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힐링 포토

아청 박혜정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9-12-03 16:53

아청 박혜정
한국 문협 밴쿠버 지부회원 순수문학 등단
캐나다 뮤즈 청소년 교향악단 지휘자
사진과 친해진 것은 이민을 와서이다. 또 이민을 왔기 때문에 가능한 일인 것 같다. 한국에서는 전공이 같은 사람끼리 일을 하고 만나다 보니 같은 분야의 사람들과 친하게 지내게 된다. 그래서 다른 일이나 취미생활을 하는 사람은 거의 만나 본적이 없는 것 같다. 사진을 찍을때는 어느 장소에 왔다는 것을 기념하거나 그 때를 기억하기 위해 찍은 사진이 고작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조금 다르다.

처음 산에 갔을 때 무심코 휴대폰으로 사진을 찍었다. 고대장님이 찍은 사진을 보시고는 소질이 있다면서 가볍고 줌(Zoom)이 잘되는 카메라를 사서 가지고 다니면서 찍어보라고 권해주셨다. 산행 팀과 함께 다니며 산행과 사진의 두 마리 토끼를 잡으며 열심히 다녔다. 사진에 관심이 생기면서 사진을 좀 더 배우게 되었고 사진을 취미로 하는 단체에도 들어가게 되었다.

사진을 찍으러 가는데 처음에 “출사”라는 단어를 접했을 때는 뭔가 전문인이 된 것 같은 마음에 우쭐해짐을 느끼기도 했다. 저녁 야경을찍기 위해 해가 지고도 만나고, 멀리도 가고, 비가와도 만나고…. 하지만 아직은 시간의 제약을 받다 보니 재미있고 신기하고 사진에 대해많이 배울 수 있었지만 아쉽게 계속하기에는 무리가 되었다. 그래서 나중에 시간적 여유가 많을 때 다시 시작하기로 하고 산행을 하며 찍는 사진으로 만족하기로 했다.

하지만 사진을 전문적으로는 찍지 않아도 많이 찍다보니 이제는 시나브로 실력이 늘어 볼 만한 사진이 조금 있게 되었다. 전 같으면 사진을 찍은 후에는 나만 보곤 했을 텐데, 이제는 산행 팀 사이트나 페이스 북에 올리다보니 많은 사람과 같이 감정적 교류를 나눌 수도 있게되었다. 어느 날 로키포인트 파크에 갔는데 저 멀리에 바람에 날려 부러진 우산살을 가진 우산이 뒤집혀 있었다. 나는 큰 의미는 없이 찍어서 올렸는데 누군가 그것을 보고 자기의 처지 같다며 눈물을 흘렸다고 했다.

또 한 번은 멋진 노을, 햇살이 들어오는 숲 등의 사진을 올렸는데 누군가에게는 큰 힘이 되었나보다. 그즈음 꽤나 우울했는데 사진을 보고치유가 되었다고 사진을 더 보내달라고도 했다. 한국에 있는 지인이 허리 수술을 해서 아파서 누워만 있다는 소식을 들었다. 그런데 마침그 날 산 정상에서 정월 대 보름달을 보러 가는 때라 사진을 찍어서 보내주고 카톡으로도 해가 지는 영상을 중계방송 해 주었다. 감상하는동안 아픔을 잊을 수 있어서 고맙다고 하셨다.

사진을 찍는 일도 사진기 안에만 사진을 두면 모르지만 찍은 사진을 나누려면 꽤나 바쁘다. 보정도 살짝 해서 SNS에 올리고 다시 컴퓨터에 저장하고. 하지만 너무 많은 보정을 한 사진을 나는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꼭 가짜 그림 같다. 내 생각에는 화장도 자꾸 하다 보면 진해지듯이 보정도 많이 하다 보면 살짝 한 것은 안 한 것 같아서 진해지는 것 같다. 하지만 나는 자연스러운 것이 좋다.

보통 산에 다니다 보니 자연을 중심으로 사진을 찍게 된다. 그래서 나중에 늙어 밖으로 다니기 힘들 때가 오면 ‘디지털 액자에 내가 찍은자연 사진을 보면서 감상 할 수 있다면 얼마나 행복할까?’ 하는 생각을 하면 지금부터 배가 부르다. 단순한 사실적 사진에 추억까지 함께배어있는 사진이라면 더 좋을 것 같다.

