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초미세먼지 제거 원천기술 개발 "삼성 공기청정기에 응용 가능"

밴조선에디터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0-06-21 11:39

유용상 KIST 박사·이신두 서울대 교수팀, ‘수직 나노갭 전극’ 개발
"액체 속 나노 입자 포획 성공… 대기 중 입자 제거 위해 추가 연구"

서울에 미세먼지주의보가 발령된 11일 오후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가 뿌옇게 보이고 있다./연합뉴스
국내 연구진이 삼성전자가 지원하는 연구를 통해 300나노(nm·10억분의 1미터) 이하 크기의 초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개발했다.

유용상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센서시스템연구센터 박사와 이신두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공동 연구팀은 액체에 녹아있는 20나노 크기의 초미세 입자를 포획할 수 있는 ‘수직 나노갭 전극’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액체에 녹아있는 작은 입자들을 포획하기 위해서는 나노갭 전극을 통해 전기를 발생시켜야 한다. 철가루가 자석에 달라붙듯 전극에 입자들이 달라붙는 원리다.

마이크로(μm·100만분의 1미터) 입자는 이를 통해 잘 포획할 수 있지만 이보다 1000배 더 작은 나노 입자는 이 방법이 잘 통하지 않는다. 입자가 움직일 때 액체 자체에도 미세한 흐름이 발생해 입자의 움직임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마이크로 입자와 달리 상대적으로 가벼운 나노 입자는 이 액체 흐름에 잘 휩쓸리기 때문에 사람이 제어하기 어렵다.

이를 해결하려면 나노갭 전극의 면적을 넓혀, 입자에 가하는 전기력 크기를 키워야 한다. 액체의 흐름을 이겨내면서 나노 입자를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나노갭 전극은 손톱만한 면적을 만드는 데 수십만원이 들어갈 만큼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

연구팀은 전극의 구조를 바꿔 성능을 개선하는 데 성공했다. 기존에는 양(+)극과 음(-)극을 수평으로 배치한 구조였는데, 두 극을 수직으로 배치하면 전기력의 크기를 10배 이상 키울 수 있음을 발견했다. 제조단가도 LP판 면적에 5000원 수준으로 낮출 수 있다고 한다.

연구팀이 개발한 수직 나노갭 전극의 두 전극(금색·청색)을 수직으로 배치한 후 전압을 조절함으로써 나노 입자(녹색·적색)를 포획·분리하는 모습./KIST 제공
유 박사는 "인체 유해성이 입증된 초미세먼지를 포함한 나노 입자들을 액체 속에서 효과적으로 포획하는데 성공했다"며 "액체를 넘어 대기 중의 나노 입자를 포획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추가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대기 중의 300나노 이하 초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개발하기 위해 삼성전자 미래기술육성센터 사업을 통해 수행되고 있다. 액체에 이어 대기 중 나노 입자 포획에 성공하면 상용화될 전망이다.

초미세먼지 뿐만 아니라 하수에 녹아있는 미세플라스틱 제거에도 응용할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바이러스처럼 감염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 암 진단의 바이오마커로 알려진 ‘세포 밖 소포체’, 치매 단백질 등과 같은 200나노 이하의 생체 물질을 포획·농축함으로써 질병 진단을 위한 바이오센서 기술에도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윤수 기자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