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떡보 / 우주 한 채

김혜진 / 이영춘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8-07-04 12:29

김혜진 / 캐나다 한국문협 회원 


금요일 이른 아침 딸네미 등교시킨 후, 한인 상점에서 주간신문들 챙기고 간단한 장도 보고 돌아온 남편이 뭔가를 내 앞에 내민다. 밥 대신 떡을 즐겨 먹을 정도로 떡보인 나를 위해 “ 당신 떡 먹은 지 좀 됐지?”하며 모둠 떡과 백설기, 찰떡을 내미는 거였다. 남편의 작은 배려를 고마운 마음으로 물끄러미 바라보다가 아련한 추억이 가을비를 타고 가슴에 스며든다.
내가 여중생이었을 때 엄마 손을 잡고 외할머니를 뵈러 외삼촌 댁으로 가는 길은 늘 신이 났었다. 엄마는 언제나 떡집에 들러 외할머니께서 좋아하시는 김이 모락모락 나는 갓 쪄낸 찹쌀떡을 구수한 콩고물에 굴린 인절미와 동글동글한 오색 경단, 녹두 소나 팥 소를 넣은 반달 모양의 바람 떡 등을 사곤 했다. 그리고는 반가운 마음으로 한달음에 달려갔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하다.
나의 어린 시절 외할머니는 ‘호랑이 할머니’로 유명하셨다. 어릴 적 철없이 엄마 말 잘 안 듣던 맏딸인 내게는 말할 수 없이 따끔하고 무서우시지만, 지혜로우시고 마음은 한없이 따뜻하고 인정이 많으신 여장부이셨다.
내가 초등학교 6학년 무렵, 직업 군인이셨던 아버지가 부산에 해군 연대장으로 가시게 되었고, 얼마 후 엄마는 아버지 따라 저학년이었던 두 남동생을 데리고 부산 동래구로 내려가셨다. 나는 전학을 가면 다시 서울로 중학교 진학이 어렵다기에 외할머니와 서울 집에서 한동안 같이 살았다.
외할머니께서는 캐나다의 오타와, 토론토 두 딸네 집에서 오랜 타국 생활을 하시다가 얼마 전 그리운 고국 땅으로 돌아오셨다. 그리곤 눈에 넣어도 안 아프시다는 외 아들네에서 지내셨는데, 감사하게도 나의 거취 문제로 한동안 우리 집에서 나를 돌봐주신 것이다.
그때는 어린 마음에 호랑이처럼 무섭게 생기신 외할머니가 그리 살갑지도 반갑지도 않았다. 오랜 외국 생활로 외할머니께서는 영어도 곧잘 하셨고, 모든 일에 빈틈없이 야무지시고 현명한 분이셨지만. 어릴 적 외할머니와의 추억이 없었던 탓인지 나는 쉽게 곁을 내주지도 다가가지도 못하고 어정쩡한 상태로 얼마간 지냈다.
눈이 어두워지시고 손이 떨린다며 외할머니는 내게 편지 대필을 종종 부탁하셨는데, 그 서두는 언제나 “사랑하는 딸, 수야 모 보아라” 혹은 “사랑하는 막내딸, 쏘니아 모 보아라”로 시작했다. 외할머니가 쓰고픈 내용을 말씀하시면 나는 고대로 받아 적기보다는 문맥에 맞게 적당한 어휘를 선택하여 좀 더 정감 가는 내용을 파란색 항공 편지지에 써서 부쳐드렸다.
외할머니는 캐나다에 두고 온 두 딸과 사위들, 손주들을 많이도 보고 싶어 하셨다. 애타게 기다리시던 캐나다 큰이모와 작은이모의 답장이 도착하면 예외 없이 외할머니 용돈이 캐나다 달러로 두둑이 들어있었다. 편지를 읽어드리는 것도 내 몫이었다. 낭랑한 목소리로 감정을 실어 편지를 읽어드리면 빙그르르 할머니 두 눈에 그렁그렁 맺히던 눈물… 캐나다 달러 돈을 환전하는 날이면 외할머니께서는 내게도 넉넉한 용돈을 주셨다. 그래서였는지 아니면 그때부터 글쓰기를 좋아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외할머니의 대필 편지는 언제나 신바람 나게 써나간 기억이 난다. 나는 어릴 때부터 목소리와 글씨체가 예쁘다는 소리를 많이 들었고, 학교에서 쓰기 상은 언제나 도맡아 타는 상이었다.
