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달 항아리

정목일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8-07-09 09:48

정목일 / 캐나다 한국문협 고문
  달 항아리를 보면 달빛의 맑은 도취 속에 빠진다. 달빛 속의 미인이나 꽃은 더 어여쁘고 향기롭다. 햇빛은 사물의 분명한 모습을 드러내지만, 달빛은 마음까지 닿아 오는 여운(餘韻)을 준다.
  달 항아리를 보면 불현듯 조선 중엽의 달밤 속에 있는 듯하다. 달은 농경시대에 우주의 중심, 마음의 한가운데에 있었다. 농사일이나 살아가는 일이 달의 주기에 맞춰 이뤄졌다 한국인의 마음속에는 보름달이 떠 있었다. 달은 해보다 유약해 보이지만, 마음을 끌어들이는 힘이 있다. 햇빛처럼 눈부시지 않고, 한없이 부드러운 세계를 펼쳐낸다.
  달 항아리는 장식이나 꾸밈이 없다 순백의 공간에 달빛의 충만이 있을 뿐이다. 텅 비어 있어서 적막감 속에 그리움이 밀려온다. 한국의 문화는 햇빛 문화라기보다는 달빛 문화가 아닐까. 햇빛 속에 환히 드러낸 당당함의 미학이 아니라, 달빛 속에 물든 은근함과 정갈함의 미학이다. 담백함과 순박함이 마음을 끌어당겨 오래도록 싫증나지 안는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다.
  18세기 중국은 박자 위에 녹ㆍ황ㆍ백, 삼채(三彩)와 청ㆍ황ㆍ홍ㆍ백ㆍ흑, 오채(五彩)의 화려한 채색 자기를 만들었다. 일본도 섬세하고 정교한 채색 자기를 만들었다. 한국인만은 도자기공예에서 고려 500년간 청색을, 조선 500년간엔 백색을 탐구했다. 세계에서 한국인만이 500년간에 걸쳐 청자와 백자를 만드는 데 모든 심혈과 역량을 쏟았다. 울긋불긋 휘황찬란한 대식(多色)을 외면한 채, 단색(單色)의 추구에 집중해 왔다.
  한국인의 미의식은 바깥으로 드러나는 치레, 장식, 과장, 기교 등의 의식보다는 본질의 탐구, 마음의 정화, 깨달음에 두고 있었다. 청색은 한 점 티끌도 묻지 않은 청정의 하늘, 백색은 고요와 맑음의 달밤을 담아 놓았다. 한국인의 마음은 우주와 영원의 세계에 닿아 있다. 달 항아리엔 화려하고 사치스런 것을 떨쳐 버리고, 영원의 발견과 마음의 정화를 보여 준다. 얼마나 마음에 묻은 때와 얼룩을 씻어 내야 텅 빈 푸른 하늘이 되고, 맑은 달밤이 될 수 있을까.
  조선시대 백자엔 민족의 마음을 담아 놓았다. 태어나서 흰 배내옷을 입고, 죽어서 입는 수의(壽衣)도 흰색이다. 한국인들은 유독 흰색을 선호해 왔다. 동서고금의 모든 장식들이 기교에 빠져들어 화려하고 사치스러운 면을 드러내지만, 조선 도자기는 단순하고 자연스런 형태 속에 소박하고 정갈한 미를 품어 낸다. 일체의 허식과 과장을 버리고 욕심을 비워 낸 바탕에 여백의 미가 흐른다.
  달 항아리는 달빛을 담아 텅 비어 있는 세계이다. 달빛만 있고 아무것도 보이지 않지만, 어디선가 대금 소리가 들리는 듯하다. 사뿐사뿐 정적을 밟고 임이 걸어오는 소리가 들리는 듯하다. 비어 있기에 보이는 마음의 세계이다.
달 항아리를 보려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보물 1437호,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국보 제310호 달 항아리를 만날 수 있다. 국보 제309호인 ‘백자대호(白磁大壺)’ (삼성미술관 리움 보관)는 높이 44cm, 몸통 지름 42cm 크기에 구연부가 짧고, 45도 정도 경사진 것으로 보름달처럼 보이나 완전한 원형은 아니다.
