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어머니의 냄새

김춘희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9-04-04 17:14

김춘희 / 한국문인협회 밴쿠버지부
나에게 어머니는 어떤 분이셨을까?
위로 오빠와 언니 그리고 내 밑으로 줄줄이 동생이 넷이 있었던 나에게 엄마는 없고 어머니만 있었다. 말 배울 때부터 엄마라는 단어를 몰랐다. 어머니, 엄니 는 있었지만 엄마는 없었다. 내가 고등학교에 다닐 때쯤인가, 어머니가 후회스럽게 말씀하시는 것을 들었다. 너무 엄하게 아이들을 길렀더니 엄마 소리도 못 한다고. 그 후 우리 형제들은 오빠와 나를 빼고는 모두 어머니가 아니라 엄마라 불렀는데 나는 엄니란 단어에 묶여서 평생 엄마라 불러 보지 못했다. 아무리 엄마라 불러보고 싶었지만 입에서 나오지 않았다. 내 위 언니도 엄마라 불렀는데.....
나는 동생들이 여럿이다보니 어려서부터 어른들에게 늘 칭찬 받는 착한 아이여야 한다고 생각했던 모양이다. 동생들이 부모님에게 꾸중을 들을 때마다 나는 맘속으로 다짐했다. 나는 절대로 꾸중 들을 일을 하면 안 된다고. 그래서 숙제는 물론 모든 일을 나 혼자 처리했다. 그렇게 하는 것이 내가 어른들의 사랑을 독차지 하는 방법인줄 알았다.

