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이민자는 파피 안 달아" 발언 논란 돈 체리 결국 '하차'

정기수 기자 jk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9-11-12 13:02

스포츠넷, 비판 거세지자 '코치스 코너' 진행자 해고



이민자들의 파피 미착용 발언으로 논란을 빚은 '하키 할아버지' 돈 체리(사진 왼쪽)가 결국 그의 장수 방송 프로그램에서 하차했다.

 

CBC 뉴스에 따르면 스포츠넷(Sportsnet)은 11일 체리가 공동 진행하는 <하키 나잇 인 캐나다(Hockey Night in Canada)>의 주간 코치스 코너(Coach's Corner)에서 그를 물러나도록 했다고 발표했다.

 

하키 나잇은 스포츠넷이 CBC로부터 사들여 신디케이트(동시발표) 계약에 의해 CBC를 비롯한 다른 방송국에서도 내보내고 있는 캐나다 하키팬들이 즐겨 보는 프로그램이다.


체리는 10일 이 프로그램에서 캐나다 전몰 장병들을 기리는 파피를 단 사람들을 점점 덜 보게 되는데, 그 사람들은 토론토의 이민자들이라고 특정했다.

 

그는 "당신들은 우리의 생활방식을 사랑한다, 우리의 밀크와 허니를 사랑한다, 최소한 당신들은 파피 한송이를 위해 2달러를 낼 수 있다. 이 사나이(전몰장병)들은 가장 큰 값을 치렀다" 고 말했다.

 

체리의 이같은 언급은 즉각 온라인에서 논란이 됐고 거센 비난이 쏟아졌다. 이민자 출신 하키 팬들은 그의 발언이 증오와 차별이며 이민자들은 파피 착용 뿐 아니라 다른 여러 방식으로 캐나다를 사랑하고 있다는 의견들을 표출했다. 

 

CBC의 경우 주말 동안 너무 많은 반응들이 쇄도해 그것을 기계적으로 더이상 수용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고 보도했다.

 

스포츠넷은 짤막한 발표문에서 "스포츠 우리를 통일시키지 분열시키지 않는다, 그의 분열적인 발언은 우리의 가치와 맞지 않는다, 라고 해고 배경을 설명했다.

 

캐나다 아이스 하키의 상징적 인물이자 퇴역군인 옹호자인 돈 체리(Don Cherry, 85)는 이로써 현충일에 그가 40년간 해설가로 활약해온 하키 방송계에서 떠나게 됐다.

 

체리는 이번 논란 이전에도 방송에서 유럽 선수들, 불어 사용자들, 정치 등을 주제로 그의 트레이드 마크인 자기 주장 강한 발언으로 수차례 논란의 중심에 섰었다.

 

는 프로 선수와 NHL 코치 출신으로 전설적인 아이스 하키 해설가이자 스포츠 저술가이며 광대 같은 화려한 의상으로 특히 유명하다. 솔직한 태도와 직설적인 어법을 구사, 캐나다 하키 팬들 사이에 하키 할아버지로 불리면서 캐나다를 대표하는 인물중 한명으로 꼽힌다.

 

캐나다 현충일(Remembrance Day)에 왼쪽 가슴에 다는 양귀비 파피(Poppy)는 프랑스 등 유럽의 1차대전 전장에 많이 피었던 꽃으로 알려져 있다.

 

당시 참전 군인이었던 캐나다 외과의사 존 맥크레이(John McCrae)의 유명한 <플랜더스 전장에서(In Flanders Fields)>라는 시에서 유래돼 오늘날 매년 10월 마지막 금요일부터 11월11일까지 착용하는 것이 캐나다인들의 전통이다.

 

파피는 비영리 전직 캐나다 군인, 경찰 및 가족들의 기구인 로열 캐네디언 리전(Royal Canadian Legion, 재향군인회)에서 참전 군인들과 가족 지원을 위한 모금 목적으로 거리와 상점에서 판매한다. 


