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별똥의 노래

김춘희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8-08-21 17:09

김춘희 / 한국문인협회 밴쿠버지부
어렸을 때 나는 아주 내성적이고 용기가 없어서 동네에서 아이들과 잘 어울려 놀지 못했다. 오빠와 언니를 졸졸 따라 다니다가 놀이에 끼어줘야 놀았다. 그러나 한번 놀이에 끼어 한판하면 난 열심히 뛰고 숨고 신나게 놀았다. 엊그제 같은 옛날 이야기다.

 나는 이제 무슨 놀이를 하고 살고 있지? 가끔 내가 뭘하고 노는지를 살핀다. 놀이라기보다는 자투리 시간들을 어떻게 보내는가 하는 것이다.

 오늘처럼 아들 식구들이 모두 주말 캠핑을 떠나면 나는 홈얼론(영화 제목)으로 신난다. 영화의 어린 아이는 도독 잡느라 신나게 놀았는데, 나는 매일 산책을 함께 다니던 강아지 까지 캠핑 행을 했으니 정말 혼자다. 사교성이 많은 것 같지만 정작 나는 이런 시간에 차 한잔 먹자고 불러 낼 친구가 없다. 아마도 내가 너무 오래 산 탓인가! 더러는 세상을 떠났고 또 오랜 세월 살던 고향같은 몬트리올을 떠나 BC에 이사 와 사는 탓인지 딱히 차 한잔 하자고 허믈 없이 불러 낼 또래 친구가 없다. 오랜 만에 홈 얼론 하는 외로운 시간을 즐겨야 한다.

 큰 집에 덩그러니 혼자 있노라면 제일 먼저 나를 반기는 것은 고요함이다. 콤푸터 테이블에 앉아 눈을 감고 잠시 묵상을 하면 공기의 움직임을 듣는다. 또 전기가 흘러 전구에 빛을 주는 소리까지 듣는다. 아무것도 움직이는 것이 없는 것처럼 느끼지만 내 주위는 소리로 가득 차 있다. 음악이라던가 TV 소리 상자도 나에게 큰 매력이 없다. 뒷뜰로 나간다. 아직 어둠이 찾아오기 전, 뒷마당 의자에 앉아 시간과 공간을 잊고 그저 하늘을 본다. 소나무와 단풍나무 가지 사이로 휙 휙 벌새들이 왔다 갔다 신나게 논다. 벌새도 나처럼 주변의 소란함을 피하여 고요한 정적을 즐기나보다. 요 앙증스러운 벌새를 보려면 정말 고요 속에 잠심하고 가만히 앉아 하늘을 응시하며 어쩌면 내가 여기 앉아 있다는 사실 마저도 잊은 듯 그렇게 잠심해야만 볼 수 있다. 아이들하고 있으면 아이들의 삶 속에 어울려 나는 이런 고요의 바다 속에 들어 갈 재간이 없다.

 고독을 즐긴다고 하면 청승스럽다 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오늘 날 이렇게 많은 소리 속에 사는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아이 폰도 아니고 유튜브의 잡다한 이야기들도 아니며 더욱이 소리로 가득한 쇼핑몰 도 아니다. 우리에게 진정으로 필요한 것은 다시 나를 찾게 해 주는 고요함일 것이다. 바쁘게 살면서 아니면 소음 속에 살면서 내 안에 갇혀버린 아무도 닮지 않은 아무도 소유 할 수 없는 나의 귀한 자아를 찾아내는 작업이 있어야 하겠다. 그래서 고요함 속으로 들어가 자연과 어우러지면 그동안 숨 막히게 살고 있었던 진정한 나는 암울한 테넬을 벗어나 자유로운 영혼으로 벌 새 보다 아름다운 날개 짓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외로워 죽겠다고 한다. 외롭다고 말 할 정도면 병도 아닐 것이다. 대개 큰 사건, 에를 들면 총기 사건을 비롯한 큰 사건의 주인공들은 외로움을 스스로 인정하지 않고, 외롭다며 도움을 청하지도 않고 돌파구를 찾지 못하여 급기야는 사고를 치는 것이다. 죽기 전에 세상에 자기를 한 번 드러내 보고 알아 봐 달라는 겪이다. 어제는 미국에서 젊은이가 활주로에 정착한 소형 비행기를 타고 비행하다가 작은 섬에 곤두박질하여 자살한 사건이 발생하여 세상을 경악케 했다. 외로움 안에 갇혀 있다가 더 이상 참지 못하고 세상을 향하여 자기를 들어내는 수단으로 자살 비행을 한 것이다. 또 얼마 전에는 전 세계를 돌며 각국 희한한 토속 음식 소개를 하던 요리 비평가인 안토니 부르댕(Anthony Bourdain)이 호텔방에서 자살하여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아내도 있고 딸까지 있는 아버지요 남편이며 TV 음식 탐방을 휩쓸며 인기를 끌던 그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삶에서 더 이상의 위로를 어디에서도 찾지 못한 때문일 것이다.