경상남도 진주가 고향인 호랑이 외할머니가 좋아하시는 음식은 토속적인 한식, 그 중에 기억나는 것은 방아 나물 넣은 된장찌개랑 간장 양념에 볶은 가지 나물. 그때만 해도 어린 여자아이라 여러 종류의 나물을 그다지 좋아하지도 않았는데, 할머니의 밥상엔 가지 나물이 거의 빠지지 않고 올라왔다. 처음엔 떨떠름하던 맛이 차츰 나물 본연의 깊은 맛을 알아가며 가지 나물을 진짜로 좋아하고 잘 먹는 어린 소녀가 되어갔다. 또한, 방아 나물 넣은 독특한 향의 된장찌개도 제법 입맛에 맞아 마치 우리 사이처럼 특별했다.
그렇게 서로를 알아가며, 무서운 호랑이 할머니 얼굴에 가린 속 깊은 살가운 정을 느끼게 되고 차츰 가까워질 무렵 외할머니는 다시 외삼촌 댁으로 옮겨 가셨다.
외할머니는 지병인 고혈압과 당뇨병으로 오래 걷지를 못하셨고 가파른 오르막이라도 오르시려면 금세 숨이 턱 밑까지 차서 쌕쌕거리시는데 마치 삐삐 주전자가 끓을 때 나는 쇳소리를 내셨다. 그런 몸이 불편하신 외할머니를 뵈러 엄마와 같이 외삼촌 댁에 가는 길, 난 언제나 외할머니에 대한 속 깊은 고마움과 그리움에 발걸음을 재촉했었다. 떡보인 외할머니 덕분에 나도 떡을 여러 종류대로 맛볼 수 있었기에 훗날, 아니 이렇게 중년인 지금에도 떡을 그리워하며 사는지도 모른다. 보통 사람들이 잊지 못하는 맛, 어떤 특정 음식은 아마도 그 음식과 더불어 추억을 나눈 사람이 있어 오래도록 그 맛이 잊히지 않는 것은 아닐는지… 이곳 캐나다에서 들은 외할머니의 비보 그러나 외할머니는 아직도 내 맘 깊은 방 한 쪽에 살고 계신다.
떡은 솜씨와 정성으로 빚는 잔치 음식이라 한다. 다양한 종류의 떡은 대체로 찌는 떡인 증병과 치는 떡인 도병, 지지는 떡인 전병, 삶는 떡인 경단으로 크게 네 종류로 나눌 수 있다고 한다. 이병학 여행 전문기자의 서울 떡 박물관 기행문 중에서 발췌한 내용을 보면 아래와 같다.
[우리나라는 떡의 나라이다. 떡의 종류도 지역마다 천차만별이며 대략 200여 가지가 넘는다고 한다. 아기 백일 상, 돌상에 올라오는 백설기는 순수함과 장수를 뜻하고, 오색 송편은 아이가 품어갈 꿈을 상징한다. 붉은 수수 팥떡은 사악한 귀신을 물리쳐, 건강하게 자라라는 기원을 담고 있다. 명절 설날 아침, 한 그릇씩 비워야 나이를 한 살씩 더 먹는다는 떡국은 지금까지 자셔온 가래떡의 길이만큼 오래오래 살기를 염원하는 마음이 깃들어 있다]
우리 민족은 계절마다 절기마다 또한 생일날, 제삿날, 혼례식 등 잔칫날이면 수시로 떡을 빚고 쪄 먹으며 기쁨과 감사의 마음을 떡으로 나눴다. 가히 떡의 나라라 할 만하다.
어릴 적 호랑이 할머니와의 추억으로 버무려진 떡에 얽힌 행복한 기억 때문인지 나는 자다가도 떡이라면 벌떡 일어나는 떡보이다. 지금도 모닝커피 한잔에 곁들이는 떡 한 조각의 간단한 아침이 참 좋다. 수많은 떡 중에서도 요사이는 두텁떡, 제주 오메기 떡, 영양 찰떡, 약식, 떡볶이가 특히 좋다. 한동안 안 먹으면 먹고 싶어 찾아서 챙겨 먹을 정도이니 이쯤 되면 나도 떡보가 아닌가 한다.
가을비 소리에 생전의 호랑이 외할머니가 더욱 사무치게 그리워지는 계절이다.
문득 녹차와 더불어 먹는 떡 한 조각의 행복을 가슴 따뜻한 누군가와 나누고 싶다.

