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국제] 北, 미사일 발사 후 "韓 중재자 매달리면 더욱 난처해질 것"

밴조선에디터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9-05-06 11:20

北, '신형 전술유도무기' 발사후 '과학기술발전 총력' 선전
韓엔 "외세추종, 북남관계 파국" 경고
김정은 "오늘의 승리 자만하지 말고 과학기술 중시 정책 관철해나가야"

북한이 단거리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신형 전술유도무기' 등을 발사한 뒤 선전매체를 통해 과학기술과 자력갱생을 토대로 한 대외 투쟁 의지를 피력했다. 단거리 미사일 발사 후 과학기술 발전 노선을 부각하고 나선 것은 하노이 미·북 정상회담 결렬 이후 미·북 협상이 교착 국면에 빠진 상황에서 군사적 도발을 통해 내부결속을 강화하겠다는 의도란 분석이 나온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6일 '과학기술의 위력으로 사회주의 건설의 일대 양양기를 열어나가자'는 제목의 1면 사설에서 "김정은 동지께서 '우리는 오늘의 승리에 자만하지 말고 당의 과학기술 중시정책을 계속 철저히 관철해나가야 한다'고 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신문은 "당의 영도에 따라 우리의 힘과 기술, 우리의 자원으로 사회주의 강국을 기어이 일떠세우려는(일으켜세우려는) 우리 인민의 강력한 지향과 불굴의 투쟁 기세는 그 무엇으로써도 막을 수 없다"고 했다. 신문은 특히 "오늘의 투쟁은 과학기술에 튼튼히 의거하고 과학기술의 위력으로 높이 세운 목표를 점령해가는 과학기술 대진군"이라며 과학자들이 "당중앙과 뜻도 숨결도 발걸음도 함께 하는 참된 혁명동지, 열렬한 애국자"가 돼야 한다고 했다.

신문은 또 "오늘 우리 앞에 나선 투쟁과업은 방대하고 우리의 전진을 가로막는 애로와 난관은 적지 않다"면서 "만난을 뚫고 이미 이룩한 승리를 더 큰 승리로 이어나가기 위하여서는 자체의 과학기술력을 강화해 나가는 길 밖에 다른 길이란 있을 수 없다"고 했다. 노동신문은 이날 '정세 논설'에서도 "적대세력들은 어떻게 하나 우리가 가는 길을 돌려 세워보려고 필사적으로 발악"하고 있으나 "우리는 눈썹 하나 까닥하지 않는다"고 했다.

북 선전매체들은 한국 정부를 향해서는 남북공동선언 이행에 관한 의지 부족을 거론하는 등 비난을 쏟아냈다. 대남 선전 매체인 '우리민족끼리'는 "외세와 그에 추종하는 반통일세력의 책동"으로 "엄중한 정세가 조성되고 있다"면서 "외세와의 공조로는 결코 북남관계를 개선할 수 없으며 북남관계를 기필코 파국으로 몰아넣게 된다는 것은 지나온 역사가 보여주는 심각한 교훈"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남조선당국이 사대적 근성과 외세 의존 정책에 종지부를 찍을 대신 계속 부질없는 '중재자' 역할에 매달리려 한다면 자기들의 처지를 더욱 난처하게 만들뿐"이라고 주장했다.

대외 선전매체인 '메아리'도 "말로는 북남선언들의 이행을 떠들면서도 밖으로는 외세의 비위를 맞추고 안으로는 보수세력의 눈치를 보며 북남선언 이행을 회피한 남조선당국의 온당치 못한 태도" 가 한반도 정세 악화의 "근본 원인"이라며 '민족자주' 달성을 위한 역할을 했다.

한편, 노동신문은 이날 '규탄받는 평화파괴행위' 제하 정세 논설을 통해 최근 주한미군의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전개 훈련을 강하게 비난했다. 신문은 사드 훈련을 "조선반도의 평화분위기를 해치는 도발행위", "공공연한 위협공갈", "반공화국적대행위"라고 했다.

변지희 기자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5/06/2019050600731.html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