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단골 이발사

이현재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8-08-27 17:04

이현재 / 캐나다 한국문협
이민 와서 골치 거리 중의 하나가 머리를 깎는 일이었다. 주변에 이발소가 거의 없었고 몇
개 있던 미용실은 익숙지가 않았다. 한국에서는 한번도 미용실을 간 적이 없다. 이민 와서
처음 머리를 깎은 곳은 동네 타운 홈의 거실이었다. 거실 한쪽에 커튼을 치고 달랑 의자
하나와 거울 하나를 놓고 한국에서 미용 경력이 있는 아줌마가 알음알음 찾아 오는
사람들을 상대로 머리를 깎아 주곤 하던 곳이었다. 몇 년이 지나 이곳 저곳 한인이 운영
하는 미용실이 늘어 나서 선택의 폭이 넓어 졌지만 혼자 미용실을 찾는 것은 대단한 용기를
필요로 했다. 젊은 친구들은 이 말을 듣고 웃을지 모르지만 적어도 중년 이상의
남자들에게는 그러 했다. 그래서 아내가 머리를 하러 가는 날에 맞추어 뒤를 졸랑졸랑 쫓아
가고는 했다. 하지만 여전히 미용실 분위기는 낯설었다. 여기 저기 헬멧 같은 것을 뒤집어

쓴 채 수다 떠는 아줌마들 사이에서 갓 시집온 새색시 같이 얌전하게 의자에 앉아 빨리
끝나기만을 기다리고는 했다.
 나는 머리를 짧게 깎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옆 머리는 귀를 삼 분의 일쯤
덮어야 하고 뒤 머리도 약간 길어야 한다. 소위 바리깡이라는 것을 절대 사용 하지 않고
가위로만 머리를 자른다. 얼굴이 남들에 비해 작은 편이라 귀를 내놓을 정도로 짧게
자르면 볼품이 없고 얼굴이 더욱 작아 보인다. 아내와 딸들은 짧게 깎은 내 모습이 더 젊어
보이고 세련 되어 보인 다고 하는데 나는 아니다. 요즘은 남자든 여자든 작은 얼굴을 선호
하지만 젊은 시절 한때는 친구들에 비해 작은 얼굴이 컴플렉스 이기도 했다. 아내와 딸들은
나와 사진을 찍을 때는 나를 앞으로 밀어 낸다. 나 때문에 본인들 얼굴이 크게 나온대나,
어짼다나......그래서 나는 가족 사진을 찍을 때는 항상 앞자리에 자리 잡는다.
 십여 년 전 코퀴틀람 석세스에 볼 일이 있어 갔다가 나오는데 입구 쪽에 이발소 간판이
보였다. 마침 이발을 할 때가 되어 무작정 들어 갔다. 머리가 희끗희끗한 건장한 중년의
중국 아저씨가 이발을 하고 부인으로 보이는 아담한 중국 아줌마가 카운터를 보고 있었다.
그도 영어가 서툴고 나도 영어가 서툴렀다. 서로 투박한 영어로 소통한 후 너무 짧게 자르지
말라고 부탁을 했다. 습관처럼 바리깡을 집어 들길래 가위로만 손질 해 달라고 말했다. 나
같은 손님이 많지 않아 서인지 그의 손 놀림이 그다지 매끄럽지 않아 보였다. 조심 조심 머리
손질을 끝낸 후 소형 거울을 집어 내 뒤 모습을 비추며 어떠냐는 표정을 지어 보였다. 생각
보다는 모양이 잘 나왔다. 가격도 13불로 저렴했다. 2 불을 팁으로 주고 나왔다.
 두 번째 찾아 갔을 때 그는 나를 기억 했다. 그리고 묻지도 않고 알아서 잘 깎아 주었다.
쇼핑 몰의 주인이 홍콩 사람이라 입주 업체는 중국인이 대부분이었고 드나드는 손님들도
거의 중국 사람들뿐이었기 때문에 나를 특별히 기억 했던 것 같았다. 이발소를 찾아
다니는 걱정을 덜은 나는 십 년 째 그 집 단골이 되었다. 사람 좋은 그는 항상 웃으며 나를
반겼다. 영어와 한자를 섞어 쓰며 대략적인 의사 소통도 했다. 그는 중국 본토에서 왔고,
아는 사람 소개로 이 몰에 들어와서 10년째 이발을 하고 있다고 했다. 그의 아내는
무뚝뚝한 편이며 내가 아는 척 하기 전에는 먼저 아는 척을 하지 않았다. 무례하기 보다는
원래 성격이 그런 것 같았다.
 며칠 전 두 달 만에 이발소에 들렸다. 유리문 뒤로 낯선 아줌마 둘 이 왔다 갔다 하고 있다.
익숙했던 두 부부의 모습은 보이지 않아 순간 잘못 찾아 왔나 하고 착각을 했다. 멈칫거리며
들어 서서 주인이 바뀌었냐고 물어 보자 한 달 전쯤 자기들이 인수를 했고 전 주인은 연금을
탈 나이가 되어 리타이어 했다고 한다. 아무런 언질도 없이 떠난 그가 다소 야속했고 십 여
년 동안 이곳에 오면 붙박이처럼 있었던 두 부부의 모습을 앞으로는 볼 수 없다고 생각 하니
생소한 마음이 들었다. 어째 이곳에 오면 당연히 그들이 있어야 된다고 생각을 했을까? 사실

