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내 마음 줄까요?

윤의정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9-02-12 14:56

윤의정 / 캐나다 한국문협 회원
나는 아마도 짜증이 몹시도 났나 보다. 육아에 지쳐서, 타지 생활이 버거워서 나도 모르게 날이 선
상태의 나날이었던 것 같다. 그래서 나도 모르게 별거 아닌, 아주 작은 일에 바르르 화가 나서 목청을
높였다.

“조용히 해!”

아들 둘이 함께 욕조에 들어가 까르르 대며 노는 모습이 정겨워야 하는데, 무척이나 신경에 거슬리고,
답답하고, 불쾌하기까지 했다. 무엇인지 모르지만 가슴속에서 자꾸 고요한 평화 따위를 바라는, 설명할
수 없는, 불 같은 마음이 일었다.
수 차례 조용하기를 종용하는 나의 마음과 행동, 그와는 다르게 아이들은 아랑곳하지 않고 계속
떠들어댔다. 점점 더 소리는 커져갔다. ‘하하 호호, 끼야’ 가라앉아가는 나와는 다르게 아이들은 하늘
어딘가를 떠다니는 듯 흥겹기만 했다. 그럴수록 통제할 수 없는 기분이 되어가던 나는 애꿎은
접시들에 화를 내 듯 수세미를 잡은 손에 힘을 주어 박박 문질러 댔다. 첨벙첨벙 구정물들이 앞치마에,
소매에 튀었다. 어떻게 해도 달래지지 않는 마음에 다시금 고개를 화장실 방향으로 휙 돌려 못된
마음을 토해냈다.

“조용히 하라고 했지!”

다시 한번 소리를 높였다. 가슴 아래서 끌어낸 숨을 내뱉으며 아주 크고 길게 호흡을 모아썼다. 이번엔
들리겠지. 이제는 조용해지겠지. 그런 마음에 소리를 질러 댔다. 어찌 보면 아이들보다도 더 큰 소음을
만들며 기어이 집 안에 평화를 만들고 싶었는지 모르겠다. ‘저 소리보다 더 큰 소리로 이 공간을
어떻게 든 조용히 만들리라’ 나는 그런 의도였나 보다.
그러나 아이들은 신경을 쓰지 않는 것인지, 샤워기에서 떨어지는 물소리에 소리가 묻혀 들리지 않는
것인지 아랑곳하지 않고 더 더 시끄럽게 떠들어댔다. 아무런 소용도 없이, 애써 힘을 들인 것은 전혀

의미가 없었다. 가슴에서 질러댄 소리 때문에 작은 통증만 남아, 짜증에 고통이 더해졌을 뿐. 기분만
나빠질 뿐. 점점 고조되는 흥과, 점점 짙어 지는 패배감만 대비되어 갈 뿐. 설거지를 하는 나 자신
스스로에게까지 화가 미칠 정도로 주체할 수 없는 감정이 나를 사로잡았다.
쿵쾅쿵쾅. 아이들을 향해 일부러 발바닥에 힘을 실어 위협적인 걸음을 뗐다. 화장실로 향하는 동안
웅얼대던 소음들이 언어가 되어 귓가에 들린다.

“이번엔 내 차례야!”
“이야! 재미있지?”

무엇이 그리도 재미있는지, 신이 났다. 욕조로 다가가 샤워 커튼을 걷었다. 얼굴에 웃음을 가득 담은
아이들이 서로 등을 밀어주며 재잘대고 있었다. 거품을 만들어 이리저리 묻히며, 웃음을 터트리더라.
비눗방울이 하나 터지면, 그와 함께 웃음이 하나 터지며 아이들은 행복하더라.
아이들의 얼굴을 보니, 문득 내가 왜 그리도 성이 났고 아이들에게 소리를 질렀는지 예기치 않은
허무함과 후회가 밀려왔다. ‘대체 왜? 나는 그렇게?’ 도무지 답을 찾을 수 없더라. 그리고 욕조 안에
물기를 머금은 작은 아이들이 무척 부럽더라. 도대체 아이들은 어찌 저리 행복하기만 할까? 어찌 저리
기쁘기만 할까? 커다란 나는 이다지도 메말랐는데.