  보통 높이가 40cm가 넘는 것을 ‘달 항아리’라 부른다. 몸체의 윗부분과 아랫부분을 따로 만들어 붙인 다음, 높은 온도의 불 가마에서 굽기 때문에 접합부분이 변형되어 보름달처럼 둥근 형태로 나오는 경우가 드물다.
  달 항아리는 온전한 원형(圓形)이 아니다. 한족을 약간 비뚤어진 곡선이 흘러 들어 더 운치가 있고 여유가 있다. 좌우대칭의 완전한 곡선이 아니라, 흐름이 굽어져서 흐른 모습에서 장인의 손길과 마음까지 즐겁게 만든다. 보름달보다 열 나흘 날 달처럼 어느 곳인가 좀 비어 있는 듯한 모습이 마음이 마음을 끌어당긴다. 만월(滿月)의 완벽이 아닌 미완(未完)이 주는 여운이다. 앞과 뒤, 좌우가 빈틈 없는 원형이 아니어서 더 정겹고 구수하다. 어느 한쪽이 비스듬히 구부러진 데서 진솔한 멋과 소탈한 맛을 느끼게 한다. 빈틈과 여백이 있기에 보는 이가 마음으로 채워 가는 맛을 스스로 알게 해 준다.
  우리 선조들은 달 항아리를 왜 만들었을까. 달 항아리는 어두운 밤에도 마음이 부셔서 황홀해지는 달밤을 맞아들일 수 있다. 달은 말 없는 벗이 되고 대화자가 돼 준다. 우주 와 마주 앉아 오래도록 바라보며 소통할 수 있는 대상으로서 이보다 더 좋은 벗이 없다. 백색의 텅 빈 공간에 무한의 달빛이 내려와 있다.
  달 항아리는 단순함의 미학, 비움의 아름다움을 지녔다. 볼수록 정감과 그리움이 넘치는 달빛의 세계......달 항아리는 세계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한국인의 마음과 미학을 담아 놓은 도자기이다.
  달 항아리는 원만하고 안정감이 있다 평화롭고 순박하다 맑고도 고요하며, 점점 깊어지고 환해진다. 지상(地上)과 천상(天上)이 만나고, 찰나와 영원이 만나고 있다. 달 항아리엔 어떤 순간일지라도 때묻지 않고 순박한 삶을 살고자 한 선조들의 심성이 담겨 있다. 바라보면 달처럼 떠올라 무상무념(無想無念)의 세계에 잠길 듯하다. 삶의 발견과 깨달음의 미학을 담아 놓은 그릇이다. 한국인의 영혼과 한국 미의 정화(精華)가 담겨있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잎에게 2020.06.29 (월)
꽃들은 세상을 장식하지만잎들은 세상을 바꿔버린다꽃은 한순간의 영화잎은 세상의 빛깔꽃은 사랑이지만잎은 생명 그 자체꽃에 홀리곤 했지만그대는 언제나 나의 잎이었다
정목일
무관심 2019.12.11 (수)
글을 한 편 쓰면 아내나 아이들에게 슬며시 한 번 읽길 청한다. 반응을 보고 싶어서이다. 영국의대시인 쉴러도 밤새워 한 편의 시를 쓰면 가정부에게 읽게 하고 소감을 물어보았다고 한다. 시를모르는 가정부가 비평가의 안목일 수는 없으나 가정부에게 만족감을 주지 못한다면 좋은 시가 되지못할 것이라는 생각에서 반응이 신통치 않으면 몇 번이나 고쳐 썼다고 한다. 가족에게 글을 한 번 읽어 주길 청할 때, 첫 번째 독자라고 생각하기는커녕...
