졌다. 보도에 따르면 캐나다 달러는 최근 미국 달러 대비 76센트 이상으로 올라갔으며 미 연방준비위원회의 이자율 인하 결정과 시기에 따라 몇센트 더 오를 수도 있다. 루니화가 이렇게 강세를 보이는 것은 금리 인하 전망에 따른...
한국경제 약해진 기초체력-미중 무역전쟁 여파
원화 가치 가파른 추락...2달 동안 40원 떨어져
한국 원화의 캐나다 달러에 대한 가치가 두 달 만에 840원대에서 880원대로 40원 가까이 떨어지는 등 평가절하 속도가 가파르다.원화 가치가 한국경제의 부진과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으로...
캐나다인들 높은 부채-미국 높은기준금리 등 영향
연초 전망과 달리 미화 대비 71센트까지 하락 유력
캐나다 달러가 하반기로 갈수록 강세를 보일 것이라는 연초 전망과 달리 미화 1달러 대비 71센트까지 평가절하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조심스럽게 제기됐다. 이에 따라 수출입 업체를...
미화 대비 0.3% 올라... 미-중 무역회담 낙관 전망 영향
캐나다달러(이하 루니)가 지난해 12월 예상보다 높은 소매판매 지표 영향으로 크게 올랐다. 캐나다 통계청에 따르면 루니는 22일 오전 9시 38분 기준 외환시장에서 미화 1달러에 대해 75....
유가 하락 여파...미화 1달러 대비 75~77센트대 형성
한국 원화도 강세로 돌아서...840원대까지 하락 추세
캐나다 달러가 향후 2년간 약세를 벗어나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실제로 경제 전문가들은 최근 환율 예측에서 “유가 하락과 미국 달러의 강세로 인해 루니가 약세를...
“82센트대 7% 급등”-“78센트대 소폭 인상” 전망 엇갈려
북미 자유무역 협정(NAFTA) 타결이 캐나다 달러의 미화 대비 환율을 80센트대 이상으로 끌어올릴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사실 강력하지는 않지만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국내...
NAFTA 협상 난항- 유가 하락 등 영향... 미화 대비 0.77센트 한국 원화 대해서도 850원대 이하로 거래...약보합세 유지할 듯
올 들어 캐나다 달러 가치가 주요국 통화 중 미국 달러에 대해 일본 엔화에 이어 가장 많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루니는 13일 외환시장에서 미화 1달러에 대해 0.771센트로 거래됐다.캐나다 달러의 한국 원화에 대한 환율도 2월 중순 이후 850원대 이하를...
트럼프행정부, 무역전쟁 촉발로...원화 환율도 820원대로
미국 트럼프 정부의 수입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한 25%의 일괄 관세책정 발표와 함께 촉발된 무역전쟁의 공포가 캐나다 경제에 먹구름을 드리우면서 캐나다 달러가 미화에 대해 지난 5일 장중 77센트까지 하락했다. 이는 지난해 7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加 달러, 기준금리 동결로 약보합세...850원대 박스권 유지
연방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 캐나다 달러(이하 루니)가 미화 1달러 대비 78.19센트를 기록하는 등 소폭 하락했다. 이에 따라 한국 원화의 루니 대비 환율은 이날 외환시장에서 852.84원으로 10.54원이나 평가절상 되는 등 강세를 유지했다. 한때 루니에...
한국 송금자 부담 커져… 미달러엔 82.22센트로 강보합세 유지
캐나다 달러가 15일 외환시장에서 미화 1달러대비82.22센트로 전날과 비슷한 강보 합세를 이어갔다 미 달러가 예상하지 못한 소매판매 부진으로 약세로 돌아섰지만 캐나다인들의 2분기 가처분소득 대비 부채비율이 167.8%로 1분기 166.6%보다 소폭 증가하면서...
바닥 다진 유가에 수출기대로 가치 상승
루니(캐나다화 1달러)가 지난 11월말 이후 근 3개월만에 미화 75센트를 넘어 장마감했다.캐나다중앙은행 장 마감 공시가는 4일 루니에 미화 75.05센트를 기록했다. 대미환율로는 1달러33.24센트다.외환시장 분석 전문가들은 루니 가치 상승(대미환율 하락)은 국제유가가...
미화 75센트선 깨졌다가 복귀
캐나다 달러가치가 유가에 따라 하루 사이에도 롤러코스터를 타고 있다.   24일 장중 한 때 루니(캐나다화 1달러) 당 미화 75센트선이 깨졌다가 다시 선을 넘었다. 캐나다 중앙은행은 정오 공시에서 루니 환율이 미화 74.90센트라고 발표했다....
중국 증시 폭락에 자원화폐 가치 하락
캐나다달러 가치가 11년래 최저치를 보이며 이번 주 들어 요동치고 있다.  중국 증시 폭락 후 미국·캐나다 증시의 동반 하락이 국제자원가격을 낮추면서, 자원화폐인 캐나다화의 가치도 떨어지고 있다.  캐나다 중앙은행은 25일 루니(캐나다화 1달러)가...
20일 대미환율 1달러25.79센트에 장마감
캐나다 중앙은행 공시 장 마감 대미환율이 20일 1달러25.79센트로 전날 1달러27.26센트에서 1센트 이상 하락했다.루니(캐나다화 1달러) 기준으로 보면 미화 79.50센트로 전날 미화 78.58센트보다 근 미화 1센트 가량 캐나다 달러 가치가 올랐다....
유가 회복으로 캐나다 달러 가치도 다소 회복
루니(캐나다화 1달러)가치가 미화 80센트 선 아래로 내려갔다. 캐나다중앙은행은 26일 외환시장 마감 공시가로 대미환율이 1달러25.27센트, 루니 기준 미화 79.83센트라고 발표했다.26일 환율은 전날 대미환율 1달러24.23센트보다 1센트 이상 올랐다. 캐나다 달러 가치...
“가처분 소득 증가도 소비 늘린 힘”
민간 경제연구소 컨퍼런스보드는 최근 발표된 보고서를 통해 “금년 소매 업계 매출이 전년 대비 2.9% 늘어난 89억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예측했다. 미화 강세로 인해 캐나다 소비자들의 미국내 지출이 뜸해진 것이 국내 소매 매출을 끌어올린 원인 중 하나다....
“7월 무역 흑자 규모 26억달러로 늘어나”
캐나다 경제가 호조다. 본보 3일자 보도대로 올 2분기 GDP 성장률은 0.8%로, 지난 2011년 3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CIBC는 4일자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은 성장세의 배경으로 저금리와 캐나다 달러 약세를 지목했다. 다시 말해 저금리 기조가 깨지고 루니화가...
미화가치 일주일째 내림세
대미 환율이 캐나다와 한국에서 각각 내림세를 보였다. 달리 표현하면 캐나다달러나 원화 가치가 미화 대비 강세를 보인 것이다.3일 캐나다 중앙은행은 장 마감 대미환율을 1달러6.39센트로 공시했다. 전날 1달러6.67센트보다 하락했다. 루니(캐나다화 1달러) 기준...
26일 미화 93.4센트, TD전망은 3분기 89센트선
최근 캐나다 달러 가치는 오름세(대미환율 하락)를 보이고 있지만, 시중은행의 전망은 다르다. TD이코노믹스는 캐나다 달러 가치가 루니(캐나다화 1달러) 당 2분기 미화 92센트 선에서 3분기에 89센트선으로 내려간다고 23일 전망했다. TD는 분기별 경제전망 보고서를...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