“뭐가 그리 즐겁니? 엄마도 좀 같이 즐겁고 싶다.”

몇 초 전 전쟁이라도 치를 듯, 발을 구르며 다가갔던 것과는 달리, 의식하지도 못한 채 부드럽게
누그러진 말이 나갔다. 정말로 부러움을 실어 아이에게 진심을 전했다.

“엄마도 즐겁고 싶어요? 엄마에게 내 마음 좀 줄까요? 자, 여기요!”

5살짜리 막내 아이가 맑게 웃으며 자신의 가슴에서 작은 손가락으로 마음을 꺼내 내 손바닥에 전한다.
고맙더라. 그리고 한편으로 부끄럽고 또 슬펐다.

“고마워.”

목이 살짝 메었는지도 모르겠다. 수증기가 눈에 함께 어려 아이가 웃는 얼굴이 뿌옇게 비치더라.
참으로 못난 엄마다. 참으로 성질머리 고약한 엄마다. 아이들이 행복한 꼴이 눈에 시렸는지, 아니면
무엇에 그리도 화가 났었는지. 부족함에 차마 흘리지 못한 눈물을 삼켰다.
아이들은 나보다 더 크고 더 넓더라. 어른이지 못해 미안하다. 아이들의 마음을 나눠가진 나는 그날
누구보다 따뜻한 밤을 보냈다. 다음엔 내가 이 마음을 키워 아이들과 나누리라. 그렇게 생각하며
아이가 나눈 마음의 씨앗을 가슴에 꾹꾹 심어 두었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내 마음 줄까요? 2019.02.12 (화)
나는 아마도 짜증이 몹시도 났나 보다. 육아에 지쳐서, 타지 생활이 버거워서 나도 모르게 날이 선상태의 나날이었던 것 같다. 그래서 나도 모르게 별거 아닌, 아주 작은 일에 바르르 화가 나서 목청을높였다.“조용히 해!”아들 둘이 함께 욕조에 들어가 까르르 대며 노는 모습이 정겨워야 하는데, 무척이나 신경에 거슬리고,답답하고, 불쾌하기까지 했다. 무엇인지 모르지만 가슴속에서 자꾸 고요한 평화 따위를 바라는, 설명할수 없는, 불 같은 마음이...
윤의정
훔쳐내다 2018.09.17 (월)
“아야, 여기 좀 걸레로 훔쳐라.”어린 시절 징그럽게 나를 따라다니던 망령과도 같은 말이다. 쪽진 머리의 할머니는꽤 자주 저렇게 명령을 하시곤 했다. 그것도 나와 내 여동생에게만. 어른이 말하는데토를 달수야 없으니, 어기적 기듯이 걸어가 할머니에게서 걸레를 받아 들어야만 하는게 일상이었다. 맞벌이인 부모님 대신 할머니께서 우리 삼 남매를 돌보아 주셨는데,나는 할머니와 지극히 사이가 나빴다. 여러 이유가 있지만, 그 중 하나가 바로...
윤의정
현관 등을 갈다 2018.05.07 (월)
현관에 등이 나갔다. 센서 등인데, 집 안에 있을 땐 전혀 불편함이 없다. 들어오는 순간, 그리고 나가는 그 순간에만 깜짝 놀랐다. 어둡다. 신발을 신으러 혹은 벗으러 들어선 현관에 불이 들어오지 않아 깜깜하니 답답하기 이를 데 없다. ‘아, 등 갈아야겠다.’   그래도 집 안에 들어온 이후로는 신경이 쓰이지 않는다. 등을 갈아야 한다는 사실은 잊어버린 채, 내 일을 하기 바쁘다. 아니 실은 회사를 그만둔 지 얼마 되지 않은 터라, 남는...
윤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