사진=영상 캡쳐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13-17세 이민자 자녀, 대학 이수율 72%
한국 등 동아시아계 출신 교육 수준 높아
과학·기술 분야 특화... 취업률·임금도 상위
이민자의 자녀들이 캐나다의 전반적인 교육 수준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연방 통계청이 지난 2006년부터 13-17세 청소년을 대상으로 10년간의 데이터를...
10년 미만 거주 영주권자 귀화 건수 줄어
통계청, "2006년 기점으로 큰 폭 하락세"
낮은 소득·교육 수준 시민권 취득에 영향
캐나다 시민권을 취득하는 신규 이민자의 비율이 최근 10년 동안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캐나다에 거주한 지 만 5년이 지나 시민권 신청이 가능한 18세 이상 영주권자들을...
스포츠넷, 비판 거세지자 '코치스 코너' 진행자 해고
이민자들의 파피 미착용 발언으로 논란을 빚은 '하키 할아버지' 돈 체리(사진 왼쪽)가 결국 그의 장수 방송 프로그램에서 하차했다. CBC 뉴스에 따르면 스포츠넷(Sportsnet)은 11일 체리가...
이민자 신규 사업 비율 13년만 22% 성장
국내 이민자 소유 기업 일자리 성장도 주도
이민자들은 캐나다에서 태어난 사람들보다 사업을 시작하고 스스로 일자리를 창출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캐나다 국책은행인 BDC(Business Development Bank of Canada)의 최근...
총선 직전 여론조사, 캐나다인 절대 다수는 이민 효과에 긍정적
캐나다인 대다수는 이민에 호의적이다.일부 정파에서 신규 이민자 축소를 주장하며 이민 문제를 선거 이슈로 삼아 마치 일반 캐나다인들, 특히 백인들 다수가 반이민 정서를 갖고 있는...
연방 이민부, '자유당 이민 정책 전망' 발표
제43대 캐나다 연방총선이 자유당의 승리로 막을 내린 가운데, 향후 캐나다 이민정책에 대한 집권 향방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자유당이 공약으로 내놓은 <이민 수준 확대>와 <시민권...
전국 주택시장에 21% 큰 비중 차지
BC주 이민자 주택 소유율 전국 3위
캐나다 신규 이민자들이 국내 부동산 수요에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새로운 조사결과가 나왔다. 부동산 중개업체 로열 르페이지(Royal LePage)가 16일 발표한 전국 이민자...
난민 등 부담 줄여주려 530 달러 비용 없애기로··· 4년간 4억달러 예산 소요
자유당이 친이민정책의 하나로 캐나다 시민권 신청비를 없애기로 했다.CBC 뉴스에 따르면 자유당은 30일 공개한 10/21 총선 공약집에서 일부 이민옹호단체들이 많은 이민자들에게 주요...
올해 7월 기준 3758만명 집계 나와
통계청 “매 분마다 1명씩 증가한 꼴”
국내 인구 수가 이민자들의 증가에 힘입어 1990년도 이후 가장 빠른 증가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방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인구통계 자료에 따르면 캐나다 인구 수는 지난 7월 기준...
해외 전문인력 카테고리 자격조건 완화
직업군 218개로... '한인들 이주 희망 관심'
연방이민이나 BC주정부 이민이 크게 어려워진 가운데 지난주 SK 주정부이민 프로그램(SINP)의 제도가 일부 변경되면서 실질적인 캐나다 이민문호가 확대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25일...
보수당 "난민 정책과 해외자격증 인정 개선"자유당 "이민자 수 대폭 증가 기조 유지"   10/21 총선에 임하는 캐나다인들의 마음 속에는 경제나 환경 문제도 크지만 이민정책에...
통계청 전국 인구통계조사, 두 배로 증가 추세
이민자 급증 요인... BC주는 줄고 앨버타 늘어
캐나다 인구 수가 점진적으로 증가해 약 50년 뒤인 2068년에는 현재보다 두 배 많은 5500만 명으로 정점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연방 통계청이 17일 발표한 시나리오별...
RBC 보고서, 자격증과 경력 제대로 인정 않는 게 주원인··· 매년 나라 GDP 500억달러 손실
캐나다 이민자들은 현지인들보다 임금을 평균 10% 덜 받는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이민자와 캐나다 출생자들 사이 임금 격차는 계속 벌어지다 최근 신기록을 이뤄 매년 나라에 500억달러...
원정출산율 1년새 13% 급증, 전체 1.4% 달해
온주·BC주 외국인 산모 몰려 "법 폐지 목소리"
신생아의 캐나다 자동 국적취득을 노린 외국인들의 ‘원정출산(birth tourism)’ 논란이 재점화되는 양상이다. 오는 10월 총선을 앞두고 원정출산 문제가 주요 쟁점 중 하나로 떠오른...
자유당-보수당 집권 향방 이민사회 ‘초미 관심’
이민부, “정권 바뀌어도 이민수준 유지 될듯”
올해 총선에서 이민이 최대 쟁점으로 떠오를 수 있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지난 2015년 집권 이후 자유당이 크게 끌어올린 캐나다의 이민자 수치에 대해 자유당과 보수당이 극명한...
BC 주정부 EE 합격점수 하향세 지속
최고점 대비 10점 가량 하락… 대기자들 ’환호’
올해 3월부터 크게 상승했던 BC주정부 이민 ITA 선발 점수가 약 5개월만에 하향세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민 컨설팅 업계 측은 이같은 점수 하향세 현상을 두고 정부가 지난 8월...
이민 컨설턴트들, “대도시 선호만 버리면 영어점수 4.0대로 영주권 신청 가능하다”
농촌 외곽지역 인력난을 해소하기 위한 새 이민 프로그램 RNIP에 한국인들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메트로 밴쿠버 지역 이민컨설턴트들에 따르면 최근 몇년새 과거에 비해 학력과 경력...
경력 이민자-청년 위한 8개년 지원사업 추진
이민자봉사기관 '석세스'에 840만 달러 투자
캐나다 정부가 국내 일자리 창출과 지역발전을 견인하는 신규 이민자들을 위한 지원사업에 나선다. 연방 고용노동부는 숙련된 기술 능력을 가진 신규 이민자 및 젊은 캐나다인들에...
이민자 포함 대중 항의 거세 결국 철거행
맥심 버니에 당수 '반이민 유세 전략' 수포로
최근 논란의 대상으로 떠오른 인민당(PPC)의 반(反)이민 선전 광고판이 결국 철거 수순을 밟는다. 25일 광고판 소유주 측은 올해 10월 총선을 겨냥해 반이민 정서를 자극한 인민당 맥심...
르골 수상 20%감축 공약보다 많아... 숙련직 비율도 41% 불과 목표와 상반
퀘백에 반이민 주정부가 들어선 이후 이 주로 들어온 이민자가 30% 이상 줄어들었다. Globe and Mail 보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퀘벡 주에 경제이민 범주로 정착한 건수는 지난해 동기보다...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