정목일
2019.08.26 (월)
심심하니 껌이나 씹어볼까. 여행하기 전에 가끔 껌을 사기도 했다. 입에 넣으면달콤해진다. 간편한 위안이다. 스트레스도 씹어본다. 딱딱, 쩍쩍, 그냥 심심풀이다. 사실심심풀이란 심오한 말이다. 잡다하고 혼탁한 마음을 풀어본다는 것이니, 그런 경지가 되려면명경지수(明鏡之水) 같은 심사가 돼야 한다. 마음의 때와 얼룩을 깨끗이 씻어내 영혼이 비춰보여야 한다. 마음에 매화 향기가 나야 한다.그냥 껌을 씹는다. 아무 생각 없이 입을 움직인다....
정목일
봄의 촉감 2019.04.04 (목)
(1) 수양버들누가 가야금을 뜯고 있다.맑은 진양조(調) 가락이 흐른다. 섬섬옥수가 그리움의 농현(弄絃)으로 떨고 있나 보다.숨죽인 고요 속에 번져 나간 가락은 가지마다 움이 터서 파릇파릇 피어나고 있다.누군가 촛불을 켜고 있다.마음 한 가운데 촛불은 바람도 없이 파르르 떨고 있다. 뼈와 살을 태워서 한 줄기 빛이길바라고 있다.깊은 밤중에 한 땀 씩 수(繡)를 놓고 있다. 바늘귀로 임의 얼굴을 보며, 오색실로 사랑을물들이면 별이 기울고 바람이...
정목일
하늘이 잿빛으로 내려와 있다. 버스정류장에 벌써 몇 대의 버스가 서고 지나갔지만 마을 앞엔 한 사람도 내리지 않는다. 도로 위에 돌개바람이 불어 먼지와 티끌들을 공중으로 말아 올린다. 겨울의 황량한 바람이 스쳐가고 있다.'어쩌면 첫눈이 내리려나?’숙이는 창문에 눈을 대고 바깥 풍경을 하염없이 바라본다. 감나무와 대추나무가심하게 흔들리며 바람 소리를 낸다. 참새 떼들이 몸을 떨며 공중으로 사라진다.숙이는 교회당에 가기 위해...
정목일
새해인사 2019.01.08 (화)
새해에는 평범함의 은덕을 알게 해 주소서 사소함의 기쁨을 알게 해 주소서 그 동안 못 만났던 사람들의 손을 잡게 해 주소서 보통의 즐거움을 갖게 해 주소서 풀꽃들과 대화하게 해 주소서일상의 발견과 이 순간의 깨달음을 얻게 하소서 떠오르는 해돋이처럼 경건하게 하루를 맞이하고 지는 해넘이처럼 장엄하게 하루를 장식하게 하소서 나무처럼 하루하루를 살게 하소서
정목일
한지방문 2018.11.02 (금)
우리 나라 아침은 한지 방문으로부터 온다.희끄무레한 여명이 물들어 있는 한지 방문을 보면서 아침이 온 것을 알게 된다. 한지 방문은정결하고 고요롭다. 세상에서 가장 먼저 밝아오는 아침의 서기와 명상이 어려 있다.유리창처럼 빛을 투과하지 않고 머물게 하는 것은 한지 방문밖에 없을 듯하다. 아침 빛을맞아들이고 그 표정을 보여줌으로써 평화와 맑음을 준다. 한지 방문은 빛을 품어 광명을 안게 한다. 지난날의 어둠과 근심을 지워버리고 새...
정목일
달 항아리 2018.07.09 (월)
  달 항아리를 보면 달빛의 맑은 도취 속에 빠진다. 달빛 속의 미인이나 꽃은 더 어여쁘고 향기롭다. 햇빛은 사물의 분명한 모습을 드러내지만, 달빛은 마음까지 닿아 오는 여운(餘韻)을 준다.  달 항아리를 보면 불현듯 조선 중엽의 달밤 속에 있는 듯하다. 달은 농경시대에 우주의 중심, 마음의 한가운데에 있었다. 농사일이나 살아가는 일이 달의 주기에 맞춰 이뤄졌다 한국인의 마음속에는 보름달이 떠 있었다. 달은 해보다 유약해 보이지만,...
정목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