 벌새들의 날개 짓을 보며 그리고 점점 짙어지는 어둠이 내려오는 밤하늘을 보며 고요함이 내 영혼에게 얼마나 유익한 약이 되는지를 알게 된다. 자살한 이들에게 그리고 특별히 안토니 부르댕에게 오늘 밤 이렇게 묻고 싶다. 진정 당신들은 삶을 사랑한 적이 있었는가? 저 벌새들이 날아다니는 하늘을 바라보며 정적을 즐긴 적이 있었던가? 밤하늘의 별똥 노래를 들으며 스스로에게 사랑의 노래를 불러 당신의 영혼을 위로 해 줄 수는 없었던가?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우리는 1974년 첫 딸이 두 살 쯤 되어 캐나다 이민 바람을 타고 몬트리올로 훌적 떠나 왔다. 캐나다가 어떤 나라인지는 대충 알았지만 할로윈이라던가 하는 이 곳 풍속을 전연 알지 못했다. 어떤 교회에서 저렴한 가격에 유아 방에 아이를 맡겨도 된다기에 딸 아기를 잠시 맡긴 적이 있었다. 아이가 너무 집에만 있으니까 ‘엄마 심심해“ 하며 아기 식으로 불평을 간간히 해 오던 차라, 유아 방에 가서 다른 아이들과 놀다 오라고 보냈던 것이다. 아이가...
김춘희
별똥의 노래 2018.08.21 (화)
어렸을 때 나는 아주 내성적이고 용기가 없어서 동네에서 아이들과 잘 어울려 놀지 못했다. 오빠와 언니를 졸졸 따라 다니다가 놀이에 끼어줘야 놀았다. 그러나 한번 놀이에 끼어 한판하면 난 열심히 뛰고 숨고 신나게 놀았다. 엊그제 같은 옛날 이야기다. 나는 이제 무슨 놀이를 하고 살고 있지? 가끔 내가 뭘하고 노는지를 살핀다. 놀이라기보다는 자투리 시간들을 어떻게 보내는가 하는 것이다. 오늘처럼 아들 식구들이 모두 주말 캠핑을...
김춘희
늙어서 사는 맛 2018.06.04 (월)
진정한 친구란 멀리 떨어져 살아도 늘 가까이 사는 사람처럼 가믐에 콩 나듯 전화해도 변치 않는 옛날 그대로다. 요즘은 세상이 좋아서 원하기만 하면 영상통화를 하거나 문자를 주고받으며 얼마든지 빠르게 소통한다. 그러나 진정한 친구는 요란스레 문자나 영상통화가 아니라도 그저 전화 한통이면 그거로도 족하다. 친구도 나이를 떡 먹듯이 먹어 치워 80이 휠 씬 넘어갔다. 70 때만해도 늙은 할머니가 뭘 그리 젊은 척하느냐고 늙음을 빈정댔더니...
김춘희
참새와 제비 2018.04.10 (화)
참 오래전에 캐나다 동부 몬트리올에 살 때의 우리 집 어느 해 여름 풍경이다.하필이면 제비가 왜 그 자리에 집을 지었는지 모른다. 우리 집 앞에는 큰 고목나무가 그 옆으로도 키가 큰 나무들과 마당을 감싸 안은 담쟁이 나무들 때문에 우리 집은 마치 숲속의 집 같은 분위기였다. 게다가 집이 단층이다 보니까 새들이랑 다람쥐들이 아주 겁 없이 우리 집을 넘보았다. 문을 열어 놓으면 다람쥐가 집안에 들어오려고 하질 않나 새들이 벽난로 굴뚝으로...
김춘희
박 선생 어머니 2018.01.22 (월)
한국문인협회 밴쿠버지부 회원 [김춘희]박 선생 어머니                                                             김 춘 희   거의 40년을 살았던 몬트리올을 떠나 밴쿠버로 완전히 이사 오기 까지 족히 3년은 걸렸으리라. 살던 집을 팔고 임시로 아파트에 살면서 일 년에 두세 번 밴쿠버 사는 아들 집을 왔다 갔다 했다. 그래도 남편이 가고...
김춘희
황혼의 노래 2017.04.15 (토)
카나다는 유럽보다도 더 크고 남북한을 합친 한반도의 45배 이상이나 되는 큰 나라다. 이렇게 덩치 큰 나라에 우리는 1974년 하필이면 퀘백주의 몬트리올로 이민 가서 40년을 거기서만 말뚝을 박고 살았다. 그러나 어느 날 남편은 먼저 하늘나라로 갔고 아이들도 모두 집을 떠나 독거로 살다가 아들이 있는 밴쿠버로 살림을 합쳐 산다. 돈 들여 여행도 하는데 나는 돈 들이지 않고 동부와 서부를 몸으로 살고 있으니 나쁘지 않은 황혼이다.몬트리올...
김춘희
올 해 도 어김없이 양귀비꽃과 함께 11월은 찾아왔다. 나는 어느 해 부터인가 11월이 오면 그 꽃잎을 사서 가슴에 달고 다닌다. 누가 시키는 것도 아니고 그저 그 꽃잎을 달면 누군가로부터 너도 달았구나! 너도 뭔가 위령의 뜻을 알고 있구나! 하는 말을 들을 것만 같은 기분으로 달고 다닌다.10월 마지막 날 잡귀들이 판치는 할로윈이 끝나면 다음 날부터 양귀비꽃이 제 철을 맞는다. 11월은 가톨릭교회에서는 위령의 달이라고 한다. 11월 첫째 날은 모든...
김춘희
어린 아이의 마음 2016.06.17 (금)
'마미 함니(할머니) 룩 앳 더 문, 와우!' 큰 손녀가 아직 3살이 되기 전이었다. 아들네와 함께 오카나간 근처 포도원이 여기 저기 산재한 아름다운 곳에서 몇일 바캉스를 즐겼던 어느 날 저녁이었다. 우리는 저녁 식사를 동네 식당에서 마치고 숙소로 가던 중 언덕을 바라보며 차가 올라가고 있었다. 어른들은 자기들끼리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하던 중 꼬마가 갑자기 함성을 지른...
김춘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