자랄 때 우린 형제들이 많아서 우리 여자 형제들은 늘 한 이불에 합숙을 했다. 내 이불이 따로 없었다. 한국 전쟁 후 우리는 참으로 가난하게 살았다. 때로는 어머니가 우리들과 함께 누워 주무실 잘 때도 있었다. 그러면 내 동생들은 서로 어머니를 차지하려고 엄마 가슴으로 몰려 들어갔다. 젖도 만지고 손도 만지고 서로 엄마를 차지하려고 밀치고 떼밀고 엄마 품으로 기어들었지만 내게는 엄마의 품은 언감생심 이였다. 그것은 동생들의 차지였으니까. 그러면 나는 이불 밑으로 들어가 거꾸로 누워서 어머니의 발뒤축을 만지작거리며 잤다. 딱딱하게 군살이 백인 어머니의 발뒤축이 뭐 그리 좋았는지 모른다. 가끔 어머니는 혼자 말로 ‘내 발 뒤축이 뭐 그리 좋을꼬..“ 하셨는데 나는 그게 왜 그리 부끄러웠는지 모른다. 그렇지만 또 그 다음에도 어머니가 우리 이불 속으로 들어오시면 스스럼없이 아무도 엄니의 발뒤축에까지 내려 올 동생이 없으니까 맘 놓고 발쪽으로 거꾸로 누워 엄니 발뒤축을 만지작거리며 잤다. 동생들 때문에 어머니와의 스킨십이 거의 없었던 나에게 유일한 스킨쉽의 기회였다.
나는 또 어머니의 체취를 좋아해서 ’ 엄니 냄새가 참 좋아요‘ 라고 하면 어머니는 별 말씀이 없으셨지만, 나를 기특해 하시며 ’어느 놈도 어미 냄새 좋다는 놈이 없는데 저것은 어미 냄새를 잘 맡는다.‘ 하시며 칭찬 비슷한 말씀을 하시곤 했다.
난 좀 부끄러웠지만 나만이 엄니의 냄새를 맡을 수 있다는 사실에 무척 흐뭇해했었다. 아무도 빼앗아 가지 못하는 나만의 특허 냄새였으니까. 나는 어머니에게 사랑한다는 말도 할 줄 몰랐고 더욱이 어머니 품에 안기고 어리광 부려 본 적도 없었다. 그냥 의젓하고 믿음직한 딸이었다.
몬트리올로 이민 온 후 7년 차 되었을 때 부모님께서 우리가 어떻게 사는지 궁금하시다 며 방문 오신 적이 있었다. 한 달을 계실 때 나는 지극 정성으로 모셨다. 물론 그 때도 엄니였다. 주위 분들이 ‘은정 엄마 시어머님이셔요?’ 하면 ‘아뇨. 친정어머니에요’. 내 대답이 의아하다는 표정이다. ‘정말 친 어머니셔요?’ ‘그럼요. 저 울 엄니 둘째 딸이에요.’ ‘어머니가 엄하신가봐.’ ‘아뇨 우리 어머니 아주 따듯하신 분이에요.’ 말끝마다 어머니 라 하니 모두들 놀라는 눈치였다.
어머니가 한 달을 함께 보내신 후에 ‘너희들 사는걸 보니 맘이 놓인다. 나도 젊었으면 여기 와서 살고 싶구나!’ 하시고 한국으로 다시 떠나셨다.
어머니가 떠나시던 날 아침 나는 왜 그리 바빴는지. 가실 때 점심으로 드실 김밥거리를 다 사다놓고는 정작 떠나시는 날 아침 너무 분주해서 그냥 보내 드렸다. 그리고는 한 달을 훌쩍 거렸다. 가실 때 안아 드리지도 못하고 잘 가시라 인사만 하고는 그냥 돌아 섰던 것이 후회스러웠다. 나는 참으로 바보였다. 두고두고 내가 미워서 한 달을 훌쩍였던 것이 벌써 40년이 되었다.
이제는 손녀들에게 할머니 냄새라도 풍기며 살아야 할 것이다. 가끔 손녀들이 할머니 스멜 굿! 할 때가 있다. 그러면 내 엄니에게 못 다한 스킨 쉽을 손녀들에게 해 준다. 할머니 뽀뽀 ! 이쪽 뽀뽀 ! 저쪽도 뽀뽀!
엄니의 냄새는 지금도 내게는 값지고 진한 마음의 고향이 되어 오늘도 우리 손녀들 머리에 축복의 향수를 뿌려 준다.
저승문에 다 와서야 늦철이 들었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고백하자면 나는 악보도 제대로 읽지 못한다. 그러나 부엌일을 하거나 단순한 손 일을 할 때 클래식 음악을 즐겨 듣는다. 음악을 들으며 일하다 보면 시간 가는 줄도 힘든 줄도 모른다. 음식을 골라 음미하는 미식가 같은 진정한 음악 애호가는 아니지만 그저 클래식을 좋아하는 편이다.. 쇼팽, 모차르트, 바흐, 두루두루... 마음이 울적하면 아베마리아를, 단풍이 질 때는 비발디를 , 그때 그때 마음 내키는 대로 듣는다. 몬트리올에서의 이야기다....
김춘희
  용인 가는 고속도로에서 수원가는 표지판이 눈에 띄고서야 문득 수원 양로원에 있는 요안나가 생각났다. 아! 수원이구나! 요안나가 있는 수원이구나! 내가 너무 무심했구나!      우리 일행은 용인에서 다른 가족팀과 합세하여 다음 날 전주로 떠나기로 하고 용인 라마다호텔에 묵었다. 한국을 떠나 반세기를 캐나다에서 살아온 세월 때문에 용인과 수원이 인접해 있다는 사실을 전연 모르고 있었다. 나는 한국어를 하는 이방인이다....
김춘희
   지난해 추수 감사절 다음 주, 제주도 앞 바다에서 들개처럼 방황하던 캠퍼를 구해 준  이효리씨와 그의 친구 인숙 씨가 우리 집을 방문했다. 그녀들은 우리 집에서 1박을 부탁했고 터키 디너도 가능한지를 문의해 왔다. 전 주에 우리는 이미 추수 감사절 터키를 먹었지만, 그들을 위해서 아들 내외와 가까이 사는 딸이 기꺼이 준비했다. 그때 나는 목소리가 안 나올 정도로 편도선을 앓고 있었기에  정중한 인사와함께  아이들과...
김춘희
  마지막 한 장 달랑 남은 2022년 달력은  더 이상 시간을 버티지 못하고 2023년 새 달력에 자리를 내 주어야만 한다. 월말이면 어김없이 한 장씩 넘기다가 오늘은 12번째 막장을 내린다. 새 달력을 걸어 놓고 이제 막 내려놓은 낡은 한해를 한 장씩 훑어 본다. 크고 작은 일들이 어제 일처럼 펼쳐진다.  내 산책 견이 강원도 강릉에서 비행기를 타고 밴쿠버 공항에 도착하여 마중 나갔던  일, 형제들의 방문, 아이들과 여기저기 여행했던...
김춘희
코로나 바이러스로 막혔던 하늘길이 열리면서 별러 왔던 동생들의 방문길도 열렸다. 혼자 사는 큰동생과 막내 부부가 서로 때를 맞추어 드디어 나를 찾아 주었다. 8월은 분주한 달이었다. 아들 집 아래층(Suite in law)에 사는 나의 조용한 공간이 형제들의 만남으로 꽉 찼다. 거동이 불편한 큰동생의 방문은 어렵사리 준비한 여행이었기에 뜻깊었고, 미국에서 찾아온 막내 부부의 방문은 여의찮은 형편에서 용단을 내린 여행이었기에 감사할 일이었다....
김춘희
대구떼의 수난 2022.06.20 (월)
유네스코가 지정한 관광지 가스페 반도(Gaspé)는 우리가 1980-90년 사이에 여름마다 찾아갔던 여름 휴가지이다. 몬트리올에서 생 로랑(St-Laurent) 강을 왼쪽으로 끼고 북쪽으로 올라간다. 한나절 드라이브 길에 벌써 바다 냄새가 코 끝을 스친다. 바다와 강이 만나는 대서양 어귀에 리무스키(Rimouski)라는 큰 도시가 나온다. 여태껏 보아 왔던 경치와는 사뭇 다르다. 바닷가 근처에 새우나 조개 같은 어패류의 롤 샌드위치를 파는 간이 판매소가 여기저기 눈에...
김춘희
뿌리 내리기 2022.05.25 (수)
4월이 오면 나는 봄바람이 난다. 물병과 아이폰을 챙겨 넣은 망태기를 어깨에 메고 나 만의 산책길을 향해 집을 나선다. 재작년 옮겨 심은 참나물 뿌리가 제대로 잘 자라주면 좋겠다는 바램과 설레임으로 발걸음이 빠르다. 메이플 리지 동네 듀드니 길로 올라 오다가 230 가에서 오른 쪽으로 들어가면 작은 공원이 있다. 공원 옆으로 잡풀을 헤치고 어렵게 안으로 들어가면 아늑한 공간이 나온다. 마치 나를 위한 참나물 밭처럼 파란 참나물이 무리지어...
김춘희
골목안의 풍경 2021.07.26 (월)
김춘희 / (사) 한국문협밴쿠버 지부 회원  우리 집은 막다른 골목 안에 있다. cul-de-sac(컬드싹), 한번 들어가면 나갈 길이 없다는 골목길. 나는 이 길을 주머니 길이라 명명(明明)한다. 주머니길! 얼마나 정 다운 이름인가.  작년 펜데믹이 시작되던 즈음에, 골목 어귀 한 쪽의 숲을 갈아 없애고 자그마한 어린이 놀이터가 있는 공원이 생겼다. 이 골목길의 아이나 어른들은 저녁을 먹고 나면 공원에서 공도 차고 나...
김춘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