당연한 것은 아무것도 없는데 말이다. 서운한 마음과 함께 또다시 머리 손질을 설명 할 일이
걱정이 되었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이민기념일 2020.08.31 (월)
태어나서 가난한 건 당신의 잘못이 아니지만죽을 때도 가난한 건 당신의 잘못이다화목하지 않은 가정에서 태어난 건 죄가 아니지만지금 화목하지 않은 건 당신의 잘못이다 -빌 게이츠- 해마다 8월이 되면 이민기념일을 자축한다. 1997년 8월 19일 아내와 중3인 딸, 초등학교1학년인 딸, 이렇게 4식구가 밴쿠버 공항에 도착했다. 2시간여의 지루한 이민 수속을 마치고공항 로비에 나오니 민박집 주인이 플래카드를 들고 우리를 마중 나와 있었다. 당시...
이현재
유쾌한 한 해 2020.01.27 (월)
   천재 시인 김삿갓이 어느 마을 유지의 환갑잔치에 가게 되었다. 남루한 행색으로 인하여 처음에는 말석에 앉아 있었으나 김삿갓임을 알아본 큰아들이 상석으로 그를 안내한 후 축시 한 수를 부탁했다. 술 한 잔을 들이켠 후 김삿갓은 천천히 시 한 수를 읊었다.  "저기 앉은 노인은 사람 같지 않고   일곱 아들은 모두 도적이다."  좌중은 모두 대경실색했다. 더구나 김삿갓을 상석으로 안내한 큰아들은...
이현재
 약관 20세도 되지 않은 나이에 김두한은 주먹세계를 통일했다. 전국의 내로라 하는 주먹들을 찾아다니며 이른바 도장 깨기를 시도한 끝에 주먹 황제로 등극했다. 그런 김두한도 이기지 못한 상대가 한 사람 있었으니 바로 시라소니라 불리는 이성순이다. 만주를 평정하고 내려온 시라소니가 김두한에게 결투를 신청했다. 그러나 이 대결은 성사되지 않았다. 시라소니를 처음 본 김두한은 결투하지 않고 바로 형님이라고 불렀다....
이현재
아침 짓기가 괴로워서 굶는 일은 결코 없었다.귀찮음 때문에 나 자신을 배곯길 수는 없는 일이었다.또한 적당히 끼니를 때우는 일도 없었다.그건 나에 대한 결례이기 때문이다. 내가 나 자신을 하찮게 여기는데 누가 나를 귀하게 대해줄 것인가 (김남조)  옷장을 열어 보니 입지 않는 양복이 가득하다. 이민 올 때 가져온 것들이니 족히 이 십 년은지난 옷들이다. 유행이 지나도 한참 지났다. 한국에서는 양복이 일상복이었다. 평일은...
이현재
단골 이발사 2018.08.27 (월)
이민 와서 골치 거리 중의 하나가 머리를 깎는 일이었다. 주변에 이발소가 거의 없었고 몇개 있던 미용실은 익숙지가 않았다. 한국에서는 한번도 미용실을 간 적이 없다. 이민 와서처음 머리를 깎은 곳은 동네 타운 홈의 거실이었다. 거실 한쪽에 커튼을 치고 달랑 의자하나와 거울 하나를 놓고 한국에서 미용 경력이 있는 아줌마가 알음알음 찾아 오는사람들을 상대로 머리를 깎아 주곤 하던 곳이었다. 몇 년이 지나 이곳 저곳 한인이 운영하는 미용실이...
이현재
진안대군 2018.01.17 (수)
진안대군이현재 / 캐나다 한국문협 회원연말 연시를 맞이하여 본인의 뿌리를 돌아 보는 것도 뜻 깊은 일이라 생각 된다. 나는 어디서 와서 어디로 흘러가는 것일까? 특히 이민 일세대인 경우는 우리 자신이 앞으로 캐나다에서 뻗어 나갈 우리 후손들의 시조가 되는 셈이기에 말이다.족보(族譜)의 사전적 의미는 한 족속의 계통과 혈통 관계를 밝혀 놓은 책이라고 정의 하고 있다. 이민 초기 애들이 학교에서 가족의 뿌리에 대해서 설명하라는...
이현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