      


우주 한 채


이영춘 / 캐나다 한국문협 고문 


적막이 빈 집을 지킨다 
벌레 먹은 햇살이 기웃기웃 적막을 건드린다  
움칠, 긴 그림자 하나 
허공을 가른다 
땔감을 진 노인이 노을을 지고 돌아온다 
적막이 길게 하품을 하며  
노인의 품에 덥석 안긴다 
 
초가 한 채가 온통 우주를 흔든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달그림자 2020.06.15 (월)
강가에 쪼그려 앉아 물소리 듣는다은하에서 돌아 나와 강물 속에 이르는 길잠들지 못하는 물고기들이달꽃 흐르듯 물결 짓는다물고기 울음소리인가달빛 울음소리인가지느러미 파닥이는 소리에내 귀청 한 쪽이 무너진다강가에 쪼그려 앉아 나를 듣는다먼 길 돌아온 길, 돌아가야 할 길아득한 날개로 달에게 묻는다강물도 달빛도 말이 없다하얗게 부서지는 별 꽃처럼둥둥 홀로 떠가는 둥근 입술 하나신들이 놓고 간 죄의 씨앗 하나침묵의 신들이 하얗게...
이영춘
동화목(冬花木) 2020.03.09 (월)
                                                옷 한 벌 입지 않은 맨몸으로 빈들에 서서 떨고 있는 저 엄숙한 침묵, 시린 발, 시린 몸, 웅크리고 제 몸 비벼 봄을 틔우고 있는 저 심지의 환한 불길, 내가 가만가만 그에게 다가가 살짝 귀 대어 들어 보니 벌컥 벌컥 물 마시는 소리, 그 뜨거운 생불生佛의 열기 확, 내 몸에 불을 당긴다  
이영춘
가을 철암역 2019.10.07 (월)
오후 세 시의 그 꼭지점에서햇살이 길게 모로 누우면철길 저 너머에서 세 시를 알리는 기차는푸우-푹-푸우-푹 흰 연기를 토하며 달려오고열세 살 그 소녀는 누군가를 기다리듯, 혹 먼 이방의 한쪽 문을 그리워하듯산비탈 조그만 쪽문을 향해 아슬히 눈 멈추곤 했는데어느 날 도시락을 싸 들고 우리들 창자보다 긴 터널로 떠난 아버지는 돌아오지 않고공복인 듯 탄가루 먹은 하늘은 검은 연기로 쏟아지는데전설처럼 푹푹 쏟아져 내리는데아버지...
이영춘
겨울 편지 2019.01.04 (금)
흔들리는 바람의 가지 끝에서셀로판지처럼 팔딱이는 가슴으로 편지를 쓴다만국기 같은 수만 장의 편지를 쓰던 그 거리에서다시 편지를 쓴다그대와 나 골목 어귀에서 돌아서기 아쉬워손가락 끝 온기가 다 식을 때까지한 쪽으로 한 쪽으로만 기울던 어깨와 어깨 사이그림자와 그림자 사이그림자처럼 길게 구부러지던 길모퉁이에서뜨겁고 긴 겨울 편지를 쓴다오늘은 폭설이 내리고 대문 밖에서 누군가 비질하는 소리그 소리에 묻혀 아득히 멀어지다가...
이영춘
뿌리 2018.10.22 (월)
산 능선에 올라 앉아산 아래 바닥을 생각한다바닥은 하늘이 된다는 것을오르지 못한 것들의 바닥은 뿌리가 되고뿌리들은 땅의 기운이 된다는 것을오늘 하늘 능선에 올라 와서야 비로소 알았다어느 날 태백산에 올라와서야 알았다환웅은 바닥을 행해 내려온 하늘의 아들이라는 것을웅녀는 하늘을 받아 안은 땅의 딸이라는 것을하늘과 땅 두 손뼉 마주쳐 불꽃 튀는 사랑으로탄생된 제국,제국은 곧 바닥의 뿌리들이 모여 사는 곳바람의 숨결들이 모여...
이영춘
싸리꽃 핀다 2018.07.30 (월)
유월, 싸리꽃 핀다 어머니가 핀다 강원도 평창군 용평면 싸리재 언덕,어머니 오르며 산나물 뜯던 산비탈 언덕, 먼 산 중턱에서 나물 보퉁이 이고아지랑이 가물가물 어머니 싣고 온다 목숨 줄 가랑가랑 9남매 북두칠성에 맡기시고, 어머니 비바람 허리춤에 감추시고 싸리재 오르신다 싸리재 오르시다 싸리꽃 무덤이 된 어머니, 어머니 마른 정강이에 먼 산 뻐꾸기 목놓아 운다 울며 간다 나도 어머니가 아파 운다 오늘 밤 그 어머니 소식...
이영춘
떡보 / 우주 한 채 2018.07.04 (수)
김혜진 / 캐나다 한국문협 회원 금요일 이른 아침 딸네미 등교시킨 후, 한인 상점에서 주간신문들 챙기고 간단한 장도 보고 돌아온 남편이 뭔가를 내 앞에 내민다. 밥 대신 떡을 즐겨 먹을 정도로 떡보인 나를 위해 “ 당신 떡 먹은 지 좀 됐지?”하며 모둠 떡과 백설기, 찰떡을 내미는 거였다. 남편의 작은 배려를 고마운 마음으로 물끄러미 바라보다가 아련한 추억이 가을비를 타고 가슴에 스며든다. 내가 여중생이었을 때 엄마 손을 잡고 외할머니를...
김혜진 / 이영춘
지구 별 뒤편 2018.05.07 (월)
저기 저 등 구부리고 가는 이 누구인가그의 어깨엔 알 수 없는 그늘이 걸려 흔들리고강물 소리 강 언덕 저 너머로 멀어지는데길 잃은 새 떼들 겨울하늘에 원 그리며 간다나는 세상 안에서 세상 바깥에서문득문득 오던 길 되돌아보지만거기엔 움푹움푹 파인 발자국뿐발자국엔 빗물 같은 상처만 고여 길을 내고 길을 지운다풀잎 같은 목숨, 이 광활한 우주 한복판에서 먼지처럼 밀려가고 밀려오는 생, 생의 어깨들나는 어린 왕자 같이 마지막 지구별을...
이영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