요즘에는 사진에 조금씩 미쳐 가는지 눈앞에 보이는 풍경이나 광경이 사진 앵글로 보인다. 음악은 순간예술이라 그 순간의 연주로 평가를받게 됨으로써 연주자가 조금의 실수라도 하면 모든 노력이 허사로 돌아가는 허무함도 있다. 하지만 사진은 셔터를 누르는 순간 과거로모든 장면이 저장이 되고, 또 그것을 보는 사람이 그림을 감상하듯 각기 다른 생각으로 위로를 받게 되는 예술인지를 알게 되었다. 내가 평생해온 음악 이외에도 사람들의 감정에 변화를 줄 수 있는 사진의 세계를 접할 수 있게 되어 얼마나 감사한지 모르겠다. 앞으로도 몸과 마음이 지친 사람들에게 사진을 통해 힐링의 순간을 전달할 수 있기를 기도해 본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웰스 그레이 주립공원(Wells Gray Provincial Park)포트 무디 청소년 교향악단 상임지휘자,(사)한국 문협 밴쿠버지부 회원 아청 박혜정지인의 페이스 북에서 너무 멋진 폭포 사진을 보았다. 이번 여름은 COVID-19 때문에 BC주 안에서여행을 하려고 했는데 마침 그곳이 BC주 안의 웰스 그레이 주립공원이었다. 구글 지도를 보니시간도 집에서 4시간 30분정도로 얼마 안 걸리는 것 같아 먼저 캠핑그라운드를 예약하려고 했다.그런데 그 안에 캠핑그라운드가 3곳이나...
아청 박혜정
코로나19로 인해 집에 있다 보니 눈에 잘 보이지 않던 먼지들도 보이고, 밥도 세끼를다 먹자니 그 또한 분주하다. 하지만 다른 면이 더 있다면 좀 더 다양한 것들과 가까워진듯하다. 집을 가꾸는 것에는 시간이 없어서 소홀했는데 페인트칠도 하고 그동안 미루어왔던 것을 하나씩 정리도 하게 되는 소중한 시간이기도 하다.또한 집콕의 시간을 조금이나마 보람되게 보내기 위해 그동안 써 왔던 수필을 모아정리해 보니 150편이 조금 넘었다. 그래서 10여 년...
아청 박혜정
호두까기 인형 2020.03.09 (월)
                                내 연주실에는 한국에서 이민 올 때 가지고 온 호두까기 인형이 있다. 예술의 전당에서 차이코프스키의 뮤지컬 “호두까기 인형”을 보고 나오는데 그 주인공 인형을 작은 것부터 큰 것까지 키대로 세워 놓고 판매를 하고 있었다. 가만히 보니 작은 것은 장식용이고 어느 정도 키가 큰 것부터는 진짜 호두가 까질 것 같아서 조금 큰 것으로 샀던 기억이 난다.   그...
박혜정
새해에는… 2019.12.30 (월)
새해가 되면 우리는 작심삼일이 되더라도 새로운 결심을 해 본다. 새해에는 새로운 결심 중에 하고픈 것에 미쳐보면 좋겠다. 여기에서 “미치다”라는 뜻은 “정신에 이상이 생겨서 비정상적인 상태”의 뜻 보다는 “무언가에 몰입하여 매우 열심히” 라는 뜻이다. 젊었을 때는 전공이외에 한 가지에 시간을 내서 미쳐보기가 쉽지 않다. 졸업 후 사회 초년생이 되면 사회에 적응하느라 바쁘고 결혼을 하면 아이들 키우느라 바쁘고 그러다 보면 관심이...
아청 박혜정
힐링 포토 2019.12.03 (화)
사진과 친해진 것은 이민을 와서이다. 또 이민을 왔기 때문에 가능한 일인 것 같다. 한국에서는 전공이 같은 사람끼리 일을 하고 만나다 보니 같은 분야의 사람들과 친하게 지내게 된다. 그래서 다른 일이나 취미생활을 하는 사람은 거의 만나 본적이 없는 것 같다. 사진을 찍을때는 어느 장소에 왔다는 것을 기념하거나 그 때를 기억하기 위해 찍은 사진이 고작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조금 다르다.처음 산에 갔을 때 무심코 휴대폰으로 사진을 찍었다....
아청 박혜정
산행 팀에서 테일러 초원의 만발한 꽃을 구경하고, 가리발디 호수를 보러간다고 했다. 호수까지 왕복 18km, 초원에서 호수까지 3km 총 21km를 걸어서 가야한다. 걷는 시간은 대충 7-8시간정도. 3년 전 같은 코스를 다녀온 경험이 있다. 그 때는 평소에 숨쉬기 운동만 하고 등산은 초보시절이었다....
아청 박혜정
똑똑한 자동차 2019.04.30 (화)
한국 문협 밴쿠버 지부회원/순수문학 등단캐나다 뮤즈 청소년 교향악단 지휘자자동차가 발명되기 전에는 사람이 끄는 인력거나 말이 끄는 마차 등을 이동수단으로 했다. 그러다가 자동차(CAR, VEHICLE, MOTOR CAR), 뜻 그대로 기계의 힘을 이용해서 자동으로 움직이는 운송수단이 생긴 것이다. 한국에서는 1911년에 미국산 포드 승용차 1대가 처음 도입되었고, 그 후 “개포동이란 동네 이름이 개도 포니를 타는 동네”라는 닉네임까지 붙으며 포니 자동차는...
아청 박혜정
추수감사절에 시애틀에 사는 큰 딸에게 다녀왔다. 딸이 추수감사절에는 터키를 구워 놓고 초대를 해서 기특한 마음으로 다녀온다. 갈 때마다 드는 생각인데 국경을 접한 미국과는 화폐도 통일하고, 미국 최대명절이라는 추수감사절도 같은 때였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딸에게 “캐나다와 맞추어서 10월에 추수감사절을 하면 좋겠다.”그랬더니 “아뇨, 11월이 더 좋아요.” 라고 한다. 이유인 즉 “10월에는 할로윈, 11월에는 추수감사절, 12월에는...
아청 박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