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Arlington 사람들 이야기

김유훈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9-09-09 11:07

김유훈 / 한국문인협회 밴쿠버지부

내가 하는 일은 카나다에서 생산되는 물건을 미국으로 보내고 다시 미국의 제품들을 카나다로 갖고 오는 일이다때문에 미국 국경을 넘나드는 일은 이제 나의 일상이 되었다그리고 미국의 고속도로와  주변의 환경은 매우 친숙하여  나라 같지 않다내가 자주 다니는 곳이 I-5고속도로 Exit 208 이며   지명이 Arlington이다미국의 기름 값이 카나다 보다  30% 정도 싸기 때문에 많은 트럭 운전사들이 이용하고 있다.

오랫동안 이곳을 다니다 보면서 여러가지를 눈여겨  기회가 있었다오래 전에는   뿐이였던 트럭 주유소이였지만 5  부터  건너편에 대형 주유소가 새로 생겼다더우기 넓은 주차장이 있어 많은 트럭들이 오래된 주유소를 이용하기 보다 새롭게 생긴 곳을 다니기 시작하였다   아니다유명 후랜차이즈 식당 Subway, Arbis, Dennis, 등등이 등장하더니 여러 주유소들이 확장을 하였다 대형 주유소가 7군데  빼고는 모두  24 시간 영업을하고 있다그리고 각종 음식은 물론 커피를 만들어 팔고 있었다.

그리고 미국의 골목마다 있는 Drive thru 라고 하여 작은 집을 만들고  안에서 커피를 파는 곳이  없이  많이  있는  여기에도 4곳이 있다아마 미국의 커피 전문점은 스타박스와  작은  커피점들이라 해도 과언은 아니다나는  모습을 보며 아무리 미국의 경기가 좋다 하여도  곳처럼 모두가 치열하게 경쟁하며 살아가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작은 알링턴 고속도로 진입로에  커피를 파는 데가  15곳에 이른다.

내가 가끔 이곳의  주차장에서 잠을  때가 있다왜냐하면 시애틀의 다운타운을 거쳐 바닷가 쪽에 있는 부두에 정박한  쿠르즈배에 물건을 내려 주려면 이른 새벽에  곳에 도착해야 하기 때문이다시애틀은 워낙 교통의 지옥이라 주차장에서 잠을 자고 일찍 출발해야 한다지난 7 초순나는 알링턴 주차장에서 잠을  이른 새벽 트럭을 몰고 시애틀로 출발하였다새벽 5시가 되기도  모든 주유소는 환한 불빛이였으며 작은  속에서 커피를 파는  4  모두 새벽부터 빨간색의  Open 싸인을 켜고 커피를 팔고 있었다특히  곳은 아주 젊은 아가씨가  여름 해수욕장에서 입는 비키니 차림으로 커피를 팔기위해 영업 중인 곳으로   간판에 비키니 바리스타라고 안내판을 해놓았다나는 혹시 이른 새벽에는 옷은 입었겠지 하였지만 트럭위에서 멀리 내려다보니 비키니 차림으로 커피를 팔고 있었다비가  다음  그래도 약간 쌀살한 새벽이였지만 그녀는 추위를 아랑곳 않고 커피를 만들어 손님에게 파는  열중인  같았다그런데 “겨울이 오면 어쩌나?”하는 공연한 걱정이 잠시 들었다.

그리고 나는 어제 저녁  장면 모습이 너무 생생하여 오랫동안 잊을 수가 없었다내가 주차장 안의 식당에서 저녁을 먹은 후에 시간이  남아 야외에 비치된 휴계용 의자에 앉아  커피를 마시고 있었다그리고 바로 옆에도  주유소인데 주차공간이  넓어 귀퉁이  곳에는 간이 테이블을 펴고 워싱턴 주에서 나오는 체리를 파는 곳이 있었다 곳에는 어린 학생 둘이 방학 중에 부모님을 도와  손님들에게 체리를 팔고 있어 나는  모습을  보다가  곳으로 가서 체리  봉지를 샀다그리고 내가 앉았던 곳으로 돌아와  곳을 계속 보게 되었다  무렵   차례 소나기가 지나가고 이제는 부슬비로 바뀌고 있었다.  그즈음 부모님이 차를 타고 와서 체리 좌판을 걷는 모양이었다오빠는 14동생은 12 정도되는 어린 남매는 엄마를 반갑게 맏이하고 서로 서로 이야기를 하는 모습이였다.  아마 “오늘 많이 팔았다” 하며 엄마한테 말하는  하였다그리고 엄마가 체리  봉지를 딸의 손에 쥐어 주더니 주유소 사무실에 갖다 주라고  모양이다. ( 생각에는 장소를 빌려주어서 고맙다는 뜻이 아니가 싶었다.) 그러자  딸아이는 부슬비를 맞으며  손으로  체리봉투를 갖고 주유소 사무실을 향해 총총걸음으로 가는 모습을 나는 멀리서 바라보고 있었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2019년이 저물어 가고 있다. 해마다 연말이 되면 무언가 아쉬움이 남고, 무엇보다도 나의 모국 대한민국이 새해에는 큰 변화가 생겼으면하는 바램이다. 왜냐하면 지난 반세기 동안 우리의 세대가 열심히 일하여 일구어 놓은 선진 대한민국을 좌파 정부가 들어선 후 정치, 경제, 외교, 안보, 사회, 교육, 등등.. 전 분야를 망가트리고 있어 그 신음소리가 태평양을 건너 이곳까지 들리고 있다. 지난 세월 우리는 가난을 몸소 겪으며 살았기에 온 국민이 잘...
김유훈
내가 하는 일은 카나다에서 생산되는 물건을 미국으로 보내고 다시 미국의 제품들을 카나다로 갖고 오는 일이다. 때문에 미국 국경을 넘나드는 일은 이제 나의 일상이 되었다. 그리고 미국의 고속도로와  주변의 환경은 매우 친숙하여 딴 나라 같지 않다. 내가 자주 다니는 곳이 I-5고속도로 Exit...
김유훈
밴쿠버의 봄은 도시 전체가 마치 정원과 같다.  27년전, 나는 우리 4식구를 데리고 벗꽃이 활짝 핀 밴쿠버 공항에 도착하였다.  10살의  아들과  7살의 딸을  두 손에잡고 밴쿠버 땅을 밟은 것이 엊그제 같기만 한데 세월이이렇게 빠르게 지나가 버렸다. 그리고 우리 두 아이들은카나다 교육을 무사히 잘 받고 이제는 독수리가 날개를펴고 훨훨 나르듯이 모두 둥지를 떠났다. 아들은 한국으로, 그리고 딸은 미국에서 자리를 잡고 지내고...
김유훈
2019년 새해가 밝아왔다. 새해를 맞이하면 누구나 꿈과 희망을 갖고 금년에는 지난 해보다 좀 더 나아지기를 기대하게된다. 우리가  살고있는 카나다 밴쿠버는 아름다운 자연 경관 뿐만 아니라 삶의 질에서도 세계적으로 최상위권 안에 드는 곳이다. 이곳에서 살고있는 나는 감사해야 하지만 요즈음은 오히려 잠을 쉽게 잘 수 없다. 그 이유는 고국인 대한민국이 걱정되기 때문이다.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닭도록 계속되어야 할 우리의...
김유훈
지금 세계는 스마트 기기의 시대다. 전자산업의 발달로 인해 자동차, 비행기, 배 그리고 각종 건축물에 스마트한 전자장비가 설치되어 현대사회를 대부분 관리하고 있다. 그리고 미국과 카나다의 드넓은 땅의 농사까지 첨단기법 즉 스마트 기기는 물론 인공지능까지 이용하여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개인의 삶과 가장 밀접한 전자기기는 스마트 폰이다. 최근 스마트 폰의 세계적인 시장에서 한국 제품, 즉 삼성과 LG가 선두권에 있다는 사실은...
김유훈
내 인생 2막 2장 2018.04.17 (화)
오늘날 한국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가장 큰 국가적인 과제는 “일자리 문제”이다. 그 중에서도 청년들의 일자리는 실로 심각하다.  내가 외국에 살며 보아도 이곳 역시 다르지 않은 현실이다.젊은이들이 대학, 대학원을 나와도 특별한 일부를 제외하고는 갈 곳이 많지 않아 맥도날드와 같은 패스트푸드 가게에서 알바로 일하고 있는 청년들이 많이 있다. 얼마 전 한국의 어느 방송에 4시간짜리 알바 두명 모집에 140명이 지원했다는 소식을 듣고...
김유훈
내가 하는 트럭커일은 밴쿠버에서 목재를 싣고 미국, 즉 캘리포니아 주로 배달하는 일이 대부분이다. 그리고 I-5고속도로를 따라 이틀을 달린 후 삼일 째 건축 도매상에 물건을 내리게 된다. 그후 다시 카나다로 물건을 싣고 와야 하는 데 바로 근처에 실을 물건이 없을 때는 더 먼 곳에 가서 실어와야 한다. 가끔은  네바다 주 아니면 아리조나 주에 까지 가서 실어오기도 한다. 그리고 카나다로 오는 물품들은 그 종류가 무척 다양하다. 철제...
유훈
이태리는 유럽 최대의 고대 국가로서 역사적, 지리적으로 매우 중요한 나라이다. 그리고  그 곳의 도시들은 이름만 들어도 유명하다. 로마, 나폴리, 베니스 등등은 언제라도 가고 싶은 곳이다. 그러나 이곳 밴쿠버에도 오래전에 정착한 많은 이태리 이민자들이 살고 있어 그들의 고향 지명을 그대로 쓰고 있어 나름대로 향수를 달래고 있다. 특히 밴쿠버 시내 Commercial 이나 E.Hastings St.에는 지금까지 이태리 교민들이 많이 살고 있다. 특별히